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황월수-
dc.creator황월수-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6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99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8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995-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poetry is taught in junior high school Korean class and to propose a teaching model for poetry instruction in classroom settings.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analyzing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some teachers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is premised on the belief that teaching poetry to students helps them to purify their emotions though their active responses to the poems they read and thereby enhance the quality of their lif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showed that both teachers and students have greater interest in appreciating rather than in analyzing and writing poetry : 77.6% of the teachers and 53.4% of the students responding to the questionnaire gave priority to reading poems for enjoyment. This may be interpreted as a desirable consequence from which teachers are well aware of the general goal of poetry instruction on a junior high school level. However, it may also be seen as a reflection of the classroom situation in which teachers don't go further beyond th simple level of appreciating poetry mainly because of their lack of knowledge of or indifference to the effective methods of teaching poetry. Our suspicion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most teachers have used the 'ready-made' test items found in reference books in testing whether or not students understand the poems they have read. The results of our analysis also show that both teachers and students not only have little interest in reading poems but also fin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m. Our questionnaire reveals that this is caused mainly by the teachers' inability of, or their indifference to, using effective techniques for teaching poetry in a classroom. Therefore, more effective methods for teaching poetry in this study, which is based on the response-based approach, is an outcome of such efforts. Applied to one unit selected form the junior high school textbook, the model has proven to be successful in classroom situations. In addition, more apportunities to make teachers familiar with those methods should be given to them. They may include the offering of a training program and easy access to reliable teacher's guidebooks for teaching poetry.;시 교육은 교육 그 자체에서 끝나지 않고 인간을 변화 시킨다는데 교육적 의의가 있으나 오늘날의 교육은 학생들에게 감동의 시간을 주지 않고 있다. 학생들은 시교육을 통하여 감동을 얻고 그러한 감동을 통하여 정서를 순화하고 정서의 순화를 통해 삶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시 교육이 전개되어야 할 것이며, 아울러 교사는 이러한 측면을 항상 염두에 두고 시 교육에 임해야 할 것이다. 다행히도 본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바로는 시 지도에 있어 교사나 학생이나 모두 시감상이 시에 관한 분석이나 시쓰기에 비해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교사들의 경우 77.6%가 시감상에 중점을 두고 교육하고 있으며 학생의 경우 53.4%가 시감상에 가장 재미를 느끼고 있다. 그러나 이는 두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즉, 교사가 교육목표를 잘 이해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고, 효율적인 시 지도방법에 대한 무지나 무관심으로 단순한 감상위주에서 끝나는지도 모른다. 이는 설문조사 결과에서 교과서에 실린 순서대로 가르치고 평가도 기존 문제집들의 문제를 수정해서 실시한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고 하겠다. 특히,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 결과 학생이나 교사가 모두 시에 대해 별로 흥미없어 하며 잘 이해를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시 자체의 어려움 보다는 교사들이 시에 대한 교육방법에 익숙치 못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고 하겠다. 또한 시에 관한 평가문제에 있어서 교사들의 창의성이 부족하다는 것도 이를 대변해 주고 있다. 따라서 시 교육에 관한 많은 방법론들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또한 전문적인 시 교육에 관한 연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교사용지도서에는 다른 분야보다도 문학분야, 그 중에도 시에 관해서는 보다 많은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시 교육에 있어서 주로 의존하고 있는 교사지도서의 충실도가 곧 시 교육의 충실도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현대시 전체를 대상으로 반응중심이론에 의거한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수업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였다. 로젠블라트가 말하는 반응의 개념은 단순히 텍스트에 대한 독자의 흥미의 정도를 구분하는 제한된 의미가 아니라 독자가 텍스트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그것을 자신의 경험과 결합시켜 재구조화하는 것이며, 독서 과정과 그 후의 전 과정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대부분의 교사들이 채용하고 있는 수업방법, 즉 교사지도서를 안내자로 삼아 교사 중심의 시 해설 위주의 수업방법에 의해 시 교육을 실시한 비교반 2개반(총 86명)과, 학생의 텍스트에 대한 반응을 중시한 반응중심이론에 의거 한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수업을 실시한 실험반 2개반(총 86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수업 실시 후 평가결과에 의하면 이러한 반응중심 수업모형에 의한 수업이 기존 교사 중심의 수업보다 우수한 방법임이 입증되었다. 즉, 학생들의 시 학습에 대한 수용적 태도, 학생들간의 시 학습시 상호작용 효과, 학업성취도 차이에 있어서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반응중심이론에 의거한 수업을 모든 문학교육에 적용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학생들의 주체적인 참여에 의거, 진행되는 수업은 단지 학습효과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기타 다른 인성적인 측면에서도 좋은 교육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論文槪要 = ⅲ Ⅰ. 서론 = 1 A. 연구의 배경 = 1 B. 연구의 범위와 방법 = 2 Ⅱ. 연구의 이론적 배경 = 6 A. 기존의 시 교육 방법론 = 6 B. 반응중심이론의 연구동향과 내용 = 18 C. 반응중심이론에 따른 수업모형 = 23 Ⅲ. 설문조사 및 수업모형개발과 평가방법 = 27 A. 시교육 실태조사 방법 = 27 B. 수업모형 개발 및 결과 평가 방법 = 29 Ⅳ. 연구결과 = 32 A. 시 교육 실태조사를 위한 설문조사 결과 = 32 B. 시 수업에 적용한 반응중심 교수 - 학습모형의 실제 = 37 C. 반응중심이론에 의한 수업 결과 평가 = 95 Ⅴ. 결론 = 98 참고문헌 = 101 부록 = 104 A. 교사용 설문지 = 104 B. 학생용설문지 = 105 C. 수업 결과 평가용 설문지 = 106 ABSTRACT = 10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233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교-
dc.subject현대시-
dc.subject교육방법-
dc.subject반응이론-
dc.subject교육현장-
dc.title중학교의 현대시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반응이론의 교육현장적용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teaching model for poetry instruction in junior high school : focusing on the response-based approach-
dc.format.pageiv, 10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