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소영-
dc.creator신소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8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95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7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951-
dc.description.abstract급속한 과학기술문명의 발전을 토대로 새롭게 전개되고 있는 정보화사회는 정치·경제·사회·문화등 모든 분야에 걸쳐서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는 인간 생활양식과 사회발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자 및 통신공학에 기초를 두고 정보통제 및 운용이 최고의 지배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특징을 가진 정보화사회는 산업사회와는 다른 양상을 띠는 사회임에 틀림없다. 따라서, 국가적으로나 국제적으로 정보화사회를 지향하는 노력은 이제 불가피한 추세일 뿐 아니라, 그러한 노력이 없이는 세계화를 지향하는 우리의 목표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1980년대 중반 이후 컴퓨터의 보급·이용의 확산과 함께 정부에서도 정보화사회에 대비한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사업의 일환으로 정보사회를 조기에 실현하기 위한 핵심수단인 초고속 정보 통신기반 구축 마련을 위하여 원격교육, 원격진료 시범사업 등 다양한 선행사업을 추진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원격교육을 통한 교육훈련과 학교교육으로 21세기 정보 시대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인재양성의 기반마련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1995년 5월 31일 발표된 교육개혁방안의 비전으로 제시된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길이 활짝 열려진 열린교육사회, 평생학습사회의 건설" 과도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원격 직업훈련 시스템도 정부의 열린교육사회, 평생학습사회 건설의 기반 마련을 위해 추진중인 사업의 일환으로, 현재 직업훈련을 목적으로 초고속 정보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기존의 원격교육이 인쇄매체 및 방송매체를 이용한 일 방향 교육이었다면 초고속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원격직업훈련 시스템은 교사와 학습자간에 실시간(real-time) 상호작용이 가능한 쌍방향 교육이다.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는 점은 기존의 원격교육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커다란 변화이기는 하나, 영상을 이용한 상호작용이라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호작용의 질적 문제로, 학습자의 학습동기유발 및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원격교육에 대한 연구는 원격 영상교육의 학습효과에 대한 자료제공 보다는 원격교육 사업에 대한 평가 및 발전방안, 시스템 활용방안,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등에 그쳐 원격 교육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 제시가 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격직업훈련 시스템을 이용하여 직업훈련을 실시 중인 '한국산업인력공단'의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육장소와 참여동기에 따른 학습동기유발 및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원격교육 사업에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국과 자국에서 수업 받은 집단의 학습동기유발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참여동기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학습동기유발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참여동기와 교육장소는 학습동기유발에서 상호작용효과가 있는가? 넷째, 모국과 자국에서 수업 받은 집단의 학업성취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참여동기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학업성취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여섯째, 참여동기와 교육장소는 학업성취도에서 상호작용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는 1998년 4월 2일부터 5월 19일까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실시하였던 원격 직업훈련 프로그램 중 한식조리기능사 과정의 식품위생과목을 연구대상 과목으로 선정하고, 해당과목의 수강생을 연구대상 학습자로 선정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특성상 4회의 검사 및 평가에 참석하였던 모국인 본부의 수강생 45명과 자국인 대구기능대학의 수강생 39명의 자료만을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설문지 회수율은 1회 검사시 응답한 대상자를 기준으로 모국은 81.8%, 자국은 76.5%로 전체 79.2%의 회수율을 보였다. 학습자들의 참여 동기조사를 위해서는 Roger Boshier의 E. P .S(Educational Participation Scale)를 참고로 최운실(1985), 장영미(1985)등이 제작·사용하였던 도구를 참조하여 연구자가 작성하였고, 참여동기 측정검사지는 사회적 관계형성, 외적기대충족, 사회적 인정 및 참여, 현상의 변화와 발전, 직업적 성취 및 발전, 지적인 흥미, 자기발전·자아실현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학습자 동기유발 측정 검사지는 주의력,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의 네 가지 영역을 측정하는 Keller(1987)의 The Course Interest Survey를 번안 사용한 김서영(1996)의 검사지를 연구자가 교육특성에 맞게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학업성취도 조사를 위해서는 대상과목인 식품위생의 담당강사에게 수업시간에 다루어진 내용에 대한 검사지를 작성토록 의뢰하였으며, 한식조리 기능사 자격시험 수준에 준하여 작성된 검사지 문항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들에게 학습 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모국과 자국 집단의 동일성 검사를 위한 사전평가와 참여동기 측정은 강의를 시작하는 첫날인 4월 2일 수업시작전에 실시하였으며, 학습동기 유발에 관한 측정과 학습 후 평가는 수업 마지막날인 4월 28일 강의 직후 실시하였다. 이렇게 이루어진 참여동기와 학습동기 측정은 리커트 척도를 점수화하여 요인별 평균 및 전체 평균점수를 활용하고 학업성취도 측정을 위한 평가는 20문항을 1문항당 5점으로 배점하여 100점 만점으로 계산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이용하여 학습자들의 배경별 빈도를 계산하여 모국과 자국의 학습자들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사전평가에 의해 모국과 자국 두집단의 동일성이 검증되어 학습 후 평가점수로 학업성취도를 비교하였다. 참여동기는 평점을 기준으로 참여동기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여 교육장소와 참여동기에 따른 학습동기유발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영향을 Two-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밖에 성별, 학력, 연령 등이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이루어진 원격영상교육에서 모국과 자국의 학습동기유발 점수를 분석한 결과 자국의 학습동기유발 점수가 모국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F=.14, df=1, p>.05) 그러나, 학습동기유발의 하위요소별로 비교해보면 만족감 (t=1.98, df=82, p>.05)은 모국과 자국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지만, 자신감(t=2.14, df=82, p<.05), 주의력(t=4.49, df=82, p<.05)에 대해서는 모국이 자국보다 높고, 관련성(t=-2.61, df=82, p<.05)은 자국이 모국보다 높았다. 