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성옥-
dc.creator김성옥-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1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9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8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920-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has a purpos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aenamgut dance recently appointed as one of major intangible cultural assets(No. 104) as a way of finding the traditional basis of Korean dance. The fundamental spirit of dance - unconsciousness was originated with religious rituals naturally from B.C 3-4C., and it has been divided into art, literature, music and dance, which is found in our folk beliefs. These beliefs have developed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ocal conditions, and their dance as a factor has origin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components. Though Seoul Saenamgut was played for the rich and upper classes, it includes the basic structure of our dance, which is 'Han(恨)' and 'Shinmyoung puri', and has universal characteristics similiar with other normal Gut. However, Seoul Saenmgut can be evaluated to make a high-level development of Korean dance by the fusion of solemn and luxurious court dance and folk Gut da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Seoul Saenmgut including its porcess, dance instrument, music and costume, through direct instruction from Kim, Yoo-Gam, artistic dance holder, and interview with her,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ot movement is similiar with one other in each distance, but feelings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rhythm, and mainly knees and ankles softly move. Seound, foot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front and back, left and right is often used, and it functions as incantation to expel four demons in four directions. Third, leapings are used but intensity is low and controlled. Fourth, foot movement is made of three steps per four beats, and right foot goes to progress, and left foot to regress, and foot stepping is soft and delicate. Fifth, arm movement is mainly located in front chest, and it moves in the state of bent elbows. Sixth, arm movement is similiar with one another in each distance, just like foot movement, and it softly moves with several repetitions. Seventh, foot movement is first toward Janggu. That is, Janggu is originally located on the right, so it is toward right direction, and arm movement is also loosened toward right. Hereabove, the movement of Seoul Saenamgut is not very big and doesn't require high-level technique, but it has its own rules, and many repetitions and feelings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each rhythm. Also, its dance movement seems soft, delicate, and controlled, but it shows that it accepted the elements of court dance for the rich and upper classes. It is valuable to study Seoul Saenamgut in that it made a high-level development of Korean dance harmonizing the solemn and luxurious factors of court culture with folk Gut dance A study like this is needed in establishing the desirable recognition of our tradition, and, furthermore, it will become a method of succeeding to Korean creative dance. However, the study method of this study focuses on the universial characteristics of Seoul Saenamgut without comparing it with other Jinogigut such as Earlsaenam, Pyoungjinogi, So it should be the next task to analyze other Korean dance consistently existing beyond colasses. The following are the process of this thesis. In the first chapter, the purpose and the method of this study are presented, in the second chapter summary on Saenamgut is stated and the basic materials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Saenamgut