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류수연-
dc.creator류수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7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04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9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043-
dc.description.abstractAn artist reveals what he is trying to express through his work. And whether it is from an accidental feeling or from the feeling originated in a human being, a society and nature, the artist represents it visually which reflects his inside. Therefore, a work eventually becomes like what he is and that is why all the artists strive to put more truthful meanings into their works with great pains. However, an appreciator cannot always feel in the same way as the artist wishes. so as the consequence, the appreciator sometimes miss the true meaning that the artist intend to show, and that makes them har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Here, I'm not going to carry the point that ''A mutual understanding about a work can be done properly when the artist's intention is fully understood." The misunderstanding between the artist and the appreciator can be caused by their individual, cultural and historical differences. But the appreciator is a large number of people, while the artist is a single person. For that reason, it lies upon the artist to solve the problems in communication. That is, because a person who appreciate fine arts tries to understand them through the visual factors expressed in the works, an artist must select visual factors properly and express them effectively so as to help the appreciator with the desirable understanding of the work. Only after these are all done, the appreciator can read intentions that the artist leaves to be seen in his work and then the work can bring forth individualized and diversified interpretations. With this, a work of art will be able to extend the range to exercise its influence over. This study contains my working intentions to desire developmental relationship with the general public by recognizing anew specific characters of fine arts in the artistic reality of Post-modernism which is so complicated and diverse. My desire that wishes the work to be understood can be seen in the title of this thesis, "the study of the interpretation". This study explains concretely my mental state that forms the basis of my work, the effectual materials for visual expressions and their use, aiming at helping the appreciator to understand. And the concrete unfolding of interpretation is based on the Gestalt Psychology of Arnheim, who studied profoundly the visual and perceptual features that I focus on under the conditions of my interpreting the work. His writings, 「Art and Visual Perception」, 「Toward a Psychology of art」, 「Visual Thinking」 were much helpful to my study. My work is based on the mental state we can experience in our daily lives. The mental experiences can be resulted from a feeling occurred in a mental mood of a personal space or from the image and thoughts we feel about the things that we find out in our personal spaces. In other words, the mental state becomes closely connected with our everyday lives as consumers and with human existence, as th result, it comes to show my awareness to lead negative problems in the actual life toward affirmative ones. By using the two manners of performance, to imprint and produce plurally, I put the expanded concepts of print into practice. This is how to maintain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appreciator and it is just the intentions in