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7 Download: 0

Brushstroke에 의한 표현성(表現性) 연구

Title
Brushstroke에 의한 표현성(表現性)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XPRESSION BY BRUSHSTROKE
Authors
권현희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서양화과
Keywords
Brushstroke표현성EXPRESSION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미술의 양식이나 이념은 그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정신의 구체적 상징이고 그 시대를 특징 지우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에 와서 작업의 형태가 어떠한 형식에서 오던지 그것은 인간을 떠난 상황에서는 존재 할 수 없다. 생(生)을 체험하고 구체적 작업활동에서 미래의 가능성을 실현하고 가치를 발견 할 수 있다면 어떠한 작업의 형태도 용납 될 수 있을 것이다. 20세기 이후의 회화의 가장 커다란 혁신이라면 재현적 일류저니즘(Illusionism)의 붕괴와 새로운 화면 현실의 확립이라고 말 할 수 있다. 이에 회화가 조형적 본질에로 귀착하고자 하는 의도는 화가들에 의해 모든 조형요소에 대한 근원적 물음이 시도되었으며, 여기에 따른 화면 현실의 자각은 평면성(flatness)의 확인으로 나타난다. 추상미술운동(Abstract art)은 20세기의 가장 대표적 표현양식으로서 1912년이후 Wassily Kandinsky(1866∼1944)에 의해 본격적인 예술운동으로 전개되어 의식적이거나, 무의식적인 표현방식으로 자신의 주관적인 세계를 추구하는 예술가들에 의해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을 띄게 되었다. 그러한 시도에서 또 하나의 분기점인 1945년이후 Abstract expressionism, Art informel, Pop art, Op art, Hard-edge, Colorfield painting, Object art, Earth art, Happening, Kinetic art, Minimal art, Conceptual art, Hyper realism, Support/Surface 그리고 다원주의적이며 절충적양식을 보여주는 Post-modernism에 이르는 동시적이고 산발적인 전개가 이루어졌다. 이처럼 다양한 표현양식이 공존하고 활발히 전개되는 현대미술의 흐름속에서 본인의 작품은 많은 양식의 축적속에서 나온 여러요소들의 복합성을 지니게 되었다. 오늘의 상황이 원형에의 집착을 나타내며, 이미지(image)의 회복은 허위적 문제라는 생각속에서 회화를 순수한 시각적, 형태적 지각의 대상으로 삼았으며 행위(Geste)와 행위의 귀결로서 나타나는 흔적으로서의 물질성에 관심을 두고 장(場)으로서의 구조화되는 화면을 전개시켜 보았다. 또한 조형적 측면에서 행위자체와 재료자체가 brushstroke에 의해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따쉬(tache)와 틴트(tit)를 본인의 강한 표현적 욕구에 부합되는 기법으로 삼았다. 이론적 기반으로서 내용적인 면은 신체성에 의한 행위의 측면과 Informel, Support/Surface에 근거한 흔적으로서의 의미를 살펴 보았고, 방법적인 면으로는 brushstroke을 중심으로 살펴 본 우연성에 의한 표현 연구를 Sam Francis(1923∼)와 더불어 고찰해 보고 반복·중첩에 의한 표현성은 Claude Viallat(1936∼)와 마지막으로 개방적 공간으로서의 전면화면을 Jackson Pollock(1912∼1959)의 작업을 통하여 본인의 작품연구과정과 비교하여 방법적 특성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과 작품제작을 비교분석하여 본인 작품의 내적 필연성을 확인하고 작업과정에서의 표현 가능성을 추구해 보고 이에 보다 나은 방향에로의 작품세계를 이끄는 기틀이 되었으면 한다.;The styles or the ideas of art can be concrete symbols of humann spirit and characteritic conditions of the times, Nowadays, whatever styles of the work may be, it cannot exist in inhuman conditions. If we can experience life, realize the possibility of future, and find the worth, any the styles of work permitted. Since the 20 C, the most noticeable innovation in painting is the decay of the repeated illusionim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cannvas. Thus the attempt of resulting in plastic fields has taken the primitive inquiry about the plastic elements by artist, and the confirmation of the planeness shows the realization of canvas. The abstraktiondrang can be found in representative arts and has developed as an art movement since 1912 by Wassily Kandinsky(1866-1944), and has taken various and complicated aspects by antists pursuing their own subjective worlds In a conscious or unconnscious expressional manners. In these attempts, since 1945-another turning point-Abstract expressionism, Aat informal, Pop art, Op art Hard-edge. Colorfield painting, Object art, Earth art, Happening, Kinetic art, Minimal art, Coneptual art, Hyper realism, Support / Surface, and pluralistic and compromising Post-modernism appeared simultaneously and sporadically. In the current of modern art in which various experimental attitudes and expressional manners coexist : my work has a complexity derived from the accumlation of these moods. Today's situation shows the tenacity of the original form and the revival of the image is a matter of fiction in that I considered the painting as an object of visual and formative percepion, and my work developed the structurized screen as the field' having the complexity of many factors from the accumulated patterns and concerning the matterness shown up as the result of action (gesture). Besides, I used Tache and tint-which the action inself and the material are made by Brushstroke-as a techniques of my strong expressive desire. In the contents as the orectical aspects, I studied the action by corporeality and the materiality based on Informal, Support / Surface, and in the metholoqy, I studied the accident of Brushstroke with San Francis(1923- ). Made a comparative study of Klaude Viallallat in expression by repeat and reiteration, and finally desired to compare the process of my work with Jackson Pollock's work in the aspects of the allover painting as the openness of space. Through this thesis and the research in the process of making works, I would like to confirm the inner inevitability, explore the possibility of expression, and moreover establish the realm of painting in a higher scale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