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정아-
dc.creator박정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7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8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8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866-
dc.description.abstractToday, the relative and monistic paradigm has provided the attempt to find the new approaching method, as it has been consumed in wide perspective, especially the semiology, as it relates to the theory of transdiscipline meaning in general, has come to an attention for its development and expansion. The semiology is an education searching for 'parcours generatif de la signification' which is manifest from the conversion process of series and combined structure system of context and expression as targeted by text created through thinking process of mankind. Therefore, reaching from the formation of actual form of concept forming the core of a whole design process, the examination and analysis about its process by attempting through the semiotic approach method, is intended to be a useful tool for developing the thinking system of actual design work. From such points of view, this thesis was proceeded by the followings 1. Since modernism, the need for environment methodology by semiotic approach method was identified based on the 21^(st) century's cultural prospect through the perception system. 2. Through the study of semiotic theory, the structural system of revealing process for parcours generatif de la signification of text, text system, and its meaning action were clarified and the purpose and its significance for applying them to the methodology of environmental design were presented. 3. Finding the solution throught the order of analysis and information management phase for environmental design methodology based on semiotic approach method, design meaning development and text forming phase, evaluation, selection, and expansion of alternative proposal phase, the core subject of environmental design, which are 'a whole value of society, function, and aesthetic' were lead in capable of fulfilling. 4. Through the process of the study prescribed above, the case study of contrete project was presented in order to verify the efficiency of environmental design methodology based on semiotic approach method. Regarding the result of research for the case study presented as 'The Proposal for The Cultural Street Creation in Insa-Dong.' 1. Case analysis and information management phase : As a basis for inter-textuality concept, the system of human-environment construction, which are elements of environmental composition and their value system for forming social functional and aesthetical categories on the whole, were considered for producing and utilizing checklist. As a result, perceiving accurated problems and concept became easy to set up. 2. Design meaning development and text forming phase : Picking out keywords about the information of meanings were enable to link at the conversion of descriptive-interpretative for granting detailed meaning, it was easy to establish the concept which took the lead in the progress of creation process, and was valid for creating 'text' through detailing and forming the internal images. 