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明辰-
dc.creator李明辰-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2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2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8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236-
dc.description.abstractThe movement that we try to search for "OURS"-our tradition and culture-is at the height of our popularity now, and such studies are under process in the various fields of culture. As the Western culture is now prevailing in these days, above attempt is greatly desirable. Also, it seems urgent to grope the right direction for such attempt. Though our traditional 'Tal Chum' may make the audience indulge in the dance spontaneously and have the enough qualification of popular arts, it must be regretful to remain only succession of masque drama as yet. This thesis regards the fundamental cause as attaching its external similarity to the Western drama simply. The true succession and development consists in not external similarity but its own spirit vailed deeply. The modern Kabuki is performing the old ceremony and keeping the convention successfully in spite of a futile critique or any interruption of the progressive group. The western drama which stuck to take over the tradition of Greece and Shakespeare made an effort to find the unexplored field in the Oriental arts. Finally, they are sure of enriching their drama by acceptance of Kabuki. As we mentioned above, Japanese succeed in setting up their conventional drama-Kabuki on the international level, but even though we have similar popular arts as Kabuki, we don't. Accordingly, the important meaning of this thesis lies in clarify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Oriental dance, especially Korean dance by means of comparing 'Tal Chum' with Kabuki, and studying their common feature & different points. In addition, it lies in showing the vision of our traditional 'TaL Chum' by analizing the results. Usually all men tend to keep and develop their own culture. Our People have formed our own culture, too, but as the Western civilization advancee like waves, our spirit began to be cracked. Therefore it requires the spiritual base. The study of 'Tal Chum' is worthy of close attention as a kind of aesthetics. However, Japanese traditional dance is not introduced to us up to now, and a comparative study with our 'Tal Chum' is unexplored field. For those reasons, the main contents of this thesis are made up of followings; First, historical, social background of 'Tal Chum' and Kabuki in the process of their formation. Second, all sorts of conditions on the stage of 'Tal Chum' and Kabuki (i.e. stage setting, make-up, costume, music-mainly a role of musician, acting and structure of dance). Last, the developing process, the limitation as arts for public performance, and the proper solution for the limitation.;우리의 傳統과 文化등 우리 것을 찾으려는 움직임이 절정에 선 지금, 여러 분야에서는 이러한 問題 硏究가 進行 중에 있다. 西歐의 文化에 휩쓸리고 있는 현 상황에서 이러한 試圖는 매우 바람직한 現象이며, 이를 위한 올바른 方向의 模索이 시급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우리의 傳統 탈춤이 觀客들을 자연스럽게 參與할 수 있게 하여 民衆藝術로서의 面貌를 갖출 수 있는 要素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는 形式的인 類似性에 집착하여온 가면극의 계승정도에 머물고 만것은 유감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本稿는 그 이유를 外面的 類似性을 西歐 演劇에 接木, 移植한 것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며, 참다운 繼承, 發展은 외면적인 유사성이 아닌 그 속 깊숙하게 담겨있는 魂을 중시해야 함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現代의 가부끼는 이에 대한 무익한 批評의 과정과 傳統的인 것에 대해 연연하지 않는 進步主義者들 등의 장애요소에도 불구하고 옛날의 儀式을 그대로 실행하며, 오래된 慣習을 유지하면서 성공적으로 지탱해 나가고 있다. 그리하여 그리이스와 세익스피어의 傳統만을 고수하고 있는 서구의 演劇界는 東洋의 傳統 藝術속에서 人間에 의해 아직 탐구되지 않은 領域을 발견해 내려고 애쓰고 있으며 그러한 試圖를 하고 있는 西歐에서는 傳統固守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日本의 가부끼를 認定하고 감상함으로써 자신들의 무대를 살찌울 수 있으리라는, 確信을 얻개 되어지고 있지 않으며 특히, 韓國의 탈춤과의 比較 硏究는그 분야가 더욱 개척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점에서 本稿는 첫째, 형성과정에 있어서의 탈춤과 가부끼의 歷史的, 社會的 背景과 둘째, 탈춤과 가부끼 무대의 諸般條件에 대해서 공연 形式面에 관한 비교 분석이라는 側面에 焦點을 맞추어 硏究하고자 한다. 제반조건에 關한 具體的 硏究로는 주로 무대와 장치, 분장, 의상, 음악(여기서는 樂士의 役割에 비중을 두었음), 연기 그리고 마지막으로 춤의 構造를 비교 설명하려 한다. 그리고 세째로는 이 문화가 어떠한 過程을 거쳐 發展해 나갔는지를 서술하고, 公演藝術이 오늘날 저마다의 限界에 부딪쳐 있는 狀況들을 파악하여 거기에 대한 적절한 問題解決을 찾아 보려고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Ⅰ. 序論 = 1 Ⅱ. 봉산탈춤과 歌舞伎의 理論的 背景 = 3 A. 歷史的 背景 : 起源 및 由來 = 3 1. 봉산탈춤 = 3 2. 歌舞伎 = 6 B. 社曾的 背景 : 發逵過程 = 12 1. 봉산탈춤 = 12 2. 歌舞伎 = 17 Ⅲ. 鳳山탈춤과 歌舞伎의 舞臺構造 및 公演形式 = 23 A. 鳳山탈춤의 舞臺構造 및 公演形式 = 23 1. 劇場과 舞臺裝置 = 23 2. 內容과 演技 = 25 3. 音樂(악사의 역할) = 29 4. 假面 및 衣裳 = 31 B. 歌舞伎의 舞臺構造 및 公演浴式 = 33 1. 劇場과 舞臺裝置 = 33 2. 演技와 그 構咸要素 = 39 3. 音樂(樂士의 役割) = 49 4. 扮裝 및 衣裳 = 50 Ⅳ. 두 硏究對象의 比較分析 = 52 Ⅴ. 結論 = 57 參考文獻 = 60 ABSTRACT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746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봉산탈춤-
dc.subject가무기-
dc.subject무용학-
dc.subject탈춤-
dc.title鳳山탈춤과 歌舞伎 比較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omparison between Tal-chum and Kabuki-
dc.format.page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8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