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미란-
dc.creator김미란-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3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68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8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683-
dc.description.abstractThe creation of democratic human beings has been made the fundamental goal of education by democracies. In Korea also, as a prerequisite for this, the general education for democracy need to be emphasized before anything else and with the growth of the civil society, the needs for and importance of civic education for the increased citizenship are gaining force. However, Korea's civic education has been discussed only within the framework of politic-socialization by government or political power, without ful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citizen', the main subject of the education, in the context of structural reality or change in this society. Furthermore, civic education has been limited to childhood and adolescence, carried out through only school subjects of social studies or ethics. The results from the belief that people's political nature or democratic consciousness obtained in early period in life rarely change during adulthood, having a consistent influence on them throughout their lives. This idea exposes its limit in that the citizenship gained through only school education has not effectively exerted its influence on them until after finishing school, when they become adults, political actors. In recent years, the shortcomings of school-driven civic education have been pointed out and the need for civic education for adults has been emphasized. The rapid growth of civil movement organizations since 1980s led them to turn their eys to civil rights movement and civic education as one possible answer to the serious social problems, which are caused by industrialization of our society. However, it is true that non-governmental civic education lacks necessary theoretical foundations and experiences. Therefore, this study is first to examine the present conditions in civic education conducted by civil-social organizations, raising its problems and providing remedies for more vigorous activities by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made basic groundworks for sharing the information among civil-social organizations and for improving the programs for civic education. This study is based on reviewing the organizations in the areas of Seoul and Kyung-gi province, which presently conduct civic educations, seeing if the presence of education departments bring about any differences in their overall educational oper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he overall operation of education showed similarities in nature ir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education departments. 'Increasing envioronmental awareness' heads the program lists, followed by 'increasing political awareness' and 'increasing consumer awareness'. The participants in the programs were directed mostly by the desire to 'carry out participatory roles for the social changes', followed by 'intellectual curiosity and interests'. The main focus in the education was on 'working out moderate alternatives for social problems', 'helping to produce discussion-oriented society' and 'creating increased awareness of cooperation'. Most education performers preferred payments of education fee 'by participants' and as to selecting and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self-developted materials reflecting participants need' were most widely used. Most organizations resorted to 'analysing the questionaires filled out by the participants after finishing the programs' as a way of reflecting participants' needs. Concerning the program evaluations, education performers depended more on 'the evaluations by the program operators' than on 'the evaluations by the participant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deciding overall directions of education programs was 'the aims and ideas of the organizations'. This shows that social education in Korea is characterized by the educator-driven activities depending who is the sponsor, disregarding the fact that social education is an activity conducted by program participants guided by their own needs. With the growing awareness of need for social democracy, not education performers but the education participants must take the initiative in the social education, exercising 'learners' rights to learn'. Secondly, the difficulties in the operation of education were shared by most organizations ir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education departments. The biggest problem in the overall education involved finacial difficulty and 'the limited use of diverse educational methods' proved most serious in the program operations, followed by 'the lack in full-time program managers'. The biggest challenge faced by civic education was related to 'people's tendency to regard leisure and liberal arts education as more important'. As for the evaluation of civic education, 'few understanding of civic education' led the program directors to point out the necessity of planting consciousness of civic education. Thirdly, the presence of education departments did not affect the directions taken by civil-social organizations in their civic education, showing similarities among them. Regarding the operating method of civic education bodies, in most cases, 'civil-social organizations had the leading roles in the operation'. Financial resources for the operation of civic education bodies mostly came from 'government budget' and the ordered areas needing financial support were 'budget for program performances', followed by 'sharing manpower, information and necessary resources' and finally 'support of hardware'.