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6 Download: 0

물고기의 이미지를 통한 도자 조형 연구

Title
물고기의 이미지를 통한 도자 조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eramic modeling through the image of fish object a wall of inside
Authors
이희정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도예과
Keywords
물고기도자조형벽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Nature has been the grounds of our life, and recognized as the infinite object we can feel beauty. Human beings has displayed their desire to explore and express nature, and grown their aesthetic concept on beauty. Therefore, they want to make their lives abundant by taking nature as the subject of expression, not possession or conquest. This study is intended express harmony with environment and get order by choosing natural material, fish as the subject of creation in the urbanized environment. Therefore, I'd like to express my subjective interpretation, recognizing we are part of nature. In the body of this study, I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nkind and nature, and commented on human modeling activities and symbols. Also, I suggested the process of exploring and modeling the shape and surface of fish, and studied the works modeling it. AS a design process, I observed fish and attempted to variously express emotion and order according to subjective interpretation. To express the image of fish, I studied the order and characteristic of material, and expressed dynamic area to show it is the subject of life. As a producing method, I used coiling which makes me express freely, modeling, and press building which gives repetition effect, and slab building, and gave my work texture effect for individuality. Considering the transformation of clay body when set up in the exterior wall, including interior wall, I used stoneware clay. Also, I used ceramic clay expecting glare effect according to the work. Glaze is sprayed, mixde with dry organic textured one and rough stoneware clay, and semi-matt one is also used to express the softness of fish. According to the work, I did mixing with metal oxidantd object or completed the rough surface of stone ware clay with dressing clay and sprayed. Concerning firing, the first firing was done in 1.5㎥ gas kiln at 900℃ for 9 hours and the second firing was done at 1250℃ for 10 hours. was done by restoring firing and the other works, by oxidantd firing. The results from the production of my work are as follows. First, I could express the various images of fish with its elements-streamline shape, the line of a fin, and scales, and see nature with the view of pure modeling. Second, the curved line of fish showed the mobility of nature. The line of fish also displayed its continuous mobility. Third, I saw the characteristics as the elements of a scale, thorn, and fin, and could feel voluminous when arranging them repetitively. Fourth, with the subject of the wall, I could expand the view on ceramic to the environmental aspects. Nature has been the countless materials of art, and looks different according to the expression angle, so there should be diverse translations of materials.;자연은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무한한 대상으로 인식되어 예술가들에게 영감의 대상이 되어왔다. 자연환경은 인간이 탐구하고 표현하고자하는 욕구를 발산시킬 수 있는 바탕이 되었고 아름다움에 대한 미의식을 키울 수 있었다. 아름다움에 대한 근원은 대자연을 발견하는 아름다움과 인간에 의해 창조되어지는 아름다움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자연은 예술행위를 자극하여 소유하거나 정복의 대상이 아닌 표현의 대상으로 삶을 윤택하게 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자연소재 중에서 인간생활과 친근한 물고기를 표현의 대상으로 삼아서 도시화되어가는 생활환경에서 자연으로 돌아가려는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조형화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생활환경을 아름답게 장식하려는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였다. 이는 우리가 늘 접하고 있는 실내환경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자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자연속에서 늘 대해왔던 물고기를 조형의 원리로 이용하여 본질적인 형태상의 특성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연구자의 주관적인 해석에 따라 제작하고자 한다. 인간은 자연을 통한 연구로 그 들 사이의 법칙을 알게 되었고, 점차 인간의 행위로 얻게된 예술활동으로 자연을 형상화 시켜왔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서, 인간은 자연을 모방하는 단계에서 벗어나 표현하는 단계에 이룰 수 있었다. 예술 의식을 바탕으로 실내환경을 위한 인간의 조형활동과 예술활동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일반적인 물고기가 지니는 형태와 표면을 관찰하여 조형화하는 과정의 작품을 제시하였다. 예로부터 비유적으로 많이 쓰였던 물고기의 상징적인 사례도 살펴보았다. 디자인 과정으로는 물고기의 형태와 표면의 구조, 운동감을 인지하여 거기서 얻어지는 다양한 느낌들을 주관적으로 표현 하였고, 물고기가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서 물고기만이 지닌 유선의 변화와 특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생명력을 나타내기위해 물고기의 율동적인 모습과 역동적인 모습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작품 제작방법으로는 자유로운 율동감을 줄 수 있는 말아올리기기기법(coiling), 모델링기법(modeling)과 반복적인 효과를 위한 압축성형, 판 성형을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작품들에 개성을 살리고자 알맞은 표면 질감을 도구를 이용하여 표현하였다. 소지로는 물고기의 지느러미를 이미지화한 <작품3>은 자기질 소지를 사용하였고. 그 외의 작품은 석기질 소지를 사용하였다. 유약은 반광택유(semi-matt)와 거친 질감을 지닌 석기질 소지와 조화로운 무광택유를 배합하여 분무시유(Spray)하였다. 지느러미와 비늘을 이미지화한 <작품 2>는 금속산화물로 착색을 하고 다른 작품들은 석기질소지 표면을 화장토로 마무리하고나서 분무시유하였다. 소성은 1.5㎥ 도염식 가스가마에서 900℃까지를 마침온도로 9시간동안 1차소성을 한 뒤 2차소성은 10시간동안 최고온도 1250℃로하여 산화염으로 소성하고, 물고기를 통한 역동성 표현인<작품9>만 환원소성을 하였다. 유기적인 선으로 이루어진 물고기는 조형성을 나타내기에 충분한 소재가 되었으며, 작품제작을 통해 다음에 이르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표현의 대상이 된 물고기의 조형적인 면을 유선형, 지느러미의 선과 비늘로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었고, 자연을 순수조형의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었다. 둘째, 물고기의 형태에서 보이는 곡선으로 율동적이며 역동적인 모습을 나타내어 물고기의 선이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다는 동작성을 보여주었다. 셋째, 물고기 표면의 특징중에서 비늘과 가시, 지느러미를 단위체로 보고, 반복하거나 나열하여 덧 붙여서 부조 제작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넷째, 실내의 벽면공간에 도자로 조형을 표현할때, 흙이 가진 표현력으로 물고기의 자연스런 요소를 표현하기에 적합하였고, 실내공간을 장식하려는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었다. 아울러, 도자예술에 대한 시각을 실용적인 면과 더불어 실내 공간적인 면으로 확대시킬 수 있었다. 자연은 우리에게 무궁한 예술의 소재가 되어왔으며, 표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게된다. 자연을 조형화하고자할때 다양한 소재와 기법들을 연구하여 인간이 호흡할 수 있는 실내환경을 이루는 도자예술의 연구로 지향되기를 바라며 이러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