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5 Download: 0

한국산 해초류(해초류 : Ascidians)의 분류 및 분포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산 해초류(해초류 : Ascidians)의 분류 및 분포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the Distribution of the Korean Ascidians
Authors
李知恩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생물학과
Keywords
한국산해초류분류분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1. The purpose of the present work was to examine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Korean ascidians. The materials were collected from 48 localities along three coastal seas of South Korea and her islands during the period from 1969 to 1989. 2. The materials were anesthetized with menthol, and preserved in 5% formalin, but those with calcareous spicules were preserved in 70% ethanol. Calcareous spicules and siphonal armature were closely observed with scanning electron micrscope. 3. We identified 55 species, 25 genera and 9 families, among which 4 species including Polyclinum planum, Didemnum candidum, Styela plicata, Molgula calvata were record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fauna. 4. Eighteen species (32.7%) out of the 55 identified species were found out Enterogona and 37 species (67.3%) to Pleurogona. 5. Styela clava clava occur at 11, Didemnum moseleyi at 9 and Pyura vittata at 8 localities of 48 sites studies. 6. Different numbers of ascidian species were distributed three coastal seas; 50 species in the South Sea, 15 species in the Sea of Japan, 6 species in the Yellow Sea. However, three species were found all three areas. 7. With regard to their oceanic distribution, 55 species (100%) were distributed in the Pacific Ocean, 19 (34.5%) in the Atlantic Ocean, 14 (25.5%) in the Indians Ocean and 6 (10.9%) in the Arctic Ocean. 8.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by water form, 34 species (61.8%) were confirmed to be warm-temperate water form, 10 (18.2%) to be cold-temperate, 9(16.4%) to be tropical and 2(3.6%) to be cold water form. Four species of tropical water form including Leptoclinides dubius, Botrylloides perspicuum, Herdmania momus momus, Herdmania momus siphonalis are found only in the Cheju Island area. 9. In comparison with substratum of Korean ascidians, 26 species (47.3%) were attached to the rock, 10(18.2%) to seaweed, 9(16.4%) to shell, 7(12.7%) to sandy mud, 1(1.8%) to ascidians, 2(3.6%) to ship, anthozoan and tube of polychaeta. 10. Styela clava clava, Halocynthia roretzi, Halocynthia aurantium are cultivated as edible ascidians in Korea.;1. 한국산 해초류의 분류 및 분포학적 연구를 하기 위해 1988년 5월부터 1989년 9월까지 삼척, 대진, 주문진, 포항, 제주도, 거문도, 금오도, 작약도 등에서 직접 채집한 재료들과 1969년부터 1989년까지 채집되어 생물학과와 자연사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재료 그리고 해양연구소에서 보내온 재료등 모두 48개지역으로부터 채집된 재료들을 사용하였다. 2. 채집된 재료는 멘톨로 마취시킨 다음 5% 중성포르말린 용액에 넣어 액침 보존하였고 석회질의 골편이 들어있는 것은 70% alcohol에 보존하였다. 분류방법은 외부형태를 관찰한 후 해부하여 내부구조를 관찰하고 여러가지 모양의 석회질 골편과 단체의 양수관 내면의 방어기관은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상세히 관찰하고 분류체계를 세우는데 이용하였다. 3. 동정·분류된 해초류는 모두 2목 3아목 9과 25속 50종 5아종 이었으며 이중 4종 즉, 배회만두멍게(Polyclinum planum), 반짝흰덩이멍게(Didemnum candidum), 주름미더덕(Styela plicata) 및 미끈가죽빛멍게(Molgula calvata)는 한국미기록종 이었다. 4. 동정된 55종을 목별로 보면 내성해초 목에 18종(32.7%), 측성해초 목에 37종(67.3%)으로서 측성해초 목에 속하는 종이 많았다. 5. 각종에 대한 지역별 분포를 보면 미더덕(Styela clava clave)이 총 48개 지역 중 11개 지역에서 나타나 가장 널리 분포하였고 그다음으로 흰덩이멍게(Didemnum moseleyi)가 9개 지역, 끈멍게(Pyura vittata)가 8개 지역에서 채집되어 비교적 널리 분포하고 있었다. 6. 해역별 분포는 남해(제주도 포함)에 50종(90.9%)으로 가장 많았고 동해에 15종(27.3%), 황해에 6종(10.9%)의 순이었으며 삼해역에 공통으로 분포하는 종은 3종(5.5%)이었다. 7. 대양별 분포는 태평양에 분포하는 종이 55종(100%)으로 가장 많았고 대서양에 19종(34.5%), 인도양에 l4종(25.55%), 북극해에 6종(10.9%)의 순으로 나타났다. 8. 수형별 분포는 난온수형이 34종(61.8%)으로 가장 많고 냉온수형이 10종(18.2%), 열대수형이 9종(16.4%), 냉수형이 2종(3.6%)이었으며, 55종중 일본에 분포하는 종은 48종(87.3%)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본이 우리나라와 같이 북태평양에 위치하고 있다는 사실과 부합된다. 9종의 열대수형종중 의문얼룩무늬멍게(Leptoclinides dubius), 복숭아빛판멍게(Botrylloides perspicuum), 분홍멍게(Herdmanis momus momus), 주둥이분홍멍게(Herdmania momus siphonalis)는 우리나라 제주도에만 분포하였다. 이렇게 다양한 수형별 종이 나타난 것은 우리나라가 쿠로시오난류의 한 지류인 쓰시마난류와 리만한류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사실과 일치한다. 9. 서식처를 보면 바위에 부착한 종이 26종(47.3%)으로 가장 많았고 해조에 10종(18.2%), 조개껍데기에 9종(16.4%), 모래·진흙에 7총(12.7%), 다른종의 해초류에 1종(1.8%), 기타 산호, 선박밑, 서관 등에 부착한 종이 2종(3.6%)이었다. 10. 이들중 우리나라 전역에서 식용으로 하는 종은 3종 즉, 미더덕(Styela clava clava), 멍게(우렁쉥이) (Halocynthia roretzi), 붉은멍게(Halocynthia aurantium)이며 이들은 양식을 하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약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