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문진선-
dc.creator문진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9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85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8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851-
dc.description.abstractA new world view was formed by the improvement of modern physics that changed the viewpoint of the world, and the world view made the thought of humans and the logical structure of the language change. The paradigm existing in the modernism of the modern society is originated from principle of relativity and the indeterminacy principle which has begun to form concretely after Einstein did. In 1964, thirty years after these principles were altered by the Bell's Theorem. It shows that the universe is one total system not to be seperated partially, - this is different from Einstein's principle - , tells us that a series of events give an immediate influence on different events. In other words, an individual affects a society and a society does the ecosystem, an ecosystem does the earth, and the earth does the whole universe respectively with the dynamic relationship that the total and the part not only interact as they change themselves constantly, but also maintain and improve their structures as they cooperate with each other. The above new paradigm based on an organic point of view also altered the interest of history. History affects the present and the future, so it helps to remove the present contradiction and to construct a better future. It is considered that the profound study of Korean traditional structure modeling and the proper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value will be used in the environmental design of the present and the future as well as firm the personal and national identity. For one example, from the side of study to conquer the uniforma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 Vernacular environmental space founded on natural features of a region pursues the environmental design reflect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Thereupon the meaning of this paper'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new paradigm influenced the environmental design and to present the model of an environmental design fit for a current and a coming society through the analysis of our traditional space by the renewed viewpoint of an environmental system. The process of this paper is summarized as follows. 1. It is shown that the new ecological paradigm supports the modern science and recognizes the oneness of all living things, the interdependence of several phenomena and the circulation between creation and modification beyond the frame of space, and offers an important theoretical ground so as to produce a naturalistic environmental design. 2. The scientific validity of the traditional Hanism correlated with modern science is shown. 3. The visual examples expressing the Hanism in our traditional space through an architectural case study is proposen. 4. The relation betwee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pplicable to an environmental design and the pro-natural, pro-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our traditional space is considered. 5. In the stage of design introduction, the application criteria grounded on an ecological environment design method is formulated so that human-beings or buildings can be complementarily connected with nature. 6. In the stage of design application, the final model, by an ecological environmental design, applying ecological pattern language and concept come from pro-natural to an ecological park is presented. 7. The expectative effect of the final model is explained through verification and evaluation by design application criter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esign model example adaptable to the current circumstances converting into an ecological w+ㅇ orld view and the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future. Namely the goal is to show the space shaping model that maintains the local characteristics and is familiar to us by means of presenting the space to minimize nature destruction as well as to use valuably and it is to show the design that considers Korean regional characteristics. It is expected that the concept of an ecological space corresponding with that of Korean traditional space having pursued pro-naturalism will be able to become a design approaching method suitable for Korean future environments when compared with the city and the parks made by western modules until now.;현대 물리학의 발전은 세계를 보는 관점을 변화시켜 새로운 세계관을 형성하였고 이 세계관은 생물학, 심리학, 경제학 등 여러 분야에 받아들여져, 인간의 사고와 언어의 논리적 구조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근대 사회의 모더니즘이 가지고 있었던 기존의 패러다임은 아인슈타인 이후 형성되기 시작한 상대성 이론과 불확정성 이론을 기원으로 하고 있다. 