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참여동기에 따른 학습동기유발에서는 유의도 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학습동기유발에서 교육장소와 참여동기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하게 나타났다(F=4.40, df=1, p<.05).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참여동기가 낮은 집단은 자국에서의 교육이, 참여동기가 높은 집단은 모국에서의 교육이 더 학습동기유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넷째, 모국과 자국의 학업성취도를 분석한 결과 모국이 자국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도 수준 .05에서 유의미하지 않기 때문에 모국과 자국에서의 학업성취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참여동기에 따른 학업성취도에서는 참여동기가 높은 집단이 참여도가 낮은 집단보다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F=5.03, df=1, p<.05). 여섯째, 학업성취도에서 교육장소와 참여동기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 유의도 수준 .05에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일곱째, 그밖에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요인에는 연령(F=4.0, df=5, p<.05) 성별(F=7.63, df=1, p<.05)이 있으나, 성별에 의해서 학업성취도가 영향을 받은 것은 과목의 특성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되며, 연령에 따른 학업성취도를 살펴보면 30대 이전의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가 가장 높고, 40대 중반 이후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중반 이후 40대 중반 이전의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정부에서는 21세기 정보시대에 대비한 교육개혁 방안으로.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원격교육을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이를 점진적으로 확대 실시하려고 계획 중이다. 그러나, 원격영상 교육의 학습효과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아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며, 이에 연구자는 원격영상교육과 면대면 교육에서의 학습동기유발 및 학업성취도에 대한 비교로 학습효과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원격영상 교육과 면대면 교육간의 학습동기유발과 학업성취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학습효과에서 원격영상 교육은 면대면 교육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원격영상 교육이 학습효과면에서 면대면 교육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면,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원격영상 교육은 한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교육내용을 통신망이 연결된 모든 사이트(site)에서 공유할 수 있다는 점과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자발적이고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을 이끌어 가는 성인교육에 있어서 무한한 잠재적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원격영상 교육이 시·공간의 문제를 해결해주고 강사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는 반면, 시스템 설치 대한 막대한 비용과 유자보수 및 통신망 사용에 대한 비용 부담으로 이에 대한 국가적인 지원 없이는 원격 영상교육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참여동기는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 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성인학습 프로그램 개발시 학습자들의 참여동기를 고려하도록 하고 학습자들의 참여동기가 지속될 수 있는 교육 내용구성 및 환경조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셋째, 참여동기와 교육장소의 상호작용효과에서는 참여동기가 낮은 집단은 원격영상 교육이, 참여동기가 높은 집단은 면대면 교육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참여동기가 낮은 집단의 새로운 매체에 대한 호기심이 학습동기유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참여동기가 낮은 집단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매체를 활용한 교수기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넷째, 그 밖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성별, 연령 등으로 나타났으며, 오히려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 학력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영향은 과목의 특성에 따른 것으로 사료되며, 연령에 따른 학습효과의 차이에서 30대 이전의 학습자와 40대 중반 이후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가 높고, 30대 중반 이후 40대 중반 이전의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은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대상자의 대부분이 여성이고, 이 시기의 여성들에게는 가사 및 자녀양육에 대한 부담감으로 학업에 전념할 수 없었던 요인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따라 자격증 취득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대상자 선정에서 학력 및 연령을 제한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한국산업인력공단의 원격영상교육 사례에 국한하여 분석되었기 때문에 교사변인, 학습자변인, 그리고 과목변인에 따라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어 본 연구결과를 모든 상황·과목에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학습자들의 참여동기를 참여자들의 평점을 기준으로 참여동기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였으나, 학습자들의 대부분이 자격증 취득을 목표로 참여하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어 전체적인 참여동기가 높고 개인별 참여동기의 차가 많지 않은 상태에서 분류를 하였기 때문에 이들을 엄격히 참여동기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는 데에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보완한 유사 연구들이 향후 수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In the present high-speed information era, dramatic develop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have brought new education systems, so called distance education system. In particular, televised education employing teleconferencing system enables the