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미선-
dc.creator임미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5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9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8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993-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쓰기 지도 방법에 대한 연구로서 쓰기 지도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쓰기 능력의 향상을 위하여 읽기와 연계된 쓰기 지도를 제안하였다. 이것은 글쓰기에 대한 두려움과 배경지식의 부족으로 글쓰기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들에게 배경지식과 동기유발을 줄 수 있는 읽기 단원을 연계시켜 쓰기 단원을 교수-학습 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쓰기 능력의 향상을 가져올 것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하였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방법 및 제한점, 그리고 선행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통합적 쓰기 교육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Ⅱ장에서는 쓰기 지도의 변화 동향을 검토하여 보고 현재의 쓰기 지도 경향인 과정 중심의 쓰기 교육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교육 현장에 나타난 과정 중심의 쓰기 지도 방법으로는 인지적인 접근, 사회 인지적인 접근, 총체적 언어 교육 접근법이 있다. 필자는 이 세 가지 동향이 상호보완적으로 함께 적용될 때 쓰기 지도는 효과를 거둘 것이라고 보았다. Ⅲ장에서는 제6차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상에 나타난 쓰기 교육을 분석 하였다. 교육과정상에 나타난 쓰기 교육의 이념이 교육 현장에 구현된 모습을 살피고자 교과서 분석과 현장 교육 실태에 관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존 쓰기 교육의 문제점과 결손 부분을 밝혀 보았다. 아울러 제7차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을 개략적으로 살핌으로써 앞으로 쓰기 교육이 나아가야할 지향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연구를 토대로 올바른 쓰기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언어 사용 기능은 통합적으로 발달하며 서로 연계시켜 교수-학습했을때 더 효과적이라는 전제 하에, 쓰기와 읽기 영역에 한정하여 두 영역을 연계시킨 통합 교수-학습 모형을 고안하여 그 수업 방법을 제시하였다. 현 연구의 시점에서는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교과서 체계나 내용을 알 수 없으므로 6차 교육과정의 교과서를 기본 교재로 삼고 7차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을 염두에 두면서 교수-학습 모형을 고안하고자 노력하였다. Ⅴ장에서는 연구 내용을 요약·정리하고,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교수-학습 모형은 통합적 언어 교육의 한 모습일 뿐이며, 실험과 연구에 의한 일반화가 후속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중학교에서 제7차 교육과정은 2001년에 전국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제7차 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은 학년별로 획일적인 교육과정의 제시에서 탈피하여 수준별 교육과정으로 전환한다는 점이다. 7차 교과서의 내용 체계를 알 수 없으므로 수준별 교육을 지향하는 교수-학습 방안을 개발하기에는 제한점이 많았다. 가능한 학생의 입장에서 실용적인 면에 역점을 두고자 하였고 교과서를 창조적으로 재구성하여 흥미있게 교수-학습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concrete plans for guiding writing ability. In this study guidance plans for writing education related with reading are proposed to improve effectively students' writing ability. For students having difficulties and showing lost of interest in writing due to their apprehension about writing and the lack of background knowledge, writing unit that can grant background knowledge and motivation upon students seems to be effective for improving their writing ability;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has started. In the 1st chapter, purpose, methods, and limits of this study and precedent studies are reviewed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integral writing education. In the 2nd chapter, changes and tendencies of writing guidance are examined, and features of the present writing education centered on the process, the major trend in the present writing guidance, are investigated. As writing guidance methods centered on the proces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re are perceptional, socio-perceptional, and general language education approaches. The author of this study thinks that when these three approaches are reciprocally, supplementarily applied to writing guidance together, the latter will acquire much effect. In the 3rd chapter, writing education in the sixth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analyzed. And to investigate realization of the idea of writing educ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a questionnaire research upon the text analysis and the actual state of filed education has been carried out. Based on this, problems and defects of existing writing education have been clarified. In addition, by broadly investigating revisional direction for the 7th Curriculum, the author of this study has tried to arrange necessary orientations for the future writing education. In the 4th chapter, based upon the investigation in the 3rd chapter, correct ways of writing education are presented. Under the premise that language use faculties develop integrally and when they are taught and learned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they are more effectively developed, the author limiting educational areas to writing and reading has worked out some integral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and presented methods for the class. At this point of time, it is impossible for us to know the textual system or content of the 7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so the author has made effects to devis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the 6th curriculum text while considering desirable programming for the 7th curriculu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선행 연구 검토 = 3 C.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 6 Ⅱ. 쓰기 지도의 변화 동향 = 8 A. 쓰기 지도의 사적 고찰 = 8 B. 쓰기 지도의 새로운 동향 = 10 Ⅲ. 중학교 쓰기 교육의 현황 = 19 A. 제6차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쓰기 영역 분석 = 19 1. 교육과정상에 나타난 쓰기 교육 = 19 2. 교과서 쓰기 영역의 분포와 학년별 전개 양상 = 25 3. 문제점의 분석 = 29 B. 현장 쓰기 교육 실태 = 36 1. 교사의 쓰기 지도 실태 = 36 2. 학생들의 쓰기 학습 실태 = 41 3. 문제점의 분석 = 44 Ⅳ. 효과적인 쓰기 지도방안 연구 = 47 A. 쓰기 교육의 방향 설정 = 47 B. 통합적 쓰기 교육의 모색 = 49 C. 실제 교수 - 학습 모형 = 54 1. 수업 목표 = 56 2. 통합 수업 모형 = 59 Ⅴ. 결론 = 73 참고문헌 = 75 부록1 설문지 (교사용) = 80 부록2 설문지 (학생용) = 84 ABSTRACT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199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교-
dc.subject쓰기-
dc.subject지도방안-
dc.title중학교 쓰기 현황과 효율적 지도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present condition of the middle school's writing education and efficient guidance plans-
dc.format.pagevii, 87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