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상순-
dc.creator한상순-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6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2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8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230-
dc.description.abstractWe have experienced accelerating social change of industrialzation in Korea since 1960's. One of the phenomina caused by this situation is the conspicuous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mentally disturbed persons which has become a social problem gradually. Mentally disturbed persons are faced to not only the problems caused by the particularity of the chronic disease itself but also the psychosocial problems difficult to solve for themselves at their home, works, society after leaving the hospital The psychological inadaptability hinders them from return to the society by declining their will of rehabilitation. So, in this study, by the method of the application of the psychodrama which was created by J.L. Moreno in 1921,to the chronic mentally disturbed persons, the author intended them to overcome their psychological inadaptability for th to have more will of rehabilitation and to adapt to their own home, works, society successfully, Furthermore, the author intended to develop and utilize this Psychodrama as a group work program for the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of chronic mentally disturbed persons, through evaluating the effect of the psychodrama by using objective scale. In this study, the author carried out total 12 sessions of psychodrama on the 10 chronic mentally disturbed persons out of the members of "s" rehabilitation center, from July , 6 to Sep, 21 in 1989. The control group was the members of the same institute who didn't participate in the psychodrama. The method of experimental research was as following; First the author measured pre-and post-test self-concept scale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using Jeung Won Sik's method. Second, the author observed the participant attitude and performance ability during the psychodrama and showed it on the author's scale and madi it compared with the self-concept scale. Third, the author investigated on general feature, the problem solving process and performance ability , the results change of self- concept through the case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 The self-conceptual chang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total positive self score (TP),self satisfaction score (II) , and social self . score (E) among the total 11 self concept scale items through the psychodrama. So, this shows that the psychodrama promotes the self-concept in the mentally disturbed persons and can be a effective program in the development of good personal relationship and acceptance of others. Second, The participant attitude particularly correlated with TP, I1, III ( se1f behavior score) and E during the psychodrama and the performance ability correlated with TP, I1 and 111. This shows that the degree of participation and the performance ability correlates well with the development of self-concept. Third, In magic shop technque, large number of the subjects represented lack of self-presentation , defensive and negative attitudes , emotional disturbance, immatured interpersonal skill , family conflicts , idle thoughs, etc. After psychodrama the subjects expressed themselves that they were helpled by the psychodrama in terms of self-awareness, realistic thoughts, enhancement of self-confidence, increase in empathetic understanding, decrease in the self- defence, increase of spontaneity, development of self-esteem, and emotional problem solving. Fourth, Psychodrama can be used in the various manner according to the goals, the property of the group, and the character of directors and can be also performed with other group activities effectively . Through the out come of analysis such as described above, I'd like to make suggestions as