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4 Download: 0

M.Duchamp과 J.Beuys의 object작품에 관한 표현이념과 표현방법에 관한 비교

Title
M.Duchamp과 J.Beuys의 object작품에 관한 표현이념과 표현방법에 관한 비교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f Marcel Duchamp and J.Beuys expression philosophy and method objects
Authors
신명희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소과
Keywords
M.DuchampJ.Beuysobject작품표현이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Both the Dada and Fluxus movements are exclusive art forms of the 20th century. However, the two movements under the same anti-art banner evolved in different eras and directions. Therefore, this study purports to anlayse by comparing two artists representative of each movement, Marcel Duchamp and Joseph Beuys, focussing on their distinctive expression philosophy and methods. The central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comparison of the artistic expression philosophy and expression method of the object that theses artistis strove for. Contents of the study are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of which is expression philosophy further analysed from the aspects of artistic philosophy, fusion of art and life and finally non-perpetuality. The second part focuses on the expression methods of the objects form, theme, methaphoric language, creation and presentation dimensions. The method applied in the study is a compreheusive analysis of literature, catalogues and art-related magazines and journals. Selection of the art pieces themselves was based on the Robere-Rebell catalogue, edition of 1959, the chebarez catalogue, edition of 1969, and the 'Ready-made, printed by the pompidou Center, Museum of Modern Art in 1977. 40 works by M. Duchamp and 40 works by J. Beuys from the period in which 'object' art was most active circa the 1960's to the 1970's comprise the final selection of 80 pieces for the abundance of the expression of the Anti-Art concept. Expression philosophy is examined in detail as artistic philosophy, fusion of life and art, non-perpetuality and expression methods are divided into the object's form, theme, metaphoric language, creation and presentation dimensions for comparison. The results of comparing M. Duchamp and J. Beuys expression philosophy and methods of objects are as follows : 1. The expression philosophy in M. Duchamp and J. Beuys art can be characterized as Anti-Art which rejects the formal aesthetics of traditional art and the destruction of the separation between human life and art in order to fuse a unified whole of life and art. 2. From the conceptual dimension, M. Duchamp's art is the result of intellectual thought, while J. Beuys' art is a composite of intellectual thought and sensational experience. 3. Concerning the fusion process of human life and art, M. Duchamp sought to convert the quotidian every day life object into an object d'art, while J. Beuys utilized the method of converting objects from daily life also, Beuys further converted the natural object into artistic objects and strove to weaken the gap and distance between art and the andience through performance Art. 4. Non-perpetuality in M. Duchamp's art is expressed through the ready-made concept lacking uniqueness, copying and concept-ualization phenomena, while in J. Beuys's process art, the process itself, non-perpetual objects, performance and concept-ualization are the methods. 5. The form of the object in M. Duchamp's case, appears with the objects symbolic meaning castrated and the objects symbolic meaning castrated and the artists emotions drained. Thus an impersonal image of the object is his art. With J. Beuys, the artists emotions are drawn out to express the symbolic meaning of the object as a personal image. 6. M. Duchamp's main theme is expressed through illogical and meaningless characteristics of metaphysical abstraction, while J. Beuys theme is inherently symbolic of the mobility of the principles involved in life and death. 7. The language of M. Duchamp and J. Beuys alike is not of the abstract concepts but of the metaphorical nature by connotation and specific methods. 