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1 Download: 0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내용 구성에 관한 분석적 연구

Title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내용 구성에 관한 분석적 연구
Other Titles
(The) Analytic Study of the Contents Structure of Korean Language Textbook in Middle School : Focusing on the Correlationship with Systematic Elements
Authors
서금옥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Keywords
중학교 국어교과서내용 구성계열 요소상관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제 5차 교육 과정에 맞추어 새롭게 개편된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내용구성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국어과 교육에 이바지하고 현 교과서에서 고쳐야 할 점을 제안하여 다음 교과서 편성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교과서의 모체가 되는 제 5차 교육과정에 제시된 국어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고찰하고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과 이를 반영하는 각 시기의 국어 교과서의 특색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바탕으로 현 교과서의 내용구성을 계열 요소간의 상관성과 자체 계열내의 단원 상호간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교과서가 교육과정을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지를 조명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현 교과서에서 고쳐야 할 몇 가지 사항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얻어진 내용과 제안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현 교과서는 서로 다른 계열 요소인 강독 계열, 문법 계열, 작문 계열이 통합된 형태로 짜여져 있다. 이 중 강독 계열과 작문 계열은 서로 간에 상관성이 매우 크므로 한 교과서 안에 통합되어 있어도 학습 효과를 높이는데 도움을 주지만, 문법 계열은 강독 계열이나 작문 계열과의 사이에 상관성이 별로 없이 독자적인 짜임과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문법 계열은 국어의 음성론 부분의 내용을 보완하여 독립시켜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2. 계열내에서 영역별로 단원 상호간에는 연계성이 매우 높게 나타나므로 단원을 학습할 때에는 같은 영역의 단원들끼리 연결지어 학습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높일 수가 있다. 3. 교과서의 내용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점점 복잡한 것, 추상적인 것을 학습하도록 되어 있으나, 작품선정에 있어서는 사고력을 발달시키는 글과 정서 발달에 도움을 주는 글의 비율에 일관성이 없다. 그러므로 학년이 높아질수록 생각쪽의 글을 일정 비율로 늘여서 학생들의 사고력 발달에 도움을 주도록 교과서를 편성해야 한다. 4. 읽기와 문학 영역은 수업 시수에 비해 작품 수가 적으므로 더 많은 작품을 실어 학생들의 사고력과 문학 작품의 감상력을 길러주고, 말하기/듣기 영역은 수업 시수에 비해 학습량이 너무 많으므로 학습량을 줄여야 실질적으로 학생이 활동의 주체가 될 수 있다. 5. 문학 영역에 있어서는 학생들의 작품 감상력 뿐만 아니라 작품 창작력을 길러 줄 수 있도록 문예 창작에 대한 학습도 이루어져야 한다. 6. 제 4차 교육고정에서 국어 교육의 영역 구분을 '표현·이해', '언어', '문학'의 3대 구조로 했던 것을 제 5차 교육과정세서는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언어, 문학의 6대 구조로 세분화 한 것은 타당하나 교과 목표에 있어서는 대동소이하여 발전이 없으므로 더 나은 방향으로의 모색이 필요하다.;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s structure of Korean language textbook in middle school which has been revised recently according to the fifth cirriculum for education and to propose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in order to prompt the efficienc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better revision of next textbook. To attain this purpose, firstly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examined through the curriculum for education from which a textbook has sprung. And the changes of curriculum for education, which have been revised for five times recently,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textbook, which has been reflected them, are analyzed. Secondly, on the basis of this investigation, the contents structure of present textbook is analyzed focusing on the correlationships with systems and the interconnection of sub-systems within a system. Finally, to what extent whether textbook reflects the curriculum is reviewed. Outcomes from this study are follows : 1. Present textbook is structured with form of integrating reading system, grammar system, and writing system, which are independent system, into one textbook. Here, reading system and writing system have more interrelationship mutually, and this integration within one textbook is desirable because of being helpful to improvement of learning effects. On the other hand, grammar system is not almost correlated with reading and writing system, but plays a role as independent system. And in order to increase learning effects, the phonetics of Korean language must be made up for in grammar system, and learned separately. 2. Within a system, all units of each domain(sub-system) are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when each unit is learned in connection with units of same domain, learning effects will be increased. 3. The contents of textbook are composed of processes of learning more complexity, more abstraction as grade is changed from the lower class to the higher class. In selected works, there is no consistency in the distribution ratio of works which are helpful to improvement of the thinking and feeling separately. And as grade is changed form the lower to the higher, thinking-based works must be increased, and be organized in order to being helpful to thinking development of students. 4. In the domain of reading and literature, the numbers of works are insufficient as compared with teaching hours, and more number of works must be reinforced to increase the thinking power and understanding of literature. On the other hand, in the domain of speaking / listening, which are consist of more quantites of learning as compared with teaching hours, quantities of learning must be decreased so that studeuts can take the initiative in learning-activity practically. 5. In the domain of literature, the learning for literary creation must be considered in order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and creative power of works. 6. In the fourth curriculum for education, the domai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subdivided into three systems, i.e. three-large structure of 'Expression/Understanding', 'Language', and 'Literature'. On the other hard, in fifth curriculum as main domai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sists of six-large structure, i.e. 'Speaking, Listening, Reading, Writing, Language, Literature', this subdivision is reasonable. But objectives of curriculum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compared with that of fourth, and has not been developed. And the ways toward more direction must be explo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