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현진-
dc.creator김현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6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6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9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601-
dc.description.abstractPresently, the space for dance practice in Korea does not fully serve its function and purpose due to the structural problem of dance as well as the lack of basic knowledge on the dance environment and on the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the dance environment. By considering the mutual relationship with the physical condition, humans are able to provide emotionally pleasant and satisfactory environment can also be designed as such space- suitable to human's needs; emotionally satisfactory; and a space where the physical factor of environment is preventive from the danger of injur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lies in the study of arranging structures and facilities for pleasant dance exercise space.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the followings were examined through documented research: the sizes of various dance exercise space,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injury and close examination of basic structures and facilities. With the result from the above as the basis, dance practice rooms were inspected on the sport and the surveys were carried out. In a general space, there is a certain range of space which must be guaranteed to each person. This space is a private territory for the individual in a social and psychological concept. When this space is not provided to an individual, it damages one's performance, causes stress and, in a worse case, it may result in sickness or disease. The physical range in accordance with movement, along with the social psychological concept of space must be considered for the practice space, especially for dance- handling both physical and emotional aspects. As for the physical environment of dance practice space, the floo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which it possesses two characteristics determined by the structural system: resilence and resonance. For the structural system of a dance room floor, three types of methods- wood joist framing; mill construction both related to wood; and a concrete slab related to stone- are recommended. A bar and a mirror are also essential factors to the dance space and the finishing touches must be done in details in order not to hinder any dance performances. Controlling the conditions such as the heat, light and sound can be properly adjusted with the installation of artificial equipment and a natural control method following the regular ordinance. Inquiries on the above provide possibility for the plans on environments to be in concord with the planner by being able to recognize the physical factors required in the dance environment. On-the-spot inspection was carried out at the practice rooms in a target school. Despite the fact that most of the practice rooms were recently built and in good condition, the result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users' satisfaction level was decreasing. The same occurred for other practice rooms of recently established school, proving that the users' needs were not properly reflected, upon designing the room. From the research as above,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size of the dance space should contain extra space, considering the physical range, lesson structure and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room. Second, the dance room floor must maintain resilence and resonance. As for the structural system of the floor, wood joist framing, mill construction and concrete slab are recommended. Third, the usage of the dance room floor should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ovements and its usage. Fourth, the result of on-the-spot inspection showed that the visual condition of the room and the users' evaluation after using the room had notable difference. Fifth, the result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negative responses were given on the structure and the surface of the dance room floor and its pleasantness. It also showed that this problem was the main cause of injuries during the dance. In conclusion, a pleasant space for dance practice