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정주-
dc.creator이정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6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5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8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580-
dc.description.abstract설치라는 개념은 작품의 가치 전달과 효과적 표현을 위한 하나의 수단이고 일종의 방법상의 유형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전개 방식은 공간에서의 독특한 체험의 유발과 다각적인 시각 변화의 효과를 피하고 스스로 창출되는 전시 공간 자체에서 그 의미를 만들어 내어 제시한다. 현재 설치 미술은 다양한 장르의 복합적이고 혼성적인 성격을 가지고 진행되고 있으며, 현대 도예 역시 다원화된 사회에 대한 공존으로서 주변의 다른 영역과 다양한 요소들이 겹쳐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위에 언급한 현대의 설치 작품과 자수 작품의 다원적 특징을 기한으로, 현대 자수에 있어서 단위 형태의 중첩과 반복적 구성방법을 이용하여 설치의 조형적 표현을 연구하는데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설치 미술의 형성 과정을 분석하고, 중첩과 반복의 일반적인 개념과 조형성을 고찰하며 한국 현대 섬유 미술에 나타난 작품 설치 경향과 현대 자수 표현의 확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서구에서 시작된 현대 미술이 한국에 도입된 후 그 양상이 한국현실에 의해 다르게 발전되었기 때문에 현대 섬유 미술이나 자수의 연구 범위는 한국이라는 지역으로 제한하였다. 이는 더 이상 서구적 관점으로 해석하지 않기 위함이다. 기법적 측면에서는 비닐과 모노 필라멘트를 엮어 만든바탕, 플라스틱 망을 작은 단위 형태로 잘라 이를 바탕천으로 수를 놓은 소 단위 형태를 중첩 방법을 사용하여 1차 구성한다. 그리고 이런 방식으로 만들어진 대 단위 형태들을 다시 중첩과 반복으로 재구성 하였다. 이렇게 설치 미술의 조형성에 현대 자수의 표현비법을 결합한 다섯 작품을 제작,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조형적 측면에서 단위 형태들을 조립하는 구성 방법으로 본인이 예상치 못했던 우연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중첩과 반복의 조립 방법은 작품 크기의 제한이 없이 계속 연장하여 작업할 수 있었으며, 공간의 형태나 상황에 따라 조립 형태를 다르게 할 수 있었다. 둘째, 부조방식과 소극적 설치 방식이 아닌, 3차원적 입체구성으로 공간감을 제시하였다. 각 작품들은 평면적 단계를 거처 3차원의 입체라는 연결성을 가지고 벽으로 부터 공간으로 점차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구성함으로서 평면의 일루젼이 아닌 조각적 표현을 할 수 있었다. 세째, 소재 선택에 있어서 일반적인 단위 형태의 추상적 구성 방법을 벗어나 풀잎 형태의 조립 방법으로 사실성을 높이고 각 단위 형태로 분리되어 쉽게 재구성 할 수 있었다. 풍경-회화-조각-설치라는 이질적인 단위들의 조합으로 설치의 새로운 형식을 취하고 있다. 네째, 재료 사용에 있어서 비닐, 플라스틱 망, 모노 필라멘트사, 견사, 은사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였는데 이 재료들은 설치에 따른 내구성, 끈의 수명도, 조명과 채광등을 고려하여 선택하였다. 그리고 투명 아크릴은 프레임과 단위 형태의 성형의 재료로서 빛의 투과에 따른 입체감과 형태의 시야를 가리지 않고 효과적으로 설치하기위해 사용되었다. 모노 필라멘트사는 바탕 재료와의 조화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견사는 투명한 재료위에 색채와 질감등을 강조하는데 적합하였다.;The concept of installation is a method of value conveyance, effective expression, and methodical style. This development in duces a specific experience in space, an effect of versatile visual change, and presents the meaning of self-imposed display space itself. Modern installation is developing with complex and mixed characters in various genres and as a co-existing field in pluralistic societies, and various factors of modern embroidery overlaps with other environs. On the basis of the above mentioned multifarious characters of modern installation and embroid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formative expression of embroidery installation using overlap of many units and repetitive composition. The theological background 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formation progress of installation art, consideration of generl concept and formations, and analysis of the spreading of the field of Korean modern embroidery expression. The category of modern fiber arts or embroidery was limited. Even if modern art originated from the western world, the aspect of Korean modern art has developed according to Korean reality. Therefore, I don't want to interpret this using a western point of view. Regarding style, overlapping methods were used to compose small units which were weaved by a mixture of vinyl and mono-filaments, background plastic nets, as a ground texture. Then, they were put together to compose big units which were made 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of overlapping and repetiton. I produced five works, combined the formation of installation art with the style of expression of modern embroidery and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an unexpected accidental effect was obtained by the method of assembling units in the aspects of formation. The assembling method of overlapping and repetiton could go on continuously without limitation of work size, an assembly form c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form and situation of space. Second, space sense was presented by three-dimentional composition not by the expression of relief of modern embroidery and passive installation style. By progressing from flat step to three-dimentions, T was able to gradual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범위 및 방법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설치의 일반적 고찰 = 3 1. 설치의 형성과 발전 = 5 2. 한국 설치미술의 전개 = 12 B. 설치방벙으로서의 단위형태의 중첩과 반복 = 15 1. 단위 형태의 개념 = 15 2. 중첩과 반복의 개념과 형성 = 17 3. 반복의 조형적 특징 = 29 C. 한국 현대 섬유미술에 나타난 설치 = 32 Ⅲ. 작품제작 및 분석 = 42 A. 작품 제작 = 42 B. 작품분석 = 48 Ⅳ. 결론 = 59 참고문헌 = 62 ABSTRACT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7198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현대자수-
dc.subject설치방법-
dc.subject중첩-
dc.subject반복-
dc.title현대자수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중첩과 반복적 표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작품제작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Overlap and Repetitious Expression Mordern Embroidery Installation : on the Basis of a work Manufacturing-
dc.format.pageviii, 67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섬유예술학과-
dc.date.awarded199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