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6 Download: 0

필봉농악 판굿에 나타난 소고춤의 춤사위 연구

Title
필봉농악 판굿에 나타난 소고춤의 춤사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angut and sogo dance pilbong farm music
Authors
고전금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Keywords
필봉농악판굿소고춤춤사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thesis is one of study methods which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olk dance and makes an attempt to make a structural and formal analysis over Pangut and Sogo dance in a farm music. a farm music is collection which reflects public life style and their art and became the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and popularization of dance in terms of dance. As every folk art stems from religious service, our representative folk art, NongAck(a farm music) is also has its root in memorial service toward the sky. Nature was the existence which ancient people were afraid of and was also the subject of their worship, so human beings made a shape of religious Service called 'Gut' with their adaptation nature and willingness to Overcome it. Gut was done not only for memorial service but also for spectacular play, so it depended heavily upon a farm music which has musical, dancing and entertaining function. A farm music, which was the basis of Gut, developed its feature organically combining with Gut, and played a key role in shaping community culture, especially in the shape of villiage Gut in each village unit. However, the number of a farm music is decreasing with the dissolution of community culture, and its meaning and function are also disappearing. Praying farm music was changed into Dure farm music, Gulim farm music and entertaining farm music for the audience according to the function and purpose of a feast. In modern times, a farm music embossed its function as entertainment, and it is connected with a stage art of which on-the-spot character disappeared with its segmented factors of music, dance and a feast. The type of Korean farm music is generally divided into Kyounggi farm music, Youngdong farm music, Young name farm music and Honam farm music. Among them, farm music of Korea, and it preserves its pure character seeing that is doesn't have separated branch music, focusing on a feast, play or song unlike other regions. Especially, Jwado Pilbong farm music, which I chose as the subject of dance compared with other farm music in other regions because it focuses on initiation and preservation rater than creation in the present situation that a farm music is recreated into a new being adjusting itself to the present times. In Pilbong area, annually repeated Maegut, Modang stepping, Dangsan feast, chalbap walking, Nodigosagut, Julgunggut, and Duregut exist and also Gigut, happening before the big farm music, and Pangut, played in times of the big Nongack night, are included. Pangut in Pilbong farm music is made up of Apgut(front) and Dwigut(back), and there are chegut, Hohergut, Pooryugut, Bangwooljin, Mijigi Youngsan, and Gajin younsan in Aptgut, and Dwigut includes Noraegut, Dolgut, Subakchigi, Deungjigigut, Kunyoungnori, Dodukjabi