which I unfold "the study of the interpretation." And I think that these methods mentioned above are enough to convey the experiences of everyday life and its following images effectively and strongly. With pursuing human being's psyche and its originality in physical and physical images grounded on experiences, I visualize my works in the hope of appreciators' unlimited interpretations on universality and contemporaneity. Here, I want to emphasize again that all the understandings of "visual works of art" can be achieved through the visual factors that lies in the inside of appreciator. Now I conclude my thesis looking forward to the time when 'the visual works of art' can be settled down through proper application of visual factors and the appreciator's understanding.;작가는 작품을 통하여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것을 드러낸다. 그것은 우연한 느낌이든 인간과 사회 그리고 자연에서 기인한 감정이든 간에 자신의 내면이 반영된 시각적인 표현을 한다. 그러므로 작품은 작가의 모습이며, 이로 인해 모든 작가들은 작품 속에 좀 더 진실된 의미를 담으려 한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작품을 보는 감상자는 작품에 대한 의견을 달리하며 작가가 의도하는 진실된 의미를 놓치는 경우가 발생하곤 한다. 여기서 본인은 '제대로 된 작품과의 소통은 반드시 작가의 의도를 파악해야 한다.'라고 주장하려는 것은 아니다. 작품과 감상자간의 소통의 어려움은 작가와 감상자의 개인적인, 민족적인 또는 역사적인 정서의 차이에서 비롯될 수 있다. 그러나 감상자의 다수에 비해 작가는 한 명의 개인이다. 그런 면에서 난해한 의사 소통의 문제 해결은 작가에게 달려 있다고 본다. 다시 말해서, 예술 작품을 보는 감상자는 작품이 보여주는 시각적 요소를 선택하여 효과적으로 표현해야 한다. 그렇게 되어야만 감상자는 작품 속에 담겨진 작가의 의도를 읽을 수 있고, 작품은 개별화되고, 다양화된 해석을 낳으며 영향력을 넓힐 수 있는 것이다. 이 연구에는 복잡·다양한 포스트모더니즘 예술의 현실 속에서 미술이 가진 그만의 특성을 재인식하여 대중과의 발전적인 관계를 염원하고자 하는 본인의 작업 의도가 담겨 있다. 소통을 이를 수 있는 작품이 되기 위한 작가의 바램은 '해석적 고찰'이라는 논문 제목에서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작업의 근본을 이루는 본인의 동시대적 인식과 인간적인 심리 정서와 시각적 표현을 위한 효과적인 재료 그리고 그것의 사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써, 감상자의 이해를 돕고자 했다. 구체적인 해석의 전개는 아른하임의 형태심리학을 중심으로 파악했다. 아른하임은 본인이 작품의 해석 상황에서 주목하고 있는 시지각적 특성에 대한 이론을 깊이 연구한 학자이다. 그의 저서들인 「미술과 시지각」, 「시각적 사고」, 「예술심리학」은 이 연구의 지침이 되기에 적당했다. 본인의 작업은 경험한 일상에서 오는 심리적인 감정 내용에서 시작된다. 심리적인 경험은 어떤 장소의 분위기에서 생긴 감정이기도 하고 '개인 공간'속에서 발견하는 일상 사물을 보고 느끼면서 떠오른 이미지와 생각들이기도 하다. 결국, 심리적인 내용은 소비 문화 사회의 일상과 인간 실존 문제에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고, 나아가 그 내용에는 부정적인 현실의 문제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고자 하는 본인의 의식 또한 담겨 있다. 찍어내기와 복수 제작에 의한 연출의 두 가지 방법은 확장된 판화 개념을 응용한 것이다. 이것은 본인이 '해석적 고찰'을 전개한 의도와 같이 감상자와의 적극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이었고, 그것들은 일상 생활의 경험과 그에 따른 이미지를 강화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에 충분했다고 본다. 체험을 통한 물리적·심리적 이미지 속에서 인간의 심리와 그에 따른 근원성을 추구하며 구상화한 일련의 작품들은 인간의 보편적인 심리와 소비 문화 사회라는 동시대성 위에서 감상자의 무한한 해석을 바란다. 모든 시각 예술 작품의 해석은 그가 가진 시지각적 요소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임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시지각적 요소의 적절한 사용과 감상자의 이해를 통해 시각 예술 작품의 진실된 자리는 매겨질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이미지의 복합성 = 3 A. 소비 문화와 일상의 이미지 = 3 B. '개인공간'의 심리적 이미지 = 7 Ⅲ. 작품 제작과 해석을 위한 기본 입장 = 10 A. 제작에 있어서 시지가적 특성의 위치 = 10 B. 형태 심리학의 입장 = 11 Ⅳ. 해석의 제작자 입장 = 15 A. '개인공간'의 시지각적 특성에 대한 해석 = 15 1. 방의 형태 = 16 2. 색 = 21 3. 운동 = 23 B. 표현기법-확장된 판화개념의 응용 = 25 1. 이미지를 찍어내는 간접성 - 라베스, 실크천 = 26 2. '연출'과 복수성 = 28 C. 본인 작품과 해설 = 30 Ⅴ. 결론 = 43 참고작품 = 45 참고문헌 = 47 ABSTRACT = 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3856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개인공간-
dc.subject이미지-
dc.subject해석-
dc.subjectpersonal space-
dc.title개인공간(personal space) 이미지에 대한 해석적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the interpretation in metaphorical "personal space"-
dc.format.pagevi, 51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서양화과-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