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재숙-
dc.creator장재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7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8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8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86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st anxiety levels and personality traits between the normal academic achiever and the low academic achiev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st anxiety and the personality traits. The subjects were 258 students in the ninth grade in Kyongg-do (the low academic achievers were 39 students both over 90 in the IQ test and low 15% in the term-exam). The instruments used on this study were Speilberger, Gonzales and Taylor, Algaze ,Anton(1982) translated by Yi Tong-gi1(1982), the TAI, and the specialized personality test ( Pak Pyong-gwan, Choi Ki-hei, Choi kwang-hy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difference of worry, emotionality, and the intermediate factor between worry and emotionality between two groups. There weren't differences in the total score of the test anxiety and its subordinate factors such as worry emotionality, and the intermediate factor between the normal academic achiever and the low according to T-test. 2. The differences of the general personality traits(stability, leadership, sociality, stability of gender role, responsibility, prudence, self-respect, desirability) and the special adaptation traits(control of deviation, adaptability to school life, satisfaction of class, satisfaction of family life, purificatory level of stress) between the normal academic achiever and the low academic achi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bility, leadership, sociality, self-respect, control of deviation, satisfaction to a school life, satisfaction of class between the normal academic achiever and the low. That is, the normal academic achiever showed higher scores in the above elements than the low academic achiever. 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st anxiety elements and the personality traits elements between the normal academic achiever and the low academic achiever. The low academic achieve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 test anxiety element, worry and a personality traits element, stability of gender role. On the other hand, to the normal academic achiev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est anxiety traits and the personality traits. (between the total score of the test anxiety and stability, sociality, self-respect, control of deviation, adaptability to school life, satisfaction of class, and purificatory level of stress, between concern factor and stability, sociality, self-respect, control of deviation, adaptability to school life, satisfaction of class, satisfaction of family life, and purificatory level of stress, between the intermediate factor and stability, self-respect, control of deviation, adaptability to school life, satisfaction of school life, satisfaction of family life, and purificatory level of stress);본 연구는 시험불안과 성격 특성에서 학습부진아와 정상아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학습부진아와 정상아간의 시험불안과 성격 특성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1. 학습부진아와 정상아간의 시험불안의 요인인 걱정과 정서성 및 두 요인과 모두 상관이 높은 중간요인의 차이를 알아본다. 2. 학습부진아와 정상아간의 일반 성격 특성 척도(안정성, 주도성, 사교성, 성역할 안정성, 책임감, 신중성, 자기 존중감, 바람직성)와 특수 적응 척도(일탈행동 통제력, 학교생활 적응도, 학교공부 만족도, 가정생환 만족도, 스트레스 청정도)에서의 차이를 알아본다. 3. 학습부진아와 정상아의 시험불안 요인과 성격특성 요인간의 상관을 알아본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소재 Y 중학교 3학년 남, 여 25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습부진아 선정은 지능지수 90 이상이면서 2학년말 전체 성적 하위 15%이하인 학생 39명으로 하였다. 검사 도구는 이동길(1982)이 번안한 Spielberger, Gonzales, Taylor, Algaze와 Anton(1978)의 시험불안검사(TAI)와 박병관, 최기혜, 최광현 저 특수인성 검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온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습부진아와 정상아의 시험불안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를 내고 T 검증한 결과, 시험불안 전체 점수와 시험 불안 하위요인인 걱정, 정서성, 중간요인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 학습부진아와 정상아의 일반성격 척도(안정성, 주도성, 사교성, 성역할 안정성, 책임감, 신중성, 자기 존중감, 바람직성)와 특수적응 척도(일탈행동 통제력, 학교생활 적응도, 학교공부 만족도, 가정생활 만족도, 스트레스 청정도)에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를 내고 T검증한 결과, 일반성격 척도중 안정성, 주도성, 사교성, 자기 존중감과, 특수적응 척도중 일탈행동 통제력, 학교생활 적응도, 학교공부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학습정상아가 학습부진아보다 안정성, 주도성, 사교성, 자기존중감, 일탈행동 통제력, 학교생활 적응도, 학교공부 만족도가 높게 나왔다. 3. 학습부진아와 정상아의 시험불안과 성격특성 요인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한 결과, 학습부진아는 시험불안의 걱정요인과 성격특성의 성역할 안정성에서만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정상아의 경우에는 시험불안 전체점수와 성격특성의 안정성, 사교성, 자기존중감, 일탈행동 통제력, 학교생활 적응도, 학교공부 만족도, 가정생활 만족도, 스트레스 청정도에서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시험불안 하위 요인별 분석에서는 걱정요인과 성격특성의 안정성, 사교성, 자기존중감, 일탈행동 통제력, 학교생활 적응도, 학교공부 만족도, 가정생활 만족도, 스트레스 청정도에서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고 정서성요인과 성격 특성의 안정성, 자기존중감, 일탈행동 통제력, 학교공부 만족도, 가정생활 만족도, 스트레스 청정도에서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중간요인과 성격특성의 안정성, 사교성, 자기존중감, 일탈행동 통제력, 학교생활 적응도, 학교 공부 만족도, 가정생활 만족도, 스트레스 청정도에서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A. 학습부진아의 개념 = 4 B. 시험불안과 학업성취 = 8 C. 학습부진과 성격 특성 = 11 Ⅲ. 연구방법 = 15 A. 연구대상 = 15 B. 측정도구 = 15 C. 연구절차 = 17 D. 자료처리 = 17 Ⅳ. 연구결과 = 19 A. 학습부진아와 정상아간의 시험불안의 차이 = 19 B. 학습부진아와 정상아간의 성격 특성의 차이 = 20 C. 학습부진아, 정상아의 시험불안과 성격 특성과의 상관관계 = 23 Ⅴ. 결론 = 27 참고문헌 = 32 부록 = 36 ABSTRACT = 3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874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학습부진아-
dc.subject정상아-
dc.subject시험불안-
dc.subject성격특성-
dc.title학습부진아와 정상아의 시험불안과 성격특성의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est anxiety levels and personality traits between the normal academic achiever and the low academic achiever-
dc.format.pagevii, 41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