educator and the learn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Unlike the existing distance education systems, advanced distance education provides a simultaneous two-way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 however, since the system still contains the fundamental limits of an indirect medium, different results in learning achievement are expected from those produced in classroom face-to-face settings. Targeting adul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vocational training program through a Video Conferencing System provide by Korean Manpower agency, a recent study investigated the following questions : What is the main effect of media, on-site and remote-site, on student s motivation and achievement? ; what is the main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student s motivation and achievement? ; and is interaction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medium significant in terms of the student s motivation and achievement? The results revealed that an insignificant main effect of medium on student motivation and achievement, p>.05 ; an insignificant main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triggering student s motivation, p>.05 ;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student's achievement, p<.05, an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the medium in terms of not student achievement, p>.05 but student motivation, p<.05. Based up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and suggestions have been addressed. First of all, for a Video Conferencing System creates similar effects on learning as a face-to-face traditional system, the system has an unlimited potential for open and lifelong adult education, taking advantages of its capacity to transcend time and space, to increase real-time interaction with the instructor, to reduce travel time for students and teachers, and also to reduce spending for school employers and educators. However, since this technology- based, distance learning system requires tremendous cost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maintaining high quality of distance education requires government-level support. Secondly, since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has a great impact on the adult learner s achievement level, further study is suggested to create the basic environment for an effective education, of planning, designing and implementation for a nationwide distance learning system based upon the learner's participation motivation level. Thirdly, a distance education setting is more effective in low-leveled participation motivation group; and a face-to-face education setting is more effective in high-leveled participation motivation group. Presuming that the new medium, technology-based setting triggered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of the low-leveled participation motivation group, further pedagogical study using the medium is suggested to improve the achievement of the low-leveled participation motivation group. Lastly, because this study was limited to a Video Conferencing Education Program provided by Korean Manpower Agency, it is premature to generalize from it. Therefore, similar studies are anticipated in the future to suppor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의 목적 = 2 C. 용어의 정의 = 3 D.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원격교육 = 7 1. 원격교육의 개념 및 특성 = 7 2. 원격교육의 형태 = 10 3. 원격교육의 현황 = 12 B. 성인교육 = 25 1. 성인학습자의 특성 = 26 2. 성인지도의 원리로서 앤드라고지 = 28 3. 성인학습의 원리 = 31 4. 성인교육과 원격교육 = 34 C. 성인교육 참여동기 = 37 1. 참여이론과 관련모형 = 37 2. 참여동기의 유형과 관련요인 = 45 3. 성인교육과 참여동기 = 49 D. 학습동기유발과 학업성취 = 51 E. 관련 선행연구 = 53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55 A. 연구대상 = 55 1. 대상과목 = 55 2. 대상 학습자 = 55 3. 원격직업훈련 시스템 환경 = 56 B. 연구도구 = 58 1. 참여동기 측정 설문지 = 59 2. 학습동기유발 측정설문지 = 60 3. 학업성취도 측정문제지 = 62 C. 연구절차 = 62 D. 자료 처리 방법 = 63 Ⅳ. 연구결과 = 65 A.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 65 1. 성별분포 = 65 2. 연령 분포 = 66 3. 학력 분포 = 67 B. 교육장소와 참여동기에 따른 학습동기유발 및 학업성취도 비교 = 68 1. 학습동기유발 비교 = 68 2. 학업성취도 비교 = 73 3.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그 밖의 요인들 = 75 Ⅴ. 논의 = 80 Ⅵ. 결론 및 제언 = 83 참고문헌 = 89 부록 = 95 ABSTRACT = 10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619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원격영상교육-
dc.subject교육장소-
dc.subject학업성취-
dc.subject성인교육-
dc.title원격영상교육에서 교육장소와 참여동기에 따른 학습동기유발과 학업성취도 비교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성인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omparison between motivation and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medium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in video conferencing system-
dc.format.pagexvi, 110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