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분이-
dc.creator이분이-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2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5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8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573-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회화에 반영된 연상과 상상 표현의 의미 그리고, 그 속에서 나타나는 조형요소에 대한 물음에서 출발하였다. 20세기 산업사회의 도래에 따른 예술환경의 변화는 비단 재료의 확장이나, 표현의 확장 그리고, 예술에 대한 재해석뿐만 아니라 다발적인 예술의 문제를 초래하였다. 이와같이 다원화된 양상속에서 형식주의 미술비평가로서 널리 알려진 클레멘트 그린버그(Clement Greenberg, 1962)는 모더니즘을 궁극적인 미학적 가치를 향한 일종의 지향성으로 정의하였다. 주석1) 그는 모더니스트 회화를 마네이후 회화의 주류를 이룬 조류로서 평면적인 표현, 안료의 사용, 화포나 목판에 따른 형체 등의 물리적 제약들을 오히려 장점으로 간주하는 회화로 보았다. 본인에게 ‘회화의 평면성’은 하나의 전제조건이고, ‘회화의 평면성’이라는 문제는 물질적인 화면에 담겨있지만, 평면적인 개념을 떠나 자유스러운 공간에 위치한 ‘추상회화’에서의 ‘면’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제한된 물질세계에서 벗어나 연상작용과 상상을 함유한 자유로운 정신세계로의 과정을 표현하려고 한다. 그것은 인간 개인이 경험하고 향유하는 실제 세계와 상상으로 유추되는 비현실적인 세계의 이중성을 의미하기도 한다. 본 연구의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물성이 반영된 평면과 그것이 담고있는 정신성을 살펴보고 방법적인 측면에서는 본인이 사용하는 여러 가지 표현기법들-얼룩(tache), 지움(rature), 자국(trace), 흘림 등과 그 속에서 나타나는 조형요소들 그리고 그러한 조형 요소들을 담고있는 공간과 형태 개념을 브라이스 마든(Brice Marden)과 비교 분석하면서, 물질과 그것을 함유한 정신적 공간에 대하여 서술 하려고 한다. 회화의 평면성과 관련하여 회화에서의 물질에 대한 접근은 물질주의자적인 해석이라기보다는 채색된 화면이라는 물질적인 화면 앞에서 상상되어 유추되는 비물질적인 화면으로 그림을 옮겨가게 하는 시도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물질이 반영된 평면, 즉, 회화공간에서 나타나는 정신성과 조형요소를 비대상화된 공간과 비가시화 되어 나타나는 생물학적인 형태로 나누어 서술하려고 한다. 특히 비대상화된 공간과 관련하여 본인과 유사한 입장에 서 있는 브라이스 마든(B. Marden)을 예로 들러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조형요소와 관련하여 물질을 함유한 평면에서 궁긍적으로 조형적 속성을 초월하여 비물질성을 내포하거나 지향하는 실체로서 접근하고자 한다. 본인은 물성으로서 남겨지고 덧붙여지는것들 그리고 지워지고 비추어지는 것들을 흔적 등의 조형요소로 남기고 보여지는 것은 본질 그 자체로 유추되는 상상의 세계를 나타내고자 한다.;This Study was commenced by an inquiry into the meaning of immaterial substance reflected on the plane and the formative elements revealed in it. Change of artistic environment due to the industrialized society of 20th century has brought out not only expansion of material and expression or reinterpretation of art but also the problem of multiple production of art and unbalance. After modernistic tendency of painting, various limits that had been dealt passively in the past began to be re-interpreted as a positive element, and horizontal, pluralized systems not of vertical hierarchy have been applied to art and the other fields. In this pluralized tendency, Clement Gleenberg, a famous Formalistic art critic, defined modernism, as be differentiated himself from the general through comprehensiveness, openness and uncertainty, as a kind of orientation toward ultimate aesthetic values. He understood the modernistic paintings are the ones which regard some limitations from the plane expression, use of paint and shapes made by canvas or charcoal that constituted a main streams of paintings after Manet as a merit. To me, "the planeness of the picture" is one prior condition and the pictorial planeness means a "plane" in the abstract art that is placed on a free space beyond two-dimensional concepts even though it is contained in the material canvas. That is, the author sees the planeness as a coming forward to a perfect, free world of spirit cast off the limited world of material. In the content of this study planes reflecting the material quality and spiritual quality contained in them are discussed. And in the methodologilcal aspect, concept of form is compared with that of Brice Marden's and analyzed, and finally the material and the spiritual space containing it are described. Approaches to the material in paintings related with the planeness can be said as they are rather an attempt to transport materialized, colored canvas into imagined, analogized immaterial ones than a materialistic interpretation. In this study, the plane on which the material reflected, i. e., spirituality and formative elements which reveals themselves in the pictorial spaces are classified into the non-objective space and the invisible biological forms to discuss. Particularly, in connection with the non-objective space, Brace Morden is referred since the author of this study feels some theoretical similarity in him. And finally, in relation with the formative elements, planes containing material quality are viewed as a subject that includes or pusses immateriality transcending ultimately certain formative attributes. I tried to leave things that are left, added, erased or reflected as a material substance in the formative elements such as traces, and pursued for the essential1 necessity inside of the plane of paintings to appreciate things to us as what they really a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1. 연구의 목적과 방향 = 1 2. 연구의 방법과 내용 = 3 Ⅱ. 본론 = 5 1. 내용적 연구 = 5 a. 정신적 배경-연상(聯想)과 상상(想像) 표현 = 5 b. 물성이 반영된 평면 = 8 2. 방법적 연구 = 10 a. 비대상화된 공간 = 10 b. 생물학적인 형태 = 12 c. 정신적 표상으로서의 조형요소 = 14 Ⅲ. 본인 작품 분석 = 18 Ⅳ. 결론 = 34 참고작품 = 36 참고문헌 = 38 ABSTRACT = 4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0252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물성-
dc.subject조형 공간-
dc.subject자유 연상-
dc.subject상상-
dc.title물성(物性)을 함유한 조형 공간에 반영된 자유 연상(聯像)과 상상(想像) 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XPRESSION OF FREE ASSOCIATION AND IMAGINATION REFRECTED ON THE PLASTIC SPACE CONTAINED MATERIAL SUBSTANCE-
dc.format.pagevi, 3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서양화과-
dc.date.awarded199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