3. Evaluation and selection of alternative proposal phase : In the case of producing the checklist of case analysis phase, the recorded keywords were utilized in establishing the standard of evaluation objectively. It was made possible at the alternative proposal selection through evaluation in quantity, and they were helpful in decision-making on which elements to revise, refine and/ or to further develop. For such proposal of environmental design methodology, based on semiotic approach method, as perceiving the meaning-expression issues not by existing aspects but by being formed with possibility, it will contribute to the study about design conception, it multivocal words, and its revealing process. Therefore, this proposal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text form' of intermediation form for possibly mak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Thus, the opportunity for solving the social, functional, and aesthetical value issues as a whole will be expected.;현대의 상대론적·일원론적 패러다임은 모든 분야에 폭넓게 수용되어 새로운 접근방법을 시도하기에 이르렀으며, 그 중에서도 초학문적(transdiscipline)의미 일반에 관한 이론인 '기호학'의 발전과 그 영역의 확장은 괄목할 만 하였다. '기호학'은 인류의 사고과정을 통해 창조된 '기호(text)를 대상으로 기의(내용면/시니피에)와 기표(표현면/시니피앙)의 결합구조 체계 및 일련의 역동적 전환 과정속에 발현되는 의미생성 행정(jparcours ge′ne′ratif de la signification)을 탐구하는 학문이기 때문에, 공간언어, 형태언어의 문제를 다루는 환경디자인 과정에 방법론적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디자인 전체 과정의 중심을 이루는 개념의 형성으로부터 형태화에 이르기까지 그 과정에 대한 규명과 해석을 기호학적 접근방법으로 시도함으로써 실제 디자인 작업의 사고체계를 발전시켜 나가는데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게 하고자 의도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1 모더니즘 이후 인식체계 변환과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21세기 문화의 전망을 토대로 기호학적 접근방법에 의한 환경디자인 방법론 구축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2. 기호학적 이론의 고찰을 통해 기호체계와 의미작용, 기호의 의미생성 행정과 그 발현과정의 구조체계를 밝히고 이를 환경디자인 방법론에 적용하고자 하는 목적과 의의를 제시하였다. 3 기호학적 관점에 의한 환경디자인 방법론을 조사 분석 및 정보처리 단계 - 디자인 의미개발과 기호화단계 - 대안의 평가 및 선택·발전단계 순으로 모색하는 가운데, 환경디자인의 중심과제인 '사회적·기능적·미적 가치의 종합'을 실현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자 하였다. 4. 위와같은 과정으로 연구진행한 기호학적 접근방법에 의한 환경디자인 방법론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구체적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작품사례를 제시하였다. 작품사례로 제시한 「인사동 문화의 거리 조성계획」의 연구 결과, 1. 조사분석 및 정보처리 단계 :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개념을 근거로, 환경 구성요소인 인간-환경-구축환경의 시스템과 이들 요소의 가치체계를 형성하는 사회적, 기능적, 미적 범주를 총체적으로 고려한 체크리스트를 작성, 활용함으로써 정확한 문제의 인식과 개념의 설정이 용이 하였다. 2. 디자인 의미개발과 기호화 단계 : 제보적 의미의 정보에 대한 Keyword 도출은 구체적 의미 부여를 위한 해석적 기술(descriptive-interpre′tative)의 전환으로 연결될 수 있었고, 이는 창조과정의 진행을 주도하는 개념(기의)을 세우는데 용이하였으며, 내면적 심상의 이미지를 구체화, 형상화(기표)하여 '기호(text)'를 창출하는데 유효하였다. 3. 대인의 평가·선택 단계 조사분석 단계의 체크리스트 작성시 기록된 핵심단어들은 객관적 평가 기준을 설정 하는데 활용되어, 평가 정량화를 통한 대안선택이 가능하였고, 어느 요소를 수정 보완하고, 어느요소를 발전시킬 것인가의 판단에 도움이 되었다. 