View : 6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美善-
dc.creator李美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7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3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9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316-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purposed to investigate whether recall by children would be differentially facilitated by applicating two different methods : List Presentation methods and Retrieval Cue Presentation methods. As children's ability in recall improves in accordance with age change, Picture Presentation method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Verbal Presentation method in free recall facilitation, and, for the retrieval cues, Picture Cue Presentation method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Verbal Cue Presentation method in cue-recall facilitation. But, as children begin to use actively more efficient mnemonic strategies along with age change, this study, assuming that effects on recall facilitation by the above methods would be indifferent in some age level, is focused to find the most effective and pertinent retrieval cues for children in different age levels. The subjects were drawn among the middle-classed in consideration of household economy, academic score, and intelligence quotient(I.Q..) from N Elementary School in Seoul.. 120 children were randomly selected from grade 1, 3, and 5; 40 children from every grade. Then 10 children at each grade Level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our groups : verbal list presentation group, verbal cue presentation group, picture list presentation group, and picture cue presentation group. For the testing materials, the experimenter selected 10 categorized cues representing places and objects (e.g. hospital) which had frequent Pre-experimental associations with 3 to-be-recalled items (e.g. doctor). And those 10 cues and 30 items were pre-examined to be familiar to children nowadays. This experimental study was proceeded as follows : To verbal list presentation group, each item was presented verbally, linked with an appropriate cue; then free recall instruction was given. To picture list presentation group, each item was presented in colored picture card, linked with an appropriate cue; then free recall instruction was given. To verbal cue presentation group, each item was presented verbally, linked with an appropriate cue; then the experimenter presented cues verbally for retrieval cue conditioned recall.. And to picture cue presentation group, each item was presented in colored picture card, linked with an appropriate cue; then the experimenter presented picture cues for retrieval cue conditioned recall. During the procedure, the subjects were tested individually. The performance measures, resulted from List Presentation methods and Retrieval Cue Presentation methods, were analysed by grades and groups, then the averages and the standard deviations were T-tested. The results from this experimental study are as follows: 1. Children's free recall improved along with grade change. Free recall by List Presentation method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between grade 1 and 3, but not between grade 3 and 5. 2. Comparing two methods of List Presentation method in free recall, picture list presentation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increase than verbal list presentation group within grade 1. But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ithin grade 3 and 5 were not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3. For childrenis recall, the presentation of retrieval cue is considered to be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Comparing free recall by List presentation method with cue-recall by Retrieval Cue Presentation methods, retrieval cue presentation group's performance in recall was far predominant over list presentation group's performance in free recall in all grade levels. 