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21 Download: 0

자기 표현 훈련 프로그램이 자기 표현과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자기 표현 훈련 프로그램이 자기 표현과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Assertive Traing Program on assertive behavior and self-esteem
Authors
최윤희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심리분야
Keywords
자기표현훈련프로그램자아존중감자기훈련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o what degree the programs of Assertive Training Program can exert an influence both on assertiveness and self-esteem of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second grade students of a coeducational high school in Chong-Ju. At first, "Assertiveness Scale Test" was given to 153 students and selected 50 students from among volunteers to participate who got low score and they were measured with "Self-Esteem Inventory." Among those picked up at random the control group(20 : 10 males, 10 females) and the experimental group(20 : 10 males,10 females) : on which the Assertive Training Program [ATP] was practiced The ATP involves understanding of assertive behavior, analyzing nonassertive behavior, rational thinking, model ins of assertive beha-viors, role - playing and feedback, and expressing oneself positively in daily life in each session. All subjects met twice a week for 5 weeks, (9 times in all, and 90 - 150 minutes each) The ques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Can ATP increase substantialIy assertive behavior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go through the assertive training? 2) Can ATP have an effect on increasing sol f-esteem of the experimental group? 3) Can ATP make any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assertive behavior in the experimental group? Assertiveness was measur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Rakos & Sch-roeder's Scale. Self-esteem was measur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Coopersmith's Scale. I analyzed the average marks, to find out the same quality and the difference among groups through t-tests of pre and post Assertive Behavior Test and Self- Esteem Inventory. As a result, 1) The assertive training increased effectively at the P<.05 level the assertive behavior of male and at the P<.001 level that of female in the experimental group. 2) The assertive training was more effective than the female control group in Self-Esteem Scale. (P<.01 level)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between the male experimental group and the male control group. (P>.10 level) 3)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male group and the female group in assertive behavior in the experimental group. From these results, we can see that assertive training program has increased the assertive behavior significantly but not increased the self-esteem absolutely. According to the studies of O'Malley & Bach-man(1979) and Bush(1977), Simmons & Blyth(1987) there was the sexual difference in self-esteem and that of female was lower than male. And other studies has reported on the increment of self-esteem but I think that the self-esteem becomes stable when it reaches regular level at their youth, and is unlikily to change rapid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cond grade students of a coeducational high school, so it would be unacceptable to generalize it to al1 high school students. It would be necessary to figure out how much of the effects of assertive behavior and self-esteem is directly related to their surroundings, by comparing those of male, female and coed students.;본 연구는 자기 표현 훈련이 남·녀 고등학생의 자기 표현과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피험자는 청주시소재 남·녀공학에 재학중인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이었다. 실험 처치전 모든 피험자 153명(남61,여92)에게 자기 표현 평정 척도검사를 실시한 후 참여 의사를 밝힌 학생중에서 낮은 점수를 얻은 순으로 50명을 선발하여 자아 존중감검사를 실시하였다. 자아 존중감검사후 점수가 낮은 학생들을 중심으로 자기 표현집단에 20명(남10명, 여10명), 통제 집단에 20명(남10명, 여10명)을 무선 배정하였다. 자기 표현 훈련집단은 남·녀 각각 10명씩 두 집단으로 나누었다. 자기 표현 훈련에서 사용한 프로그램은 Rakos & Schroeder(1980)의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을 우리 나라 실정에 맞게 개발한 변창진, 김성희(1980)의 자기 표현 훈련 프로그램을 기본으로 하였다. 프로그램의 실시 시간은 1회에 90-150분씩이었고, 집단 활동은 주 2회씩 총 9회에 걸쳐 실시되었다. 통제 집단은 같은 기간 동안 아무런 처치도 주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한다. 1. 자기 표현 훈련은 실질적으로 자기 표현 정도를 증가시키는가? 2. 자기 표현 훈련은 자아 존중감에 상승 효과를 주는가? 3. 자기 표현 훈련은 남·녀간에 자기 표현 정도에서 차이를 보이는가? 피험자의 자기 표현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Rakos & Schroeder의 평가척도를 사용하였고, 자아 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Coopersmith(1969)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자기 표현 훈련전에 실시한 자기 표현 검사와 자아 존중감 검사에서 얻은 정수의 평균, 집단간의 동질성 여부, 또한 훈련 후에 실시한 자기 표현 검사와 자아 존중감 검사에서 얻은 점수의 평균과 집단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에 t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 1. 자기 표현 훈련으로 자기 표현 정도는, 남학생 집단은 P<.05 수준에서, 여학생 집단은 P<.001수준에서 의미있게 증가되었다. 2.자아 존중감에 있어서는 여학생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P<.0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남학생 집단에서는 통제 집단보다 P>.10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자기 표현 훈련으로 실험 집단 남·녀간의 자기 표현 정도는 P>.10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위의 결과를보면 자기 표현 훈련 프로그램은 자기 표현을 의미있게 증가시키나 자아 존중감은 절대적으로 증가시킨다고 볼 수는 없다. 0'Malley & Bachman(1979)의 연구와 Bush(1977), Simmons & Blyth(1987)의 연구에서 보면 자아 존중감에 성차가 있었으며 여성의 자존감이 더 낮았다. 물론 자아 존중감이 향상되었다는 보고도 있지만, 청년기에 이르면 어느 정도 안정적이 되어 단기간내에 급변하지는 않는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고 2 남·녀 공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했기에 위의 결과를 모든 고교 학생들에게 일반화 시키기는 어렵다. 남학교, 여학교 그리고 남·녀 공학에서의 훈련효과를 비교해봄으로써 환경에 따른 자기 표현과 자아 존중감의 영향을 조사해보는 것이 필요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