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문경원-
dc.creator문경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0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7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9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725-
dc.description.abstractThese days. art is defined in diverse ways. While only definite artistic styles based on one absolute value existed before 1945. post-war tendency of modern art expatiated various isms and brought out many types of art concepts under two great streams such as abstract and figurative. Especially, along with the changes in the structure of society, the 80s became even more complex with the coexistence of all the previous styles and concepts. This had the characteristics of pluralism, and shows many progressions based on diversity, and suggests the openness in approach to these progressions. In other words, it was one way of judging the pureness of modernism, and consequently the newborn post-modernism along the same extension has emerged. Here, post-modernism is the movement of cultural concept throughout the societies and cultures rather than just one of the art styles. This flow is still evident today and art trends show multivalent tendency in this open cultural boundary. Under this circumstance, I try t o incorporate all the contemporary aspects to the full extent with an open mind. Artist should put an effort to extract the essence of spirit visually rather than to pursue a vague reason or self-rationalization. Therefore, I pursue the approach to the outer world using my own formative languages through multiple interpretations about the objects in everyday life. In order to derive this interpretation, symbolic characteristics are introduced in my works. This is due to the circumstance of our time which has the complex meaning in itself, and therefore, I intend to communicate with the viewers. Burrowing the image, installation, photography and various media were used to form wider exhibition space. Through it all, I research for the space that invokes the unique experience from the viewers. I relate my expansion of text to Bruce Nauman, who uses his own language to expand metaphysical works, and compare the signs expressed in my works with Jasper Jones, photographic methods with John Baldessari and my way of inducing t h e unique experience of sharing the space with viewers with Michelangello Pistoleto. who pursue the infinite space by concepts of momentariness and relativeness. This is a production thesis that mentions the image as symbol which induce various meanings about the objects, burrowing everyday image, and putting together photography and painting. In conclusion, it focuses on the explanation on juxtaposition of plane and cube by installation to express circumstantial space and expansion of space through the mirror. At the end, my works are presented and analyzed so as to make this as an opportunity to explore my future approaches toward my art works.;오늘날 예술을 정의하는 시작은 매우 다양하다. 1945년 이전의 미술 양식에서는 하나의 절대적 가치에 근거를 둔 특정 양식이 존재했던 것에 비하여, 전후 현대 미술의 경향은 구상과 추상의 커다란 두가지 흐름안에서 여러가지 형태의 예술 개념이 도출되고 있다. 특히 1980년대 이후에는 사회 구조의 변화와 함께 이제까지의 모든 양식과 정신들이 동시에 공존하게 되면서 한층 더 복잡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이것은 다원화된 미술의 특성을 지니며 다양성을 바탕으로 여러 경향을 보여줌과 동시에 이러한 경향으로 접근하는 열린 태도를 보여준다. 다시 말하면 이는 모더니즘(Modernism)의 순수성을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동시에 그 연장 선상에서 새롭게 출발하는 포스트 모더니즘 (Post-modernism)을 의미한다. 여기서 포스트 모더니즘은 하나의 양식이라기 보다는 사회 문화 전반에 걸친 시대적 상황을 의미한다. 이러한 흐름은 오늘날까지 이행되고 있으며, 미술은 개방적 문화의 영역안에서 다원주의적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시대적 상황에서 본인은 개방적 태도를 가지고 본인이 속한 동시대적인 모든 양상을 폭넓게 수용하고자 한다. 예술의 수많은 논쟁 아래서 막연한 논리의 추구와 자기 합리화가 아닌 정신의 본질을 시각적으로 이끌어 내는 노력은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본인은 오늘날의 다양하고 모순적인 상황 속에서 존재가 지니는 양면성, 즉 일상적 삶속의 대상에 대한 다의적 해석을 통하여 모든 세계의 구조에 대한 접근을 나름의 조형 방식으로 찾아 보고자 한다. 이러한 해석의 유도를 위하여 본인은 형상이 가지는 기호적 성격을 탐구하고 사용한다. 이것은 오늘날의 시대 상황 자체가 복합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고 관객과의 소통을 염두에 두었기 때문이다. 또한 이것을 위한 방법으로 차용과 설치, 사진기법,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폭넓은 전시 공간을 설정한다. 이를 통하여 관람자에게 독특한 체험을 유발 시키는 공간을 연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본인은 오늘날의 많은 작가들중 형이상학적 작품을 자신의 언어로 잘 전개하고 있는 브루스 노만(Bruce Nauman;1941∼)을 참고하여 본인의 내용 전개의 방법과 연관시켜 보고자 하였고 작품속에 내포된 기호성에 관하여서는 재스퍼 존스(Jasper Johns;1930∼)의 기호 의미와 비교하였다. 사진 기법에 있어서는 존 밸드사리(John Baldessari .1931∼)를 본인의 작업과 비교해 보고 관람자와 함께 공유하고픈 공간의 독특한 체험 유발은 일시성과 상대성의 개념으로 무한의 공간을 추구하늘 미켈란젤로 피스톨레토(Michelangelo Pistoletto;1933∼)와 비교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제작논문의 성격으로, 대상에 대한 다의적 해석을 유도하기 위한 기호로서의 형상, 일상이미지의 차용, 사진과 회화의 결합에 관하여 언급하며, 그 결과로서 상황적 공간의 표현을 위해 설치방법을 통한 평면과 입체의 병치 그리고 거울에 의한 공간의 확장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인의 작품을 제시, 분석해 봄으로써 앞으로의 전개 방향을 모색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ⅲ Ⅰ. 서론 = 1 Ⅱ. 대상에 대한 다의적 해석 = 4 1. 기호로서의 형상 = 4 2. 일상적 이미지의 차용 = 9 3. 사진과 회화의 결합 = 11 Ⅲ. 상황적 공간의 제시 = 15 1. 평면과 입체의 병치 = 15 2. 거울에 의한 공간의 확장 = 17 참고작품 = 20 Ⅳ. 본인 작품 분석 = 22 Ⅴ. 결론 = 40 참고문헌 = 42 ABSTRACT = 4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901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다의성-
dc.subject열린 공간-
dc.subjectOpen Space-
dc.subject서양화-
dc.title다의성(多義性)을 함유한 열린 공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Open Space Incorporating the Multivalence-
dc.format.pageiv, 43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서양화과-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