are suggested by examining its process, music, tools and costumes. In the third chapter, the characteristics of arms and feet chapter, the characteristics of arms and feet movements in Saenamgut are examined. Lastly in the fourth chapter, I emphasized the meaning and the necessity of Saenamgut dance in establishing the tradition of Korean dance, arranging the summary of the contents above.;이 논문은 한국춤의 토속적인 근원을 찾는 하나의 방법으로써 최근 중요 무형 문화제 104호 지정되어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서울 새남굿 춤에 있어서 우리무용의 토속적인 형태와 근원을 찾아 정립함으로써 오늘날 무용 예술을 발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오늘날 무용의 토대가 되는 무의식은 B.C 3∼4세기 경부터 자연적으로 발생되어진 종합예술의 형태를 지닌 종교의식에서부터 출발하여 시대가 흐름에 따라 미술, 문학, 음악, 춤 등으로 분화되어왔는데 현재까지 전승되어져 오는 무속에서 그러한 흔적을 엿 볼 수 있다. 이러한 무속은 지역적 여건에 따라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발전되어 왔으며, 무속의 한 구성요소인 무무는 굿의식에 있어서 주술적 단계에서 벗어난 사회적 특성을 반영하면서 독자적인 춤의 특징과 기능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 서울 지방의 '망자천도굿'인 진오기는 그 규모와 제가집의 사회 계층에 따라 새남굿, 얼새남, 그리고 평진오기 등의 세종류로 나뉜다. 이중 새남굿은 상류 및 부유층을 위한 굿으로 궁중의 화려한 복식과 각종 화사한 의례용구가 들어 있으며 다른 굿에 비해 거리가 많고 정교한 짜임새를 보인다. 이처럼 상류 및 부유층을 위해 행해졌던 서울 새남굿은 일반 서민이 아닌 소수의 상류계층만을 대상으로 한 굿임에도 '恨'과 '신명풀이'라는 우리춤의 기본구조를 포함하고 있으며 보통의 다른 굿과 비슷한 정서지닌 보편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서울 새남굿은 다른 굿에 비해 궁중 문화의 장중하고 화려한 점과 토속적인 굿춤의 융합에 의해 고차원적인 한국춤의 발전을 이루었다고 평가될 수 있다. 이처럼 서울 새남굿의 사회적 경향속에 내재되어 있는 특징에 대해 제의 절차, 무악, 무구, 무복 및 춤사위를 예능 보유자 김유감씨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전수 받는 방법과 interview를 중심으로해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각 거리마다 발동작은 비슷하지만, 장단에 따라서 느낌이 달라지며 주로 무릎과 발목을 이용하여 부드럽게 움직인다. 둘째, 前, 後, 左, 右의 발동작이 많이 사용되는데 이는 4방4귀를 밟아 주는 주술적인 기능을 지닌다. 셋째, 모듬발이나 깨끔발 같은 도무가 사용되나 도약의 정도는 약하며 절제된다. 넷째, 발동작은 주로 4박에 3걸음을 가며, 전진에는 오른발을 먼저 후진에는 왼발을 먼저 딛이며 발디딤은 곱고 섬세하다. 다섯째, 팔동작은 주로 가슴앞 사선에 위치하며 팔꿈치를 자연스럽게 구부린 자세에서 움직 인다. 여섯째, 팔동작은 발동작과 마찬가지로 거리마다 사위가 비슷하며 반복이 많으며 부드럽게 움직인다. 일곱째, 발동작은 장구가 있는 쪽으로 먼저 향한다. 즉 장구는 오른쪽에 놓이는 것이 기본이기 때문에 오른편 방향으로 먼저 향하며, 팔동작 또한 넘겼던 팔을 풀때에도 오른쪽으로 가면서 푼다. 이상 서울 새남굿춤의 움직임은 그리 크지 않고 고도의 테크닉을 요하지 않지만 나름대로의 법칙이 있고 단순한 형태로 거리마다 비슷하며 반복이 많고 장단에 따라 그 느낌이 달라진다. 또한 춤동작은 매우 곱고 섬세하며 절제되는듯하나 매우 우아한 사위를 보여 상류층이나 부유층을 위한 굿으로 궁중무용의 요소를 받아 들였음을 알 수 있다. 서울 새남굿 춤의 연구는 일반 굿춤의 연구에 비해 궁중 문화의 장중하고 화려한 점들이 토속적인 굿춤에 융합되어 보다 고차원적인 한국춤의 발전을 이루어 냈다는 것에 가치를 부여할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는 전통의 올바른 재인식과 근원을 정립하는데 필요하며 더 나아가 한국 창작무용의 창조적 계승방법에 대한 하나의 방법론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 논문의 연구 범위상 서울 새남굿의 보편적인 특징에 집중되어 다른 진오기 굿인 얼새남, 평진오기등과의 비교분석을 통한 조선시대 신분계층별의 춤사위 각각의 특징과 각 신분계층을 초월하여 일관되게 존재하는 보편적인 한국 전통춤의 춤사위 분석은 차후의 과제로 남기게 되었다. 이 논문의 전개방식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에서는 본 논문을 쓰게된 목적과 그 방법을 제시하며, 제2장에서는 새남굿의 개요에 대해 언급하고 제의 절차, 무악, 무구, 무복의 특징을 고찰하여 새남굿에서의 춤의 특징을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제3장에서는 새남굿 춤의 발동작과 팔동작의 분석을 통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제4장 결론에서는 앞 내용을 요약하고 새남굿 춤의 특징을 열거하면서 한국춤 전통 정립에 있어서 새남굿춤 연구의 의의와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 방법 = 3 C. 연구의 한계성 = 4 Ⅱ. 서울 새남굿의 개관 = 5 A. 새남굿의 유래 = 5 B. 새남굿의 제의절차 = 6 C. 새남굿의 무악, 무구, 무복 = 14 Ⅲ. 서울 새남굿의 무무에 대한 고찰 = 22 A. 새남굿에 나타나 있는 춤의 상황 및 그 특성 = 22 B. 새남굿 춤의 기능 = 25 C. 서울 새남굿춤의 무보 = 27 1. 불사거리 = 27 2. 상산거리 = 32 3. 별상거리 = 39 4. 신장거리 = 41 5. 대감거리 = 45 6. 도령 (도령돌때의 구도) = 48 D. 새남굿 춤사위 분석 = 54 1. 발동작 = 54 2. 팔동작 = 64 3. 특성 = 69 Ⅴ. 결론 = 71 참고문헌 = 74 부록 = 76 ABSTR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059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서울-
dc.subject새남굿-
dc.subject-
dc.subject김유감-
dc.title서울 새남굿 춤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김유감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EOUL SAENAMGUT DANCE : focusing on Kim Yoo-Gam-
dc.format.pagevi, 8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