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can be known that more energized civic education must be preceded by national and social democracy more than anything else along with creating social envioronment respecting democratic procedures. In addition, to obtain more clarity in the aims and its details of civic education and to systematize concrete programs, it is necessary to form discussing bodies consisting of related civic education organizations and to cooperate in sharing the manpower, information and education material development among them. However, it must be added that this study cannot be used to generalize the overall educational function of civil-social organizations. Its limits derive from the lack of precise applicable standards for classifying civil~social groups in Korea and from the fact that the limited numbers of specimen had to be chosen because there were not many organizations carrying out consistent education projects and therefore, this research must be supplemented by further study.;민주주의 국가는 민주적인 인간의 육성을 교육의 주된 목표로 삼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민주주의에 대한 교육은 그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하며 시민사회의 성장에 따라 시민의식의 고취를 위한 시민교육이 필요성과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시민교육은 국가 혹은 정권차원에서 정치사회화의 시각에서만 이해되어 왔고, 시민교육의 주 대상인 '시민'의 개념이 우리사회의 구조적 현실이나 구조 변화의 맥락에서 논의되지 못하였다. 또한 시민교육은 학교의 사회과나 도덕과를 중심으로 그 대상이 유년이나 청소년에 제한되어 있었다. 이것은 젊은 시절에 한 번 획득된 정치적 성향이나 민주의식은 성인기에도 거의 변화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었다. 그러나 학교교육을 통하여 형성된 시민의식은 학교를 졸업한 이후, 사회에서 정치행위자인 성인이 되었을 때는 거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갖게 되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학교교육 중심의 시민교육의 한계를 비판하고, 성인대상의 시민교육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1980년대 이후 급성장한 시민운동단체들은 산업회의 과정속에서 심각한 사회문제가 대두되면서 사회문제 해결의 과정으로서의 시민운동과 시민교육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민간주도의 시민교육에 대한 이론적 토대와 경험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민간주도의 시민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우선 현재 시민·사회단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시민교육의 현황을 토대로하여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이 연구의 결과가 시민·사회단체간의 정보의 교류와 시민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이 연구는 서울·경기지역의 시민·사회단체중 시민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단체를 대상으로 교육전담 부서의 유무에 따라 교육의 전반적인 운영에 차이가 있는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민·사회단체의 교육전담 부서의 유무와 상관없이 교육의 전반적인 운영실태는 유사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의 주된 내용은 '환경의식 향상교육', '정치의식 향상교육', '소비자의식 향상교육'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프로그램의 참여동기는 '사회변화를 위한 참여의식의 실천'과 '지적 호기심과 관심때문에'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실시시 중점적 고려사항으로는 '사회문제의 원만한 해결방안'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토론문화 형성', '공동체 의식의 고양'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비 조달방법은 '수강생 부담'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교육프로그램 선정 및 개발의 방법에는 대부분의 기관이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자체개발'이 가장 많았다. 학습자의 요구반영정도는 '강좌후 설문분석을 토대로 한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육프로그램의 평가면에서는 '프로그램 운영 담당자들이 평가한다'가 '수강자들에 질의하여 평가한다'보다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의사결정과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기관의 목적 및 이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사회교육이 학습자의 요구를 중심으로 한 학습자 자신에 의한 활동이지만 한국에서 행해지고 있는 사회교육은 주도기관이 어디냐에 따라 이른바 주최자 중심의 교육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주고 있다. 최근 사회적으로 민주화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음을 볼 때 우리가 지향하고 있는 사회교육도 주최자 중심에서 학습자의. '학습권'을 존중하는 학습자 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운영에 있어서의 어려움도 교육전담 부서의 유무와 상관없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전반적인 교육상의 가장 큰 어려움은 재정적인 어려움이었으며, 프로그램 운영상의 어려움에서는 '다양한 교육매체 활용의 한계'와 '상근 간사 부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시민교육의 사회환경적 저해요인에 대한 의견에서는 '여가와 교양교육을 중시하는 풍토 때문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민교육에 대한 평가는 '시민교육에 대한 이해가 거의 없었음'이 가장 높아 교육담당자들부터 시민교육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셋째, 시민·사회단체의 시민교육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도 교육전담 부서의 유무와 상관없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시민교육 기구 운영방식에 대해서는 '시민·사회단체가 주도적으로 운영한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민교육 기구의 재원조달방법은 '정부예산의 활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지원을 필요로 하는 부분은 '예산', '인력·정보·자원의 교류', '기자재 지원'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시민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기 위해서는 국가와 사회의 민주화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민주적 절차를 우선하는 사회풍토의 조성이 무엇보다 시급함을 시사받을 수 있었다. 아울러 시민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명료화하고 이를 구체적인 프로그램으로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시민교육 관련 단체간의 협의체를 구성하여 인력과 정보, 교재개발면에서 연대와 교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연구는 시민·사회단체의 교육적 기능을 일반화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아직 우리나라의 시민·사회단체에 대한 정확한 분류기준이 마련되지 않았으며 각 단체가 교육사업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지 못하여 모집단의 크기가 제한되었으므로 후속연구에서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우리 나라의 시민교육 변천 과정과 문제점 = 6 B. 시민교육에 대한 이론 = 11 C. 시민교육에의 참여 동기 = 26 Ⅲ. 연구의 방법 및 절차 = 30 A. 조사대상 표집 = 30 B. 설문지의 구성 = 31 C. 연구 일정 = 32 D. 연구 문제 = 32 Ⅳ. 연구의 결과 및 해석 = 34 A. 대상 기관의 일반적 특성 = 34 B. 교육 전담 부서 유무에 따른 교육 활동 = 38 Ⅴ. 결론 및 제언 = 64 A. 요약 및 결론 = 64 B. 제언 = 70 참고문헌 = 74 부록1. 시민·사회단체의 시민교육 현황에 관한 질문지 = 80 부록2. 설문조사 대상단체 = 91 Abstract =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316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subject시민-
dc.subject사회단체-
dc.subject시민교육-
dc.title시민, 사회단체의 시민교육 현황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the Present Situation in Civic Education by Civil-Social Organization-
dc.format.pageix, 98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교육학과-
dc.date.awarded1998. 2-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