이 이론은 1964년 벨 J.S. Bell 의 "벨의 정리 Bell's Theorem"에 의해 변화되었다. "벨의 정리"는 국소주의를 믿었던 아인슈타인의 이론과는 달리, 우주는 부분으로 분리 될 수 없는 전체로서 존재하는 하나의 시스템 System으로 보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일련의 사건들은 멀리 떨어진 곳에서 일어나는 다른 사건들에게 즉각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혀 주었다. 즉 부단히 변화하면서 전체와 부분이 상호작용을 하고, 서로 협력하면서, 스스로의 조직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역동적인 관계에 의해 개인환경은 사회를, 사회는 생태계를, 생태계는 생물권을, 생물권은 전 우주를 그 환경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이러한 유기체적 관점에 의한 새로운 패러다임은 인간과 환경의 연구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했으며 역사에 대한 관심을 변화시켰다. 역사는 현재와 미래에 영향을 주어, 현재의 모순을 제거하기 위한 그리고 보다 나은 미래를 건설하도록 돕는다. 한국전통 공간조형의 깊은 연구와 우리문화의 전통적 가치에 대한 바른 인식은, 현재 우리에게 자기 정체성과 주체성을 확립시켜줄 뿐만 아니라, 현재와 미래의 환경 조성에 활용될 것이라 사려된다. 한 예로서, 주거환경의 획일성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의 측면으로, 지역 풍토에 기반을 둔 자생 Vernacular 적 환경 공간이 그 지역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한 환경디자인으로 연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환경디자인에 어떠한 변화를 주었는지를 연구하고, 새롭게 이룩된 환경시스템 관점에 의한 우리 전통 공간의 분석을 통하여 현재와 미래 사회에 적합한 환경디자인의 모형을 제시하는데 그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그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새롭게 대두된 생태학적 패러다임은 현대과학을 지지하면서 과학의 틀을 넘어서 모든 생명의 일체성, 다양한 현상들의 상호 의존성, 변화와 변형의 순환성 등을 인식하여 자연주의적 환경디자인 창출을 위한 중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음을 밝힌다. 둘째, 현대과학적과의 상관성을 통하여 한(Han) 사상과 근본개념에 있어 유사성, 상통함을 밝히고, 한(Han) 사상이 전통공간에 표현된 사례들을 시각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셋째, 환경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생태학적 이론의 특성과 우리 전통 공간의 친자연적 pro-Natural, 친환경적 pro-Environment 특성을 관련지어 살펴본다. 넷째, 디자인 방법에서는 생태학적 환경디자인 방법으로 볼 수 있는 디자인 적용기준을 마련하여 자연과 인간, 건조물들이 서로 상호보완적인 관계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준거로 삼는다. 다섯째, 디자인 적용단계에서는 도출된 형태언어와 개념을 대상공간인 생태공원에 적용하여 생태학적 환경디자인의 최종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생태학적 세계관으로 전환되는 시대상황과 미래의 환경변화에 적응될수 있는 디자인 모형사례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자연의 파괴를 최소화하면서, 인간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시한다. 또한 우리나라 지형의 특성을 고려한 디자인을 제시함으로서 지역적 고유성을 살리며 동시에 우리에게 친숙한 공간형태의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생태적 공간은 친 자연주의를 추구하였던 우리의 전통적 개념과도 일치하여, 그 동안 서구적인 모듈에 의해 계획되었던 도시와 공원에 비해, 우리나라의 미래환경에 적합한 디자인 접근 방법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Ⅰ 목차 = Ⅲ Ⅰ. 서론 = 1 1.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1.2. 연구 범위 및 방법 = 3 Ⅱ. 생태주의와 한(Han) 사상에 나타나는 자연친화성 = 4 2.1. 생태학적 세계관의 대두와 근대주의 모순의 반성 = 4 2.2. 전통 한(Han) 사상에 있어서 자연개념의 재인식 = 7 2.2.1. 한 사상의 기본개념과 과학적 합리성 = 7 2.2.2. 한 사상 관점에 의한 전통공간의 제특징 = 20 2.3. 디자인 과정에 있어 전통성과 생태주의적 접근의 필요성 = 31 Ⅲ. 실증적 디자인 관계에 있어서의 기초개념들 = 34 3.1. '지원성'의 개념 = 34 3.2. 생태적 관점에서의 지원성 = 38 3.3. 생태학적 환경디자인 개념 및 적용 방법 = 41 3.3.1. 친화성 = 43 3.3.2. 에너지의 순환성 = 49 3.3.3. 회귀성 = 58 3.4. 생태적 공간의 디자인 특성 = 63 Ⅳ. 디자인을 위한 사전 계획 = 66 4.1. 디자인 목표 및 전제 = 66 4.1.1. 디자인 목표 = 66 4.1.2. 디자인 전제 = 68 4.1.3. 디자인 전개과정 = 68 4.2. 디자인을 위한 분석단계 = 70 4.2.1. 대상지 배경 = 70 4.2.2. 대상지의 자연적 구성요소 분석 = 74 4.2.3. 대상지의 사회적 구성요소 분석 = 76 4.3. 대상지 공간 구성 계획 = 79 4.4. 공간계획을 위한 생태학적 관점의 디자인 원리 = 82 Ⅴ. 디자인 과정 = 90 5.1. 디자인 계획 및 도출단계 = 90 5.1.1. 공간 디자인의 개념적 접근 = 90 5.1.2. 공간 디자인의 기능적 접근 = 93 5.1.3. 디자인 도출단계 = 96 5.2. 디자인 적용단계 = 105 5.2.1. 각 공간의 디자인 해결방안 = 105 5.2.2. 최종디자인 = 112 5.3. 종합 및 평가 = 124 Ⅵ. 결론 = 127 참고문헌 = 129 ABSTRACT = 13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7938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생태주의-
dc.subject전통-
dc.subject자연친화-
dc.subject여가공간-
dc.title생태주의와 전통 한 사상 관점에서의 자연친화적 여가공간에 관한 디자인 모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분당 신도시 인접지역을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A) Design Model Study on the Pro-Naturall Ecological Park Based on the Ecology and the Traditional Hanism-
dc.format.pageviii, 136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장식미술학과-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