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영순-
dc.creator김영순-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6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4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9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46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first: the attempt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the role- expectationo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their parents using content analysis of the results which are described in particular and non-interference by the students. second: the intention to investigate the role-expectation of the students by classifying the characteristics (middle and high, Sex), and to provide a basic information helpful for teaching the students in school. Through this studey, the following problems have been investigated, by comparing the contents of the subjects,as classified here 1) Difference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2) Difference by sex 3) Difference by birth order in a family 4) Difference by family members who influenced the growing child-hood 5) Difference by various traits of their parents 6) Difference by traits of the students in similarity, dissimilarity, relative level and range to their parents 7) Difference between the same study in 1973 and today. To reach the conclusion, the data was obtained from each school (middle and high, girls and boys) of the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in Swoul, total 20 schools. The students of each second grade class are selected. In the questionaire "A", what the expectation of the students to their parents are described in particular, and in the same "B" as adjective assortment, the mark "V" is checked by the students on their desirable father or mother. The contents self-described by the students in non-interference are classified by each trait as following 4 major items, a) Personality expectation b) Relationship with parents are their juniors c) All the family affairs d) Et. The above item "a" is specified as activity, consideration and social intercourese, item "b" also spexified in particular as positive/negative affection, protective, developmental and self-restraint expectation, item "c" as harmony and cooperationn, and the last item "d" as behavior of willingness and the opposite. The conclusion from various data is as follows, 1) The middle school students have greater expectation to his parents than the high school one in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the family affairs, and the later more than the former in personality expectation. 2) The boy students have greater percentage of expectation than the girl in personality expectation and only to his mother in the family affairs. The girl students have greater one than the boy to her fater in the family affairs, to her mother in relationship wiht parents and the etc (behavior). 3) The eldest students of a family have particularly lower percentag of expectation in all items. 4) The students who spent childhood departed from their own parents have generally greater percentage of expectation. 5) The students of lower educated fathers have greater percentage of expectation in all items. The students of aged parents greater in personality and family affairs, and the ones of fathers with professional job also have greater expectation in relationship with parents respectivley. 6) The high school students have more expectation to this father and mother the middle school one, and also the middle one in grade, the boy on sex more to parents respectively. All in grade or sex has commonly greater expectation in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juniors. 7) The students of today have more expectation than the result of the studey in 1973, and thus consquently these results point to the fact that he needs more humanity, human relation, home and etc. In the questionaire "B", percentage of the selected adjectives checked by the students was obtained and analysed the checked adjectives (60%) for father, mother or both parents. At the result of aboves, it is known that the middle school students pointed more to their father in consideration, and more to their mother in family affairs, meanwhile the high school students more to their father in negative affection, and more to their mother in social intercourse. At last, it clear that the similarity of the questionaire "A" and "B" is resulted accordingly.;본 논문의 목적은 첫째 중고등학생들이 그들의 부모에게 기대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조사 분석하고 둘째 학생들의 특성 즉 학력 성별에 따라 그 기대내용의 변화를 고찰하여 학교에서 학생들을 지도하는데 참고 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본 연구에서 검토하고자 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①자녀의 기대내용은 중고별로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②자녀의 기대내용은 성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③자녀의 기대내용은 자녀의 출생순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④자녀의 기대내용은 자녀의 성장에 영향을 준 사람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⑤자녀의 기대내용은 부모의 학력, 연령, 직업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⑥부, 모 각각에 대한 기대내용의 동일성과 상이성, 상대적 기대의 정도 및 기대의 범위는 자녀의 특성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⑦1973년도 한국 행동과학 연구소에서 실시한 “부모의 역할에 대한 자녀의 기대”에서의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어떤 차이가 있는가? 이를 위하여 본연구는 서울시내 학교중에서 각 교육구청 관할내의 남녀중고등학교별로 1개교씩 합계 20개교를 의도적으로 선출하여 2학년 한반씩을 선정하고 질문A에서는 부모에게 기대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생각나는대로 자세히 기록하도록 하고 질문B에서는 형용사 체크리스트로서 자녀들이 바람직한 아버지 또는 어머니를 나타낸다고 생각하는 형용사에 V표 하도록 하였다. 자유롭게 서술한 내용은 그 내용의 성격에 따라 인성기대, 부모-자녀간, 가정전반, 기타의 4가지 큰 유목으로 분류하고 다시 인성기대는 활동성, 사려성, 사교성으로 나누고 부모-자녀간은 적극적 친애기대, 소극적 친애기대, 보호기대, 발전기대, 자율기대의 5가지 세부유목으로 분류하고 가정전반은 조화와 협동으로, 기타기대는 원하는 행동과 원치않는 행동으로 분류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중학생은 부모에 대해서 부모-자녀간의 기대, 가정전반의 기대가 고교생보다 높고 고교생은 인성기대가 중학생보다 높다. ②남학생은 부모에게 대하여는 인성기대가, 어머니에게만은 가정전반에 대한 기대율이 여학생보다 높고, 여학생은 아버지에게는 가정전반의 기대, 어머니에게 대해서는 부모-자녀간의 기대와 기타기대에서 남학생보다 기대율이 높다. ③첫째로 출생한 자녀는 특히 모든 유목에서 기대율이 떨어진다. ④친부모이외의 제3자에게서 성장한 자녀들은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유목에서 기대율이 높다. ⑤아버지의 학력이 낮은 학생들은 모든 유목에 대해 기대율이 높고, 부모의 연령이 많은 학생들은 부모에게 인성기대와 가정전반에 대한 기대율이 높다. 또 아버지의 직업이 전문직인 학생들은 부모-자녀간의 기대율이 높다. ⑥고교생이 중학생보다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에게 더 많이 기대하고 중고별에서는 중학생이, 성별에서는 남학생이, 부모에게 기대하는 범위가 더 넓다. 중고남녀를 막론하고 부모에게 똑같이 기대한 유목은 부모-자녀간의 기대이다. ⑦1973년도 학생들과 비교하여 1986년의 학생들이 모든 유목에서 기대율이 높은데 이것은 그 만큼 바라는 요구사항이 많다는 것을 뜻한다. ⑧이와 같은 학생들을 교사는 이해하고 수용하여 학생들이 바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도와야만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문제 = 2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청년기의 발달 특징 = 4 B. 청소년에게 영향을 미치는 관계 = 6 C. 부모-자녀 관계의 일반적 특질 = 8 D. 부모-자녀간의 일상대화의 유형 = 9 Ⅲ. 연구의 방법 및 절차 = 13 A. 조사의 설계 = 13 B. 조사 대상 = 13 C. 설문지 구성 = 14 D. 자료 수집 방법 및 절차 = 14 E. 자료 분석 방법 = 14 F. 자료 처리 = 18 Ⅳ. 연구의 결과 및 해석 = 20 A. 바람직한 부모의 역할기대 분석 = 20 B. 바람직한 부모의 특성 분석 = 62 Ⅴ. 요약 및 결론 = 67 A. 요약 = 67 B. 결론 = 69 참고문헌 = 72 부록 = 74 ABSTRACT =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708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등학교-
dc.subject학생들-
dc.subject부모-
dc.subject역할기대-
dc.title중등학교 학생들이 그들의 부모에게 바라는 역할기대에 관한 조사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ole-Expectation of the Secondory School Students to Their Parents-
dc.format.page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행정분야-
dc.date.awarded198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