must be combined with the emotional satisfaction suitable to the user's need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factor. And in order to create the above mentioned space,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dance environment must be organized and realized. I addition, by expanding the range of the survey targets, the research must be urged on general dance rooms which are not in good conditions. Moreover, the dance room floor-which directly influences the dance performance-should be the subject of research needed to be carried out scientifically and in depth, and other additional studies in supplementing the lacking data of dance environment must be continued as well.;현재 우리 나라 무용연습 공간은 무용계의 제도적 문제점, 무용환경 설계에 대한 기초지식의 부족, 무용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그 기능과 목적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인간은 물리적인 환경과 상호작용 하는 관계를 고려하여 정서적으로 만족스럽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창조적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무용환경도 인간이 주체가 되면서 인간의 요구에 맞고, 심리적으로 만족스러우며, 부상의 위험이 예방되는 환경의 물리적 요소가 결합된 공간으로 계획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쾌적한 무용연습공간의 구조 및 시설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제시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에서 무용 연습 공간의 규모제시와 부상의 환경적인 요인, 기본 구조 및 시설에 관해 살펴보았고, 여기에서 결과를 토대로 무용 실기실의 현장 관찰 및 설문지 조사를 실시해 보았다. 일반적인 공간에서 인간에게 보장되어야 할 일정 범위의 공간이 있는데, 이는 사회·심리적 공간개념인 개인공간과 영역이다. 이러한 공간이 확보되지 못할 경우에는 스트레스와 행동 수행에 지장을 미치며 질병을 초래할 수도 있다. 특히 정서와 신체를 다루는 무용에 있어서의 연습공간은 사회·심리적 차원의 공간과 더불어 동작에 따른 신체범위도 고려되어져야 한다. 무용 연습공간의 물리적 환경 요소로는 바닥이 가장 중요하며, 이는 구조 시스템에 의해 결정되는 탄력성과 공명성이라는 두 가지 특성을 가진다. 무용실 바닥의 구조 시스템으로는 목재와 관련 있는 우드 조이스트 프레이밍과 밀 컨스트럭션, 석공 술과 관련있는 콘크리트 슬래브 법 3가지가 추천된다. 바와 거울은 무용공간에 있어 필수적 요인이며 무용수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세부적인 마무리 처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열 환경, 빛 환경, 음 환경의 조절은 일정한 규정에 따라 자연조절법과 인공구조물의 설치로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찰은 무용 환경에 필요한 물리적 요소들을 인식하게 하여, 환경 계획이 설계자와의 동일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실기실의 현황 조사에서는 조사 대상 학교의 무용실 대부분이 지어진지 오래되지 않아 비교적 양호한 상태였음에도 불구하고 설문지 조사 결과에서는 이용자들의 만족도가 떨어지고 있음을 나타냈다. 이는 최근에 신설된 학교의 무용실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었으므로 설계시 이용자들의 요구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음을 입증하는 결과이다. 이상과 같은 문헌 연구와 현황 조사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 공간의 규모는 신체범위와 한 수업구성과 학급인원을 고려하여 부딪힘이 없도록 여유 있는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둘째, 무용실 바닥은 탄력성과 공명도를 유지해야하며, 이를 위한 바닥의 구조 시스템으로는 우드 조이스트 프레이밍, 밀 컨스트럭션, 콘크리트 슬래브 법이 추천된다. 셋째, 무용실 바닥의 쓰임은 움직임의 특질과 사용 용도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좋다. 넷째, 현장 관찰 조사에 의한 결과로는 시각적으로 보이는 상태와 이용자들의 사용후 나타나는 평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설문지 조사에 의한 결과로는 무용실의 확보와 바닥의 구조와 표면 그리고 쾌적성에서 부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이로 인한 문제점은 무용부상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쾌적한 무용 연습 공간은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심리적 만족요소와 물리적인 환경 요소가 결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선 이용자들의 무용환경에 대한 평가 방법이 더욱 체계화되고 구체화 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조사 대상의 범위를 넓혀 상태가 좋지 않은 일반적인 무용실에 대한 연구도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무용수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무용실 바닥은 우리 나라의 기후 조건과 한국 무용이라는 장르에 적용될 수 있도록 과학적이며 심도 있는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며, 그리고 그 외에 부족한 무용 환경의 자료를 보충할 후속 연구가 계속되어야 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내용 및 방법 = 3 C.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환경과 인간형태에 관한 이론 = 5 B. 무용부상의 환경적 요인 = 14 Ⅲ. 무용 연습 공간의 기본구조 및 시설 = 16 A. 무용공간 = 16 B. 무용실 바닥(Dance Floor) = 19 C. 바(Bar), 거울 = 42 D. 열(熱) 환경, 빛 환경, 음(音) 환경 = 44 Ⅳ. 무용과 실기실의 현황 조사 = 51 A. 실기실의 현장 관찰 조사 = 51 1. 연구 대상 = 51 2. 연구 방법 = 52 3. 결과 및 논의 = 53 B. 설문지 조사 = 56 1. 연구 대상 = 56 2. 설문지 평가방법 = 56 3. 결과 및 논의 = 59 Ⅴ. 결론 및 제언 = 69 참고문헌 = 72 부록 = 75 ABSTRACT =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435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쾌적-
dc.subject무용-
dc.subject연습-
dc.subject시설-
dc.title쾌적한 무용 연습 공간을 위한 구조 및 시설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search on Structures and Facilities for Pleasant Dance Practice Space-
dc.format.pagex, 86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9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