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2 Download: 0

임상간호사의 실습교육 효율성에 관한 연구

Title
임상간호사의 실습교육 효율성에 관한 연구
Authors
윤지숙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Keywords
임상간호사실습교육효율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aimed for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actical education of clinical nurse in charge of the students' practical education on the clinical sport to evaluate the role of them as a clinical instructor and to make use of the result of evaluation as basic data to improve their clinical teaching ability. As a comparative research study using questionnaire, sampling was made at random; 168 junior and senior students of five nurses' universities and 226 clinical nurses of six general hospitals in Seoul were sampled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or thirty days from Mar. 15 to April 15, 1997. As an accessment scale, total 40 items of question which are consisted of 4 item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9 items on the state of practical education and 27 items on modified ones from the instrument to measure effectiveness of clinical teaching devised by Reeve (1994). The above 27 items had Cronbach's Alpha= .9511.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SPSS/PC+ Program into the real number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ANOVA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1. The educational state of clinical practice As for the question which asks who does the practice education most frequently at the clinic, subject nurses and students answered that the most frequent is the nurse or the chief nurse, the assistant in charge of practice education has educated the practice in this order of frequencies.. As for the question which asks who should instruct practice, subject students chose an educator from the training institution while nurses favoured a nurse or a chief nurse, therefore the both group wanted instructors from the training institution commonly. As for the degree of nurses' participation in practical education, the subjects estimated that their participation in orientation and basic practice of nursing skill was high, but the participation in the application of nursing process was low. As for the advantage of nurses' practice education, the majorty of subjects answered it was taught actual work well by using specialized knowledge and accumulated experiences. As for the most focused subject of basic practice of nursing skill, answered it was injection, vital sign, medication and enema. As for what is required but accomplished in practical education, the both groups answered nursing process, practical explanation based on the theories of nursing procesure and psychological nursing was demanded. As for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practice, both groups were satisefied at the middle level, and most of them answered they were unsatisfied because of superficial and non- systematic practical education. They were also satisfied with the appropriateness of nurses' practice at the middle level, and as to inappropriateness students answered is lacking man power and time is lacking while nurses answered responsibility. 2. Effectiveness of clinical nurses' practice education On a maximum of 135 points, subject students' and nurses'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practical education of clinical nurse marked 83.6777 points thus revealing middle level of effectiveness. Points given by students were revealed lower than those given by nurses, and there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t=14.20, p=0.00). The difference in the evaluation of effectiveness between junior and senior students was significant(t=-.55, P=.023). The Effectiveness of practical education of clinical nurse significantly differed by the career (F=5.3513, P=0.014). Marks on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instructo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3.7408, P=.0252). Like this, the effectiveness of practical education of clinical nurse was revealed to be middle level of marks, but students marked lower points on the effectiveness than nurses did to show some difference of viewpoint which will be a hindering element in carrying out effective practical education. Based upon this study, the author wants to present some propositions as follow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clinical nurses' practical education which affects students' clinical practice a great deal, nurses' incessant practice and close cooperation the school is required.;간호사가 되기 위한 간호학생의 학습 과정은 이론과 실습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즉 간호학생은 이론을 통해 지식을 배우고 실습을 통하여 학교에서 배운 지식이나 기술을 통합하여 실제에 적용시키며 필요한 간호기술을 발전시키게 된다. 