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혜원-
dc.creator김혜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4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4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8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41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성역할 정체감(Sex Hole Identity)이 경쟁 및 경쟁보상에서의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려고 했다. 이에, 양성적 혹은 남성적인 여성은 여성적 혹은 미분화적인 여성에 비해 경쟁이나 보상의 상황에서 첫째, 자신의 능력을 더욱 좋게 평가하는가 둘째, 상황을 더욱 좋게 평가하는가 세째, 과제수행을 더욱 빨리하는가 살펴보았다. 580명의 여대생에게 실시한 BSRI(Bem Sex-Role Inventory)를 통해 양성성 집단 27명, 남성성 집단 27명, 여성성 집단 27명, 미분화 집단 27명의 총 108명의 피험자를 선정하였다. 다시 이들을 각 9명씩 비경쟁 조건과 경쟁조건, 그리고 경쟁보상 조건으로 무선 할당하였다. 각 조건에서 30개의 단어 과제와 30개의 계열과제를 풀개하고, 자신에 대한 능력기대(Expectancy)와 상황에 대한 호의도(Likelyness) 그리고 과제풀이의 반응시간(Reaction time)을 종속변인으로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Ⅰ. 자신에 대한 능력기대에서 (a). 비경쟁 조건에서 4집단간의 능력기대엔 차이가 없었다. (b). 경쟁 조건에서 양성성과 남성성 집단은 여성성과 미분화 집단에 비해 자신의 능력을 더 크게 기대하였다. (c). 경쟁보상 조건에서 양성성 집단은 남성성 집단보다, 남성성 집단은 여성성, 미분화 집단보다 자신의 능력을 더 크게 기대하였다. (d). 경쟁보상 조건에서 양성성 집단은 경쟁 조건에서 보다 더 큰 폭의 차이로 여성성 혹은 미분화집단에 비해 자신의 능력을 크게 기대하였다. Ⅱ. 상황에 대한 호의도에서 (a). 비경쟁 조건에서 4집단간의 상 호의도엔 차이가 없었다. (b). 경쟁 조건에서 양성성과 남성성 집단은 여성성과 미분화 집단에 비해 상황을 더 좋게 평가하였다. (c). 경쟁보상 조건에서 양성성 집단은 남성성 집단보다, 남성성 집단은 여성성 집단보다 상황을 더 좋게 평가하였다. (d). 경쟁보상 조건에서 양성성 집단은 경쟁 조건에서 보다 더 큰 폭의 차이로 여성성 및 미분화 집단에 비해 상황을 좋게 평가하였다. Ⅲ. 과제수행의 반응시간에서 (a). 비경쟁 조건에서 4집단간의 단어과제 및 계열과제 반응시간엔 차이가 없었다. (b). 경쟁 조건에서 4집단간의 반응시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양성성 집단은 단어 및 계열과제에서 비경쟁 조건보다 빠른 반응시간을 나타냈다. (c). 경쟁보상 조건에서 양성성 집단은 경쟁 조건에서 보다 빠른 반응시간을 보였다. 단어과제에선 나머지 3집단에 비해 가장 빠른 반응시간이었고, 계열과제에선 여성성 집단에 비해서만 빠른 반응 시간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양성적이거나 남성적인 성역할 정체감을 지닌 여대생은 비경쟁 상황보다는 경쟁 상황을, 경쟁 상황 보다는 경쟁보상 상황을 더욱 선호하고, 그런 상황에서 자신의 능력을 더 크게 기대하며 과제수행에서도 더 빠르게 반응함을 알 수 있었다.;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sex-role identities and task-performances in competitive or rewarding situ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androgyny or masculine person has (a) higher expectances of their competance, (b) more positive evaluation of the competitive or rewarding situation, (c) faster reaction time of task - performance than feminine or undifferentiative person in competive and rewarding situation. 108 subjects are selected by scores of BSRI(Bem Sex Role Inventory) and divided into 4 group : Androgyny , Masculinity , Femininity , Undifferentiation. Each 9 person of them are randomly assigned to Non-Competitive / Competitive / Competitive and Rewarding situation. In each conditions subjects solve 60 tasks ( 30 word-tasks , 30 sequential tasks ) that are presented by personal computer. After solving the tasks they have to respond 5 questions. Question 1 and 3 are related to the expectance of their competance. Question 2 and 4 are the likelyness of situation and Question 5 is confirming of the effectiveness of situational maniplation. the scores of question 1 - 5 and reaction time are measured by ANOVA and t-test. The results are : (a) Androgynyous person and masculine person have higher expectances than feminine person in competitive and rewarding situation. (b) Anclrogynyous person and masculine person make more positive evaluations than feminine person and undifferentiative person in competitive and rewarding situation. (c) In competitive and rewarding situation androgynyous person solve the tasks more fastly than in non-competitive situ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Ⅲ. 연구방법 = 11 A. 피험자 = 11 B. 도구 = 12 C. 실험절차 = 14 D. 실험설계 = 15 E. 결과처리 = 16 Ⅳ. 결과 = 17 A. 독립변인 조작 효과 = 17 B. 능력기대 = 17 C. 상황호의도 = 20 D. 단어과제 및 계열과제의 반응시간 = 24 Ⅴ. 논의 = 30 참고문헌 = 33 부록 = 37 ABSTRACT = 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602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성역할-
dc.subject정체감-
dc.subject경쟁-
dc.subject보상-
dc.title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경쟁 및 보상 상황에서의 과제수행 차이-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5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심리학과-
dc.date.awarded198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