4. Verbal Cue presentation method facilitated recall efficiently and significantly along with grade change. But picture Cue presentation method resulted less significant increase between grade 3 and 5 although significant increase was made between grade 1 and 3. 5. Comparing two methods of Retrieval Cue Presentation method in cue-recall, picture cue presentation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increase than verbal cue presentation group within grade 1 and 3. But the results of two groups within grade 5 were considered to be indifferent. Thus, from the results, it was revealed that the utilization of verbal retrieval cues by children within grade 5 level was efficient and task-oriented as well as the utilization of picture retrieval cues.;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회상 (recall)이 목록 제시방법과 인출지시 단서 제시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인지의 여부를 살펴보았다. 아동의 회상의 양은 연령에 따라 증가하므로 그림 제시방법이 언어 제시방법보다 더 나은 자유회상(free recall)을 보일 것이고, 그림지시단서 제시가 언어지시단서 제시보다 더욱 회상을 촉진시킬 것이다. 그러나, 아동은 연령의 증가에 따라 기억책략이 다양해지므로, 어느 연령 수준에 다다르면 두 지시단서가 회상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기본가정아래, 아동의 연령 수준에 맞는 적절하고 효율적인 인출지시단서 (retrieval cue)를 밝혀 보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서울시내 N국민학교의 1·3·5학년으로, 생활정도·학업성적·I.Q가 중간정도인 아동으로 통제하여, 각 학년별로 40명씩 120명을 표집하였다. 표집된 아동은 언어목록 제시집단, 언어지시단서 제시집단, 그림목록 제시집단, 그림지시단서 제시집단의 네 집단으로 각 학년별로 10명씩 배정하였다. 검사도구는 우리나라 아동에게 친숙한 10개의 범주(category)와 각 범주별 3개씩의 회상항목(recall item)으로 실험자가 구성하였다. 실험절차는 언어목록 제시집단에는 각 지시 단서와 항목을 연관시켜 실험자의 육성으로 제시한 후 자유회상을 요구하였으며, 그림목록 제시집단에는 채색된 그림카드의 지시단서와 항목을 연관시켜 그림의 명칭과 함께 제시한 후 자유회상을 요구하였다. 언어지시단서 제시집단은 회상요구시에 각 지시단서를 실험자의 육성으로 제시해 주고 반응하게 하였으며, 그림지시단서 제시집단은 각 지시단서 카드를 그림의 명칭과 함께 제시하면서 회상을 요구하였다. 실험방법은 각 피험자를 개별적으로 실험하였으며, 자료는 목록 제시방법과 인출지시단서 제시방법에 따른 회상반응을 학년별·집단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해 t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동의 자유회상은 학년이 증가할수록 발달하였다. 그림목록제시와 언어목록제시에 의한 자유회상은 1학년에서 3학년으로는 의의있는 증가를 보였으나, 3학년에서 5학년으로의 증가는 의의없는 증가를 나타내었다. 2. 목록 제시방법에 의한 자유회상 비교시, 1학년에서는 그림목록 제시집단이 언어목록 제시집단보다 의의있는 회상의 수행을 보였지만 3·5학년에서는 목록 제시방법에 의한 자유회상의 차는 의의없는 차로 나타났다. 3. 아동의 회상요구시 인출지시단서의 제시는 더 나은 회상의 수행을 보였다. 목록제시에 의한 자유회상과 인출지시단서제시에 의한 회상을 비교해 본 결과 세학년 전 수준에서 인출지시단서를 제시한 집단의 회상이 자유회상집단보다 훨씬 우세한 회상의 수행을 보였다. 4 . 아동의 회상요구시에 언어지시단서제시는 학년이 증가할수록 더욱 효율적으로 회상을 촉진시켰으나, 그림지시단서제시는 1학년에서 3학년으로는 의의있는 회상의 증가를 보인 반면, 3학년에서 5학년으로는 의의없는 증가를 나타내었다. 5. 지시단서 제시방법에 의한 회상 비교시, 1·3학년에서는 그림지시단서가 언어지시단서보다 더 나은 회상을 촉진시켰지만, 5학년에서는 두 지시단서제시에 의한 회상의 차는 거의 없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5학년 수준의 아동들은 회상요구시에 언어지시단서를 그림지시단서만큼 효율적이고, 과업-적응적으로 사용함을 알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기억발달에 대한 이론 = 3 B. 선행연구 개관 = 5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10 A. 피험자 = 10 B. 도구 = 10 C. 실험절차 = 12 D. 자료처리 = 14 Ⅳ. 연구결과 = 15 A. 언어목록제시(청각적 자료제시)에 의한 자유회상 발달 = 17 B. 그림목록제시(시각적 자료제시)에 의한 자유회상 발달 = 18 C. 목록제시방법에 의한 학년별 자유회상비교 = 19 D. 목록제시방법에 의한 자유회상과 지시단서제시방법에 의한 회상의 학년별 비교 = 20 E. 언어지시단서(청각적 지시단서)제시에 의한 회상발달 = 21 F. 그림지시단서(시청각적 지시단서)제시에 의한 회상발달 = 22 G. 인출지시단서제시방법에 의한 학년별 회상비교 = 23 Ⅴ. 요약 및 논의 = 24 참고문헌 = 27 부록 = 31 ABSTRACT = 4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078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인출지시단서제시-
dc.subject교육심리-
dc.subject아동-
dc.subject회상-
dc.title인출지시단서제시 방법에 의한 아동의 회상 비교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F CHILDREN'S RECALL BY RETRIEVAL CUE PRESENTATION METHODS-
dc.format.page4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심리학과-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