병원이 주축이 되어 운영되어 오던 종래의 간호교육 프로그램이 점차 발전하여 대학이 중심이 되어 운영되면서 임상 학습의 선정에 대한 문제가 보다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변화되기에 이르렀다. 그 동안 임상실습에 대한 학생의 태도, 인식 또는 임상 실습에서 야기되는 문제점, 개선책에 대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도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는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으며 간호교육의 큰 난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들 중 임상실습 교수의 부족은 여러 연구에서 중복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가장 심각한 문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임상실습시 학생은 임상교수에게 충분한 지도를 받을 수 없으며 임상실습지의 임상간호사와 더 빈번하게 접촉하게 되어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이것은 학생 실습교육의 질이 임상간호사의 실습교육 효율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게 되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 현장에서 간호학생의 실습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임상간호사의 실습교육 효율성을 조사함으로써 그 결과를 임상간호사의 실습교육 능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설문지를 이용한 비교조사연구이며 표집 방법은 임의 추출로 서울 시내 소재 5개의 4년제 간호대학 3-4학년 학생 168명, 서울 시내 소재 6개의 종합병원의 간호사 226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1997년 3월 15일부터 4월 15일까지 30일간이었다. 연구 도구는 총 40문항으로 일반적인 특성을 묻는 4문항, 실습교육관련 현황을 묻는 9문항과 실습교육 효율성을 묻는 2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실습교육 효율성 측정을 위한 27문항은 Cronbach's Alpha=.9511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는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ANOVA 와 t-test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학생의 연령별 분포는 21-25세가 93.5%, 20세 이하나 26세-30세가 6.5%로 21-25세 사이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종교는 기독교가 56.0%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천주교(10.2%), 불교(6.6%) 순이었다. 학년은 3학년 41.7%, 4학년 58.3%였다. 간호사의 연령별 분포는 26-30세가 42.5%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21-25세(24.3%), 31-35세(13.3%), 36-40세(10.6%), 41세이상(9.3%) 순이었다. 종교는 기독교가 49.1%, 다음으로 천주교(10.3%), 불교(6.6%) 순이었다. 근무년한은 6년이상이 38.9%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0-2년(25.7%), 2-4년(20.4%), 4-6년(15.0%) 순이었다. 지위는 평간호사가 76.1%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수간호사(14.6%), 주임간호사(9.3%) 순이었다. 졸업교육제도로는 3년제 졸업 간호사가 57.5%, 4년제 졸업 간호사가 42.5%였다. 2. 실습교육관련 현황 1) 임상에서 실습지도를 가장 많이 하는 사람에 대한 문항에서는 학생의 35.2%, 간호사의 44.7%가 간호사와 수간호사로 답하여 가장 많았다. 2) 실습 지도를 누가 해야한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학생의 31.5%가 실습 기관 소속의 교육 담당자로, 간호사의 29.8%가 간호사와 수간호사로 답하여 가장 많았다. 3) 실습 참여도 항목에서는 오리엔테이션과 기본간호술 실습 참여도는 높았으나 간호과정 실습 참여도는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4) 간호사의 실습지도시 이점에 대한 항목에서는 전문지식과 경험이 풍부하여 실무를 잘 가르쳐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간호사의 기본 간호술 지도시 가장 많은 것에 대한 항목에서는 주사, 활력 증후, 투약, 관장이 가장 많은 기본 간호술 내용으로 나타났다. 6) 간호사의 실습지도시 지도해야 하나 못하는 내용에서는 간호과정, 심리 간호, 이론에 입각한 간호설명에 대한 지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7) 실습 만족도에서는 '중' 정도의 만족도를 보였으며 불만족한 이유로는 피상적이며 비체계적이라는 대답이 가장 많았다. 8) 임상간호사의 실습지도 적절성에서는 '중' 정도의 적절성을 보였으며 부적절한 이유는 학생의 33.6%가 인력과 시간의 부족으로 대답해 가장 많았고 간호사의 40.5%가 책임감 부족으로 대답해 가장 많았다. 3. 임상간호사의 실습교육 효율성 1) 학생의 실습교육 효율성 인지정도는 총점평균 72.7560점(±15.207)이었으며 학년별 차이로는 3학년 학생이 총점평균 70.9429점(±18.211), 4학년 학생이 72.3367점(±12.704)으로 차이가 있었다(t=- .55, P= .023). 2) 간호사의 실습교육 효율성 인지도는 총점 평균 92.5393점(±13.720)이었다. 간호사의 근무년한별 실습교육 효율성 인지정도는 근무년한이 0-2년인 간호사가 총점평균 88.6207점(±13.2322), 2-4년인 간호사는 89.1739점(±12.9242), 4-6년인 간호사는 93.3824점(±14.1057), 6년이상 간호사는 96.5568점(±12.6253)으로 차이가 있었다(F=5.3513, P= .0014). 간호사의 직위별 실습교육 효율성 인지정도는 평간호사가 총점평균 91.5988점(±14.7478), 주임간호사가 90.9048점(±12.8915), 수간호사가 98.4848점(±12.9110)으로 차이가 있었다(F=3.7408, P=.0252). 간호사의 졸업교육제도별 실습교육 효율성 인지정도는 3년제 졸업 간호사가 총점평균 94.2538점(±13.354), 4년제 졸업 간호사가 90.2288점(±13.935)으로 차이가 없었다(t=2.20, P= .473). 3) 학생과 간호사의 실습교육 효율성 인지정도를 비교하여 보면 학생이 총점평균 72.7560점(±15.207), 간호사가 92,5398점(±13.720)으로 학생은 간호사보다 임상간호사의 실습교육 효율성을 낮게 평가하였으며 차이가 있었다(t=14.20, P= .000). 본 연구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학생의 임상 실습시 학생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임상간호사의 실습교육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학생실습지도에 대한 임상간호사의 계속적인 교육과 함께 학교와의 긴밀한 협의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