이와같은 기호학적 관점에 의한 환경 디자인 방법론의 제시는 의미-표현의 문제가 존재적 양상으로서가 아니라 생성되어질 가능태로 인식되어짐으로써 디자인 사고에 대한 것, 그것의 다의성(多意性)에 관한 부분, 그 발현과정에 대한 연구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인간-환경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가능케 하는 매개체로서의 '기호형성'에 기여 하게 되어 사회적·기능적 ·미적 가치문제의 총체적 해결을 위한 계기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목차 = ⅰ Ⅰ. 서론 = 1 Ⅰ-1. 연구배경 및 목적 = 1 Ⅰ-2. 연구의 범위 = 3 Ⅰ-3. 연구의 방법 = 4 Ⅰ-4. 용어의 정의 = 5 Ⅱ. 모더니즘 이후의 인식체계 변환과 기호학 이론 = 8 Ⅱ-1. 과학 패러다임과 인식체계 변환과정 = 8 Ⅱ-2. 뉴패러다임과 기호학 = 15 Ⅲ. 기호학 이론의 고찰과 환경디자인 방법론 = 19 Ⅲ-1. 기호학의 발생과 변천 = 19 Ⅲ-2. 기호학의 기본이론 = 23 2.1. 기호의 구조체계 = 23 2.2. 의미생성 행정과 기호 사각형 = 26 2.3. 표충의 형식들 : 설화성과 담화화 = 29 Ⅲ-3. 기호학 이론과 환경디자인 방법론에의 적용 가능성 = 31 Ⅳ. 기호학적 접근방법에 의한 환경디자인 방법론 = 34 Ⅳ-1. 환경디자인 방범론의 전개방향 = 34 Ⅳ-2. 조사분석 및 조사정보처리단계 = 42 2.1. 조사분석단계 = 42 2.1.1 디자인 문제들이 지니는 특성파악 = 43 2.1.2 조사분석 방법과 측정 기법 = 45 2.1.3 조사분석의 공간기호학적 접근방법 = 48 2.1.4 정보수집을 위한 체크리스트(Check List) = 49 2.2 조사정보처리 단계 = 55 Ⅳ-3 디자인 의미 개발과 기호 형성 단계 = 56 3.1. 디자인 의미개발 단계 = 56 3.1.1 디자인 의미 변화의 원인 = 57 3.1.2 디자인 의미 개발 = 59 3.1.3 의미 개발 단계의 적용 기법 = 62 3.2. 디자인 기호형성 단계 = 63 3.2 1 환경지각의 특성 = 64 3.2.2 기호 구성 요소 및 구성원리의 이해 = 67 Ⅳ-4. 대안제시 및 평가단계 = 71 4.1. 대안의 제시 - 평가단계 = 71 4.1.1 평가기준 설정 = 72 4.1.2 평가 척도 설정 = 72 4.1.3 평가기준에 의한 대안의 정량화(定量化)방법 = 73 4.2. 대안의 선택, 발전단계 = 74 Ⅴ. 기호학적 관점에 의한 환경디자인 방법론의 적용사례연구 - 인사동 문화의 거리 조성계획- = 76 Ⅴ-1. 프로젝트 설정 = 76 1-1. 프로적트 설정의 배경 및 목표 = 76 1-1-1. 프로젝트 설정의 배경 = 76 1.1.2 「인사동 문화의 거리 조성게획」 의 목표 = 78 1-2. 계획범위 및 개요 = 79 1.2.1 계획범위 = 79 1.2.2 개요 = 80 Ⅴ-2. 조사분석 = 81 2-1. 지구 현황분석 = 81 2.1.1 공잔적 위치 및 성격 = 81 2.1.2 역사적 장소 현황 = 82 2.1.3 주변환경현황 = 84 2.2 각종 측정 기법에 따른 조사분석 = 85 2.2.1 직접관찰에 따른 현장 및 문제점 = 85 2.2.2 문서검토 = 87 2.3 체크리스트 작성 = 89 Ⅴ-3. 조사정보처리 = 92 Ⅴ-4. 디자인 의미개발 = 93 4-1. 계열체적 사고에 의한 단계별 개념의 확립 = 93 4.1.1 기본개념의 설정 = 93 4.1.2 상황 개념의 설정 = 94 4.2 통합체적 사고에 의한 고정요소의 디자인 개념확립 = 98 4.2.1 형태개념의 설정 = 98 4.2.2 구성개념의 설정 = 102 4.2.3 체계개념의 설정 = 104 Ⅴ-5. 디자인 기호 형성 = 106 5-1. 디자인 기호 형성을 위한 요소개념 확립 = 106 5-1-1. 디자인 전개를 위한 구역별 세분 = 106 5-1-2. 구역별 세부 조성 방향 계획 = 107 5-2. 디자인 기호 형성을 위한 시각 언어의 상(像)조합 = 111 5-3. 디자인 기호형성 = 112 5.3.1 PHASE Ⅰ : 인사동 문화의 거리 진입구역 = 112 5.3.2 PHASE Ⅱ : 인사동 가로 및 북동축 한옥 밀집구역 = 113 5.3.3 PHASE Ⅲ : 광장 및 지하 주차장 구역 = 115 5.3.4 PHASE Ⅳ : 인사동 남서측 지구 근매 역사적 장소 보존 구역 = 117 Ⅴ-6. 대안제시 및 평가 = 119 6-1. 정면종합 계획안 제시 = 119 6-2. 대안의 평가 - 선택 = 122 Ⅴ-7. 종합계획 발전단계 = 124 7-1. 인사동 문화의 거리 조성 종합 계획도 = 124 7-2. 구역별 새부 조성 계획 = 126 7.2.1 PHASES Ⅰ : 인사동 문화의 거리 진입구역 = 126 7.2.2 PHASE Ⅱ : 인사동 가로 및 북동측 한옥 밀집구역 = 127 7.2.3 PHASE Ⅲ : 광장 및 지하 주차장 구역 = 129 7.2.4 PHASE Ⅳ : 인사동 남서측 지구 근대 역사적 장소 보존 구역 = 130 7-3. 인사동 문화의 거리 조성 종합계획안 = 132 Ⅵ. 결론 = 134 참고문헌 = 137 Abstract = 14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2353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환경디자인-
dc.subject기호학-
dc.subject인사동-
dc.subject환경개선-
dc.title환경디자인에 있어 기호학적 접근방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인사동지역 환경개선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emiotic Approach to the Environmental Design Case Study : for enhancing environmental image quality on the Insa-Dong region-
dc.format.pagex, 146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장식미술학과-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