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은경-
dc.creator이은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4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4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8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416-
dc.description.abstract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hypothesis that client-perceived empathy mediate the causal relationship of counselor intentions and counseling outcome. For this purpose three kinds of counselor intentions which seemed to be mainly used in the beginning of counseling were selected. The intentions were "support", "insight", and "self-control.".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manipulated by the frequency of counselor intentions in each script: "support", "insight", and "self-control" intentions were significantly frequent and all of them were significantly frequent. The subjects of this experimwnt were 120 female college students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conditions- "support", "insight", "self-control" and "neutral" which controlled the counselor intentions. The subjects listened to one of the audio-taped counseling sessions and then evaluated the session. The measures to evaluate the counseling session were: the Session Evaluation Questionnair, Barrett-Lennard Relationship Inventory and Counselor Rating For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upport" is related with positive outcome on depth factor on the other hand, "self-control" is related with negative outcome on smoothness factor. Second, "support" and "self-control" have an important effect on evaluating counselor's empathy. Third, "support" and "insight" have positive effect on evaluating counselor's trustworthiness: and attrativeness, on the other hand, "self-control" has negative effect on evaluating counselor's trustworthiness and attractiveness. Fourth, the outcome of high-empathy session is evaluated positive And two dimensions of emapthy- empathy recognition and referential empathy have an important effect on evaluating counseling outcome. The most significant finding of this study was that empathy has an important effect on counseling session outcome, especiaaly on perceiving counselor's attitudes. It is concluded that empathy is one of variables to mediate between counselor intentions and counseling outcome.;본 연구는 상담과정과 상담결과간에 공감적 이해가 매개적 역할을 하는 중요한 변인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상담과정의 한 변인인 상담자의 반응 의도와 상담 효율성간의 관계를 공감적 이해라는 매개변인을 통하여 인과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첫째, 상담자 반응 의도에 따라 조작된 조건별로 상담회기 평가, 공감적 이해도 평가, 상담자 평가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둘째로는 공감적 이해도와 상담 효율성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토하기 위하여 초기 상담에서 주로 사용한다고 보고된 상담자 반응 의도를 조작하였다. 즉 상담자 반응 중 지지의도가 의의있게 많은 "지지"조건, 통찰의도가 의의있게 많은 "통찰"조건, 자제 격려의도가 의의있게 많은 "자제격려"조건 그리고 이 세가지 의도가 골고루 섞여 어느 한 의도가 의의있게 많지 않은 "중성"조건의 네 조건을 만들었다. 각 조건에는 30명씩무선배치하여 모의상담(analogue)상황에서 상담회기 평가 질문지, 공감적 이해도 평가 척도, 상담자 평가 척도를 평정하게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회기 평가에 있어서 지지의도는 상담을 순조로운 회기로 평가하는데 긍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제격려의도는 상담의 깊이와 순조로움 차원에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감적 이해도 평가에 있어서는 지지 의도와 자제격려 의도가 중요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담자 평가에 있어서 지지의도는 상담자의 성실성, 일반적 호감도, 개인적 호감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통찰의도는 상담자의 성실성, 개인적 호감도 평가에 중요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제격려의도는 상담자의 성실성, 일반적 호감도, 개인적 호감도 평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담자의 공감적 이해가 높다고 평가할 때 상담회기 평가와 상담자 평가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공감적 이해는 상담 효과를 평가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며 특히 상담자를 평가하는데에 보다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담자의 공감적 이해는 상담자 반응 의도와 효율성간의 인과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Ⅲ. 연구방법 = 9 A. 피험자 = 9 B. 상담 대본(script) = 9 C. 도구 = 10 1) 상담자 반응의도 유목 척도 = 11 2) 상담회기 평가 질문지 = 11 3) 공감적 이해도 평가 척도 = 11 4) 상담자 평가 척도 = 12 D. 실험절차 = 12 E. 실험설계 = 13 F. 결과처리 = 13 Ⅳ. 결과 및 해석 = 15 A. 상담자 반응 의도 조건별 분석 = 15 B. 공감적 이해와 상담 효율성간의 관계 분석 = 22 Ⅴ. 전체논의 = 30 참고문헌 = 33 ABSTRACT = 37 부록 = 3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512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공감적 이해-
dc.subjectEMPATHY-
dc.subject상담 효율성-
dc.subject관계분석-
dc.subject모의상담-
dc.title공감적 이해(EMPATHY)와 상담 효율성간의 관계분석을 위한 모의상담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OGUE STUDY ON EMPATHY IN RELATION TO COUNSELING OUTCOME-
dc.format.page4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심리학과-
dc.date.awarded198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