8. Creative processes of M. Duchamp and J. Beuys are both in rejecting the methods of traditional art. 9. The presentation dimensions of M. Duchamp are limited indoors, therefore the location, static space and expansion of literal space and the visual mobility are character istics. As for J. Beuys, there are no limitations to indoors or open space and his artistic space can be discribed by it's character like changeability and the situation or environment in which his art is performed. J. Beuys' artistic space is ever expanding and changing. The expression philosophies of Dada & Fluxus are Anti-Art, fusion oriented(of art and life) and non-perpotual in nature. Thus results of the comparison on the artistic spirit of M. Duchamp and J. Beuys have been presented. In conclusion, M. Duchamp's art is solely the product of an artist emphasizing idea above emotional expression and Intellectual thoughts. The Ready-made concept was devised to erase the boundarcies of art and objects in daily life. On the other hand, J. Beuys emphasized the conceptualization motives rather than the aesthetic aspects of sensational experience and intellctual thoughts and divised the concept of art in daily life, as art, through performance art. Expression methods of M. Duchamp and J. Beuy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object resulting from the expression theories. As a result, the two artists were shown to reject the traditional methods of creation and standard of beauty to express objects through Anti- artistic methods and expanding the boundaries of art into daily life. Further more, J. Beuys' Performance Art and installation works is the source from which evolved a new artistic phase of process art. M. Duchamp's main theme is reflected in his metaphysical abstraction of daily life and reality while J. Beuys emphasis idea in the real meaning of the connotative and symbolic object which is an extension of human spirit.;20세기 전위예술로서 Dada와 Fluxus는 같은 반예술 개념하에 상이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서로 다른 방법으로 추구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사조의 대표적 작가 Marcel Duchamp과 Joseph Beuys에 대하여 표현이념과 표현방법을 비교하여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M. Duchamp과 J. Beuys가 예술적 표현수단으로 선택한 object의 표현이념과 표현방법을 비교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표현이념과 표현방법으로 나누어 표현이념은 예술 이념, 예술과 인생의 二分法 解消, 비 영구성으로, 표현방법은 object의 형태, 명제, 은유적 언어, 제작과정, 전시공간을 관점으로 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 카탈로그, 미술잡지등과 작품을 기본 도구로 하였다. 작품 표집은 1959년에 발행된 Robere-Rebell판과 1969년 Chebarez판 카달로그와 1977년 뽕삐두 미술관에서 발행된 Ready-made에 의하여 M. Duchamp의 작품 40점과 J. Beuys의 object 작품이 활발했던 1960-1970년대의 작품 40점을 반예술 개념의 특성이 적절히 드러난 object 작품 총 80점을 목적 표출하였다. 표현이념에서는 예술이념, 예술과 인생의 二分法 解消, 비영구성으로, 표현방법에서는 object의 형태, 명제, 은유적 언어, 제작과장, 전시 공간의 관점으로 세분하여 비교하였다. M. Duchamp과 J. Beuys의 object 작품에 관한 표현이념과 표현방 법에 대하여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M, Duchamp과 J. Beuys 작품 전반에 나타나는 표현이념의 특성은 전통예술의 형식적 미학을 부정하는 반예술론과 예술과 인간 삶의 분리를 解消하여 동일화시키는 통합으로 나타난다. 2. 개념적 측면은 M. Duchamp의 경우 지적사고의 결과로서, J, Beuys는 감각적 경험의 결과와 지적사고의 결과로서 나타난다. 3. 예술과 인간 삶의 통한은 M. Buchamp의 경우 일상품을 예술품의 object로 전환시키는 방법으로, J. Beuys는 일상품과 자연대상물을 예술적 object로 전환시키고, 행위예술을 통하여 관객과의 거리를 좁히는 방법에 의해 추구되었다. 4. 비영구성은 M. Duchamp의 경우 유일성 결여의 Ready-made, 복제예술, 개념화 현상으로, J. Beuys는 과정예술로서 과정화, 비영구적 object, 행위화, 개념화 현상으로 나타난다. 5. object 형태는 M. Duchamp의 경우 물체의 상징적 의미를 제거시키고, 작가의 감정을 배제시킨 비개성적 이미지의 object로 나타나며, J. Beuys는 물체의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기 위하여 작가의 감정을 내포한 개성적 이미지의 object로 나타난다. 6. 명제는 M. Duchamp의 경우 불합리하고 무의미한 특징의 형이상학적 不可解性으로 나타나며, J. Beuys는 生과 死를 변치 않는 원칙의 유동성에 기인한 상징적 의미를 함축적으로 표현했다. 7. M. Duchamp과 .J. Beuys는 추상적 개념에 의한 언어가 아닌 구체적인 방법의 함축적 의미가 내재된 은유적 언어로 나타난다. 8. 제작과정은 M. Duchamp과 J. Beuys 모두 전통적인 예술 작품의 제작과정을 배제시켰다. 9. 전시공간은 M. Duchamp의 경우 실내작품만으로 한정되어 제한된 장소성, 정적인 공간, 적극적 공간 확산, 시각적인 운동성의 동적 공간이며, J. Beuys는 실내외공간에 제한 받지 않으며 주변 환경과 상황적 특성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가변적 공간과 예술공간을 확장시키는 공간확산의 특성을 갖는다. 표현이념은 Dada와 Fluxus사조의 반예술, 예술과 인간 삶의 통합, 비영구성에 근거한 M. Duchamp과 J. Beuys의 예술정신과 그로 인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M. Duchamp은 작가의 감성 표현보다는 아이디어를 중시 여기는 지적 사고의 결과로서 개념적 성격의 특징과 예술품과 일상품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Ready-made개념을 창출시켜 예술과 인간 삶의 통합을 추구하였다. J. Beuys는 감각적 경험과 지적 사고의 결과로서 미학적 측면보다는 개념적 의도를 중시하였고 행위예술을 통하여 인간 삶의 영역을 예술적 표현영역으로 포함시키는 삶의 예술, 생활의 예술을 창출하였다. 표현 방법은 M. Duchamp과 J. Beuys의 표현이념에 따라 표현되는 object 작품의 방법적 측면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작가는 전통예술의 미학적 측면과 제작과정을 제거시키는 방법으로 반미학적 object를 제시하여 예술작품이 되기 위한 선결조건의 폭을 확장시켰다. 또한 J. Beuys의 설치작업과 행위예술은 새로운 예술영역으로서 과정 예술을 창출시켰다. M, Duchamp의 명제는 일상적 Reality를 벗어난 形而上學的인 不可解性의 특징이 나타나며, J, Beuys는 인간의식의 영역을 확장시키고자 관념적, 상징적 유동성이 잠재한 object에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