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8 Download: 0

존재(BEING)에 의한 조형적 공간연구

Title
존재(BEING)에 의한 조형적 공간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lastic Space Through Beings
Authors
李熙在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대학원 서양화과
Keywords
존재BEING조형공간연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Since the opening of the 20th century, the artists have begun gradually to shift their attention from external reality to subjectivity.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such a shift is due largely to the collapse of the conventional systems of value especially since the close of World War Ⅱ. Such a shift has led, in the forms of art, to the return to reality which found its expression first in Dadaism, Sur-realism, etc. after the close of the war, and has then developed, in hard-edge cool abstraction and expressionistic abstraction, in the direction of such forms as are based on the painters' subjects. The abstract painting which has begun in such a tide of art finds its line in such painters as Jackson Pollack who sought the expansion of his consciousness in a world of unconsciousness through pursuit of a being directed towards his inwardness, aloof of objective projection, thus focusing his attention on human action, Mark Tobey who sought to realize an inner world in works by repetition through a study of the Oriental thought of Zen and and Sam Francis who sought to express the existential world in metaphorical space. In my works, I try to seek objects in the synthesis cf subject and objects as I see them in such a current rather than seek the objects of art merely in the outer world. Thus, the aim of this thesis lies in clarifying the essence of "To See" and "To Be Seen" and the series of painting activities related thereto. I have endeavored to make clear the theoretical basis for such an aim in works through the connection of M. Ponty's phenomenological stand on perception and the Oriental thought of Zen.;20세기에 들어 서면서부터 차츰 예술가의 관심은 外的 實在로부터 떠나 主觀的인 것으로 변화되기 시작 하였다. 그러한 變化는 제2次 世界大戰 以後의 기존 가치체계의 붕괴가 커다란 요소로 지적되고 있다. 그러한 변화는 美術樣式에 있어서 戰後 처음 Dadaism과 Surrealism등 현실로의 복귀로 시작하여 더 나아가 기하 추상과 표현주의적 추상에서는 화가의 주관에 의한 양식으로 발전되어 갔다. 이러한 美術史潮에서 출발한 抽象美術은 客觀的인 再現에서 벗어난 畵家의 內面을 향한 存在에로의 探究의 발걸음으로서, 自已의 意識확장을 無意識의 世界로 추구하여 人間 Action에 촛점을 맞추었던 J. Pollock과, 東洋의 禪思想의 硏究를 통하여, 작품에서는 반복성(Repetition)으로 내면 세계를 구현하려 하였던 M. Tobey, 또한 存在的인 世界를 여백에 의한 은유적 室間으로 표출 하려고 하던 Sam francis 등의 일련의 화가들을 통하여 그 맥락을 찾아 볼 수 있겠다. 본인의 作品에서는 그러한 흐름속에서 美的 對象을 外部에 의해서 만 찾기 보다는, 對象을 바라보고 있는 主觀과 客觀과의 통합속에서 찾고자 하고 있다. 그리하여 본다는 것과 보여지는 것, 그리고 그와 관련된 일련의 회화 活動의 本質을 밝히려는 노력이 이 論文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한 작품 의도의 理論的 기반을 本人은 M. Ponty의 知覺의 現象學的 立場과 東洋의 禪思想과의 연결을 통해 밝혀 보려고 노력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