gut, and ialmorigut. Apgut mainly focuses on the player's dance and jinpuri, and D wight focuses on nori(play) and dance. Jinpuri of Pibong NongAck Pangut shows variations in the structure starting from Wonjin and ending to Wonjin. Jinpuri is a kind of parade making various battle formations, and it is rather, violent, militant and creative compared with other entertainment. The flow of battle formation presents the space range and direction of movement and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of dertermining the shape of movement. Sogojabi is a role of expressing his delight and enthusiasm using an instrument called Sogo in relationship with the flow of formation, style of melody and the speed of rhythm. Sogo dance in Pilbong farm music shows change by the flow of formation, the style of melody and the speed of rhythm. To examine this relationship, I arranged the flow of formation and looked into the movement of Sogo. Also, I analyzed the structure of movement and kinetics according to the beat by establishing a few basic movements, and what types they appear.;본 논문은 한국 민속 무용의 특징이 무엇인가를 규명하기 위한 하나의 연구 방법으로서 농악의 판굿에 나타난 소고춤을 대상으로 구조적, 형태적 분석을 시도 하였다. 농악은 민중들의 삶의 방식과 예술의지가 투영되어 있는 하나의 집결체로서 무용적 측면에서는 무용의 대중화와 무용발전의 터전이 되어 주었다. 어느 민족을 막론하고 민속 예술이라는 것은 종교적 제의에서부터 출발하듯이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민속 예술인 농악 또한 그 뿌리를 제천 의식에 두고 있다. 자연의 힘 앞에서 무력한 고대인들에게 자연은 숭배의 대상인 동시에 공포를 느끼게 하는 존재였기 때문에 인간은 자연에 대한 순응과 극복의 의지로 종교적 의례인 굿이라는 형태를 만들어 냈다. 굿은 제의만을 위해 행해졌던 것이 아니라 구경 거리로서의 놀이를 위해서도 행해졌던 것이기 때문에 음악적, 무용적, 연희적 기능을 모두 갖고 있는 농악에 의지하는 바가 컸다. 이렇듯 굿의 기반 이었던 농악은 굿과 유기적으로 결합하면서 그 모습을 발전시켜 왔고, 특히 마을을 단위로한 마을굿의 형태속에서 기능을 더욱 발휘하며 공동체 문화 형성에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지금은 공동체 문화의 해체와 함께 농악의 수적 감소는 물론이고 그 의미와 기능 마저 상실해 가고 있다. 축원적 농악 형태는 시대의 변천과 함께 연희목적과 기능에 따라 두레농악과 걸립농악, 관람자를 위주로한 연예농악으로 까지 변천되어 갔다. 현대에 와서는 연예 농악으로서 기능이 부각되어져 농악이 갖고 있는 음악, 무용, 연희의 요소들이 각각 분화되어 현장성이 사라진 무대 예술로 연행되고 있다. 우리나라 농악의 유형은 크게 경기 농악, 영동 농악, 영남 농악, 호남 농악으로 나뉘어 진다. 그 중 호남 농악은 가장 대표적인 농악이며 타 지방 처럼 연희나 연극 또는 노래에 치중되어 독립된 형태를 남지 않았던 것으로 보아 순수함을 많이 지키고 있다고 본다. 특히 본 연구자가 연구 대상으로 선택한 좌도 필봉 농악은 농악이 시대에 적응하며 새로운 모습으로 재 창조 되고 있는 현실 속에서 창조 보다는 전수와 보존에 그 초점을 두고 있어 타 지역의 농악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한국춤의 원형의 가치가 존중된다. 필봉지역에서는 해마다 같은 역시에 같은 양식으로 되풀이 되는 매굿, 마당밟기, 당산제, 찰밥걷기, 노디고사굿, 걸궁굿, 두레굿 등이 있으며 큰 농악을 치기전에 치는 기굿과 큰 농악을 칠 때 밤에 치는 판굿 등이 있다. 필봉농악의 판굿은 앞굿과 뒷굿으로 구성되는데 앞굿에는 채굿, 호허굿, 풍류굿, 방울진, 미지기영산, 가진영산이 있고, 뒷굿에는 노래굿, 돌굿, 수박치기, 등지기굿, 군영놀이, 도둑잽이굿, 탈머리굿등이 있다. 앞굿은 주로 치배들의 춤과 진풀이가 중심이되고 뒷굿은 놀이와 춤이 중심이된다. 필봉농악 판굿의 진풀이는 원진에서 시작해서 원진으로 끝나는 구조속에 다양한 진의 변화를 보인다. 진풀이는 다양한 진형을 만드는 일종의 행진놀이로서 다른 예능에 비하여 격동적이고 전투적이며 창의적이라 할 수 있다. 진의 흐름은 움직임이 이뤄지는 공간적 범위와 방향을 제시하는 동시에 움직임의 형태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소고잽이는 진의 흐름과 가락의 유형 그리고 장단의 빠르기와의 관계속에서 소고라는 악기를 이용해 즉흥적인 춤으로 자신의 흥과 신명을 표현하는 배역이다. 필봉농악의 소고춤은 가장 기본이 되는 몇가지의 동작형태가 앞서 말한 진의 흐름과 가락의 유형과 장단의 빠르기에 의해 변화를 보인다. 이와 같은 관계를 살피기위해 판굿 전체의 진의 흐름을 정리하고 이 때의 소고의 움직임을 들여다 보았다. 그리고 몇 개의 기본동작을 설정하고 각 분박에 따른 움직임의 구조와 역동성을 분석하며 또한 어떠한 유형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 보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