following: First , The basic profond knowledge about the psychodrama and professional training program is necessary beacause the ability of the director and auxiliary ego has an effect on the result of the psychodrama. Second, The objective evaluation method such as role test or sociometry should be developed promptly for the various applications of psychodrama and its effect.;우리나라는 지난 60년대 이래 가속적으로 추진되어온 산업화의 사회변동을 겪으면서 그 파생적 현상의 하나로 정신장애자의 현격한 증가가 점차 사회문제화 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날로 증가 일로에 있는 정신장애자들을 수용 관리할 수 있는 입원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 할 뿐만 아니라 적절한 의료적 처치 또한 미약한 현실에서 장애자의 재활써비스는 더우기 기대하기 어렵다. 정신장애자는 만성적인 질환자체의 특수성에 따른 문제뿐만 아니라 퇴원 이후의 가정, 직장, 사회에서 혼자 해결하기 어려운 심리· 사회적 문제를 겪게된다. 이러한 심리적 부적응은 재활의욕을 저하시켜 그들의 사회복귀를 저해하게 된다. 따라서 그들의 재활을 위한 시설이 마련되고, 전문인력에 의한 효과적인 재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 심리적 부적응의 극복과 사회적 기능회복을 통한사회복귀를 도모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21년 모레노(J.L Moreno)에 의해 창시된 심리극을 만성정신장애자에게 실시함으로써 그들의 심리적 부적응을 스스로 해결하도록 하고 재활의욕을 높여 가정, 직장, 사회에서의 원만한 사회적응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심리극이 만성정신장애자에게 적용되었을 경우 그 효과를 객관적인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해봄으로써 만성정신장애자의 심리적 재활을 위한 집단사회 사업프로그램으로써 개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S재활기관의 만성정신장애자 1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을 구성하여 1989년 7월6일~1989년 9월21일 까지 총 12회의 심리극을 실시하였으며, 심리극을 실시하지 않은 S재활기관의 10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그 조사연구의 방법으로써,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있어서 심리극 전·후의 자아개념 검사를 측정하였다. 둘째, 관찰기법으로 심리극 참여자의 참여태도 및 수행능력을 평가하였으며 자아개념검사의 결과와 비교하여 보았다. 세째,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실시하여 심리극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심리극참여자의 문제해결과정과 그 결과, 심리극참여자의 참여태도 및 수행능력평가, 자아개념의 사전·사후 변화경향 등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심리극 프로그램을 통하여 만성정신장애자들의 자아개념은 총11개의 자아개념검사 항목 중에서 총 자아긍정 (TP),자아 수용(Ⅱ), 사회적 자아(E)의 세 영역에서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따라서 심리극은 만성정신 장애자들의 자아개념을 향상시켜 타인에 대한 깊은 이해와 수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다. 2. 실험집단에서 참여자의 참여태도는 자아개념의 항목 중 총 자아긍정 (TP) 자아 수용(Ⅱ), 자아 행동(Ⅲ), 사회적 자아(E)와 특히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참여자의 수행능력은 총 자아긍정 (TP), 자아 수용(Ⅱ),자아 행동(Ⅲ)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는 심리극 과정에서의 높은 참여도와 수행능력이 자아개념의 향상에 기여하였음을 의미한다. 3. 실험집단의. 사례분석 결과 만성정신장애자에 있어서 주된 문제는 자신감 부족, 열등감, 의존성, 낮은 자아감, 자기 표현 부족, 가족과의 갈등, 독립에의 어려움, 잡념 등이었다. 각 만성정신장애자가 심리극에 참여한 이후에는 자아인식, 현실지향적 사고, 자신감 증진, 감정이입적 이해증진, 자기방어적 태도의 감소, 자발성 증진, 자아감 향상, 감정적 문제해결, 자기존중감 증진 등의 긍정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로서 심리극은 실시 목적, 대상집단의 특성, 운영주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집단활동과 병행 될 수 있는 효과적 프로그램임이 밝혀졌다. 제언으로서 심리극을 지도하는 감독과 보조자아의 역량은 심리극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심리극에 대한 기본적 지식은 물론 전문적인 훈련과정과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심리극의 다양한 활용과 효과의 연구를 위한 역할시험 (role test)과 사회측정 (sociometry)등의 객관적 평가 척도가 개발되어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ⅰ 목차 Ⅰ. 서론 = 1 A. 문제 제기 = 1 B. 연구 목적 = 4 C. 연구 방법 = 4 D.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만성정신장애의 특성 = 7 B. 심리극의 기초이론 = 14 C. 심리극 활용의 선행연구 = 30 Ⅲ. 심리극 프로그램 구성과 실시 = 34 A. 심리극 프로그램 구성 = 34 B. 심리극 프로그램 실시 = 35 Ⅳ. 연구방법 및 절차 = 39 A. 조사 대상 = 39 B. 조사 도구 = 40 C. 자료 처리 = 41 Ⅴ. 분석 결과 및 해석 = 43 A.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43 B. 통계적 분석결과 = 45 C. 사례분석 = 51 Ⅵ. 결론 = 80 A. 분석결과 요약. = 81 B. 제언 = 84 참고문헌 = 85 부록 = 91 ABSTRACT =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884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만성정신장애자-
dc.subject자아강화-
dc.subject심리극-
dc.subject정신장애-
dc.title만성정신장애자의 자아강화를 위한 심리극 활용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pplication of Psychodrama for the Ego-Intesification of Chronic mentally disturbed persons-
dc.format.pageiii, 9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사업학과-
dc.date.awarded199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