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8 Download: 0

민족무용학적 관점에서 해남 강강술래춤의 팔동작 의미연구

Title
민족무용학적 관점에서 해남 강강술래춤의 팔동작 의미연구
Other Titles
significance of arm gestures in Haenam Kangkang Sullae in terms of ethic dance
Authors
안승현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Keywords
민족무용학a 강강술래춤팔동작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Human beings, wheresoever they live, are related to the body behavior system, which contains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and is structured complicatedly. They learn or practice more concrete physical skill according to age, race, social stratum, family tradition, sex distinction, sex identity, skill, environment, and choice. Therefore, this study, in terms of the ethnic dance, focuses on finding the meaning of arm gestures of Kangkang Sullae, a Korean circle dance or the song for it, by studying the relation between movement and the meaning. Ethnic dance Is the most pure form which express human being's internal and external life, and it has been developed as study by adding more structured aesthetical logic to it.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first, theoretical background of ethnic dance was investigated, second, Kangkang Sullae in Haenam, especially its arm gestures were chosen to be analyzed. Laban movement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structure of arm gestures of Kangkang Sullae, and Delsarte and Laban movement semantics were imported to study the sematic realtions of arm gestures of it. As a result of this study, five distinctive arm gestures and three clear specific qualities were found in Haenam Kangkang Sullae, which consisted of thirteen sections. The characteristic of these five armgestures was that they contain the grasping dancer's or another dancer's hands, and the sameness of three specific qualities of arm gestures was that they contain light beatings. According to Delsarte, the form of grasping hands is divided into blessing and support, depending on the shape of hand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Laban movement analysis, the floor pattern, which is made while hands were grasped and released, is divided into gathering and scattering, and owning and refusing. In addtion, light beating, the distinctive quality of arm gestures, was interpreted as a light movement which raises amusement. Therefore, Kangkang Sullae, which is accompanied by music which contains the emotion and reality of the mass of people, and is performed by grasping another's hands and circling, interprets all the phenomena of this world as blessing and support, refuses contradictions, and forms the whole union, therefore, it is likely that this original meaning of Kangkang Sullae is the ethnic essence. As a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arm gestures are classified into two. First, arm gestures have been structured in order to convey the meanig as a tool of communication, second, they have developed specific qualities in order to express people's emotions. Most of traditional folk dance is naturally destroyed if the status of cultural and social group is destroyed because social function and meaning of dance, which is a typical and cultural sense and manifestation of society, is extincted. In modern life, which is describes as discontinuation with history, pluralism of cultural taste, individual isolation by a sicial stratum and a type of occupation, continuous contact with new media, it is not necessary to follow traditional dance; therefore, the moderns lost the direct contact with traditional dance, and traditional dance is not considered cultural element, which integrates good senses of life. However, this is the reason why dance should be studied in terms of ethnicity, and this study can be the right model which presents the critical mind to dance world.;어디에서 살고 있든지 인류는 사회적이며 문화적 의미를 지닌 복잡하게 구조화된 신체 행동체계와 연관되어 있다. 인류는 나이, 민족성, 계층, 가족, 전통, 성별, 성 정체성, 기술, 환경, 선택에 따라서 좀더 구체적인 신체적 기술을 배우거나 연습한다. 의미론에서는 이러한 모든 활동을 구체화된 지식으로부터 나온 의미 있는 행동으로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움직임과 의미와의 관계를 연구하기 위하여 민족무용학적 관점에서 강강술래 춤의 팔 동작을 분석하여 그 의미를 찾고자 한다. 민족 무용학이라는 것은 민족무용을 인간의 내적 감정과 외적인 생활을 표현하는 가장 순수한 형태로 보고, 문화적 정황 속에서 살아있는 춤의 형식을 연구하여 민족무용의 양식들에 보다 체계적인 미적 논리와 의미를 부여 한다. 이 연구에서는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춤에 대한 민족무용학적 관점을 이론적 배경으로 조사하였고, 그 개념을 바탕으로 해남 강강술래 춤의 팔 동작을 관찰의 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강강술래 춤의 팔 동작을 구조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라반의 움직임 분석의 개념을 사용하였고, 의미론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델사르트와 라반식 움직임의 의미론을 연구해 보았다. 그리 구조와 특질이 분석되었으며, 분석된 결과를 의미론에 기초하여 팔 동작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해남 강강술래 춤은 전체 13가지 구성에서 팔 동작의 다섯 가지 구조와 세 가지 특질이 발견되었다. 팔 동작의 구조분석 결과 손잡기 형태가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세 가지 특질을 분석한 결과 경쾌한 토닥거리기의 특질이 나타났다. 이러한 구조와 특질을 델사르트와 라반의 움직임의 미와 관련하여 팔 동작 특성과 의미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손잡기의 형태는 델사르트식 의미에서 볼 때, 손 모양 형태에 따라 "축복과 지지"를 의미한다. 그리고 라반식 의미에서는 손을 잡고 푸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춤 길이 '모아지는'동작과 '흩어지는'동작으로 나타나고, "소유와 거절"의 의미로 표현된다고 보았다. 또한 세 가지 팔 동작 특질은 '토닥거리기'의 에포트가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경쾌한 동작으로 "흥"을 돋구는 역동적 요소로 작용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민중들의 정서와 실제를 담은 노래를 부르며 손에 손을 잡고 둥글게 도는 강강술래 춤은 그들의 삶 속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을 '축복과 지지'로서 바라는 것은 소유하며, 모순된 것은 거절하여 공동체적 일체감을 흥겹게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의미가 강강술래 춤의 원형적 의미이며 우리의 민족적 본질이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민족무용학적 관점에서 강강술래 춤의 팔 동작의 특성과 의미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팔 동작은 두 가지로 움직임이 분류되었는데, 하나는 의미를 표현하기 위한 의사소통의 수단으로서 팔 동작의 구조가 만들어지고 다른 하나는 감정을 일으키기 위한 역동적인 요소로서 움직임의 특질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특정한 사회집단의 문화적 통합상태가 파괴되는 순간 대부분의 경우 전통적 춤은 소멸된다. 특정 사회의 전형적 문화양식이자 심리적 구심동기로서의 춤의 사회적 기능과 의의가 상실되기 때문이다. 역사와의 단절, 문화취향의 다원화, 계층과 직종의 차이에 따른 개인의 고립화, 새로운 매체와의 빈번한 접촉 등으로 특징화되는 오늘날의 도회적 생활양식에서는 옛 양식의 춤을 따라야 할 필성이나 장소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사회적 통합의 구심점이 모호한 현대사회에서 인간은 춤과의 직접적 접촉을 잃었으며 춤은 이제 더 이상 삶의 양식을 통합하는 문화적 요소가 아니다. 그러나 역설적이지만 이것이야말로 춤을 민족무용학적으로 살펴야 할 이유가 된다. 이를 위해 연구자 자신이 처해있는 문화적 정황 속에서 살아 있는 춤의 형식을 연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민족무용학적 관점에서 시도한 본 연구는 그러한 문제의식이 인류 무용 전체에 고루 전개되도록 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