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주혜-
dc.creator유주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8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1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7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170-
dc.description.abstract1960년대 이래로 지속되어 온 전반적인 구상(具象)에로의 복귀 현상과 1970년대를 기점으로 나타난 다원주의(多元主義, pluralism)양상은 다양한 양식이 함께 공존(共存)함으로써 절대 양식이 붕괴되는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속에서 모든 문화, 예술 전반에 걸쳐 다원성(多元性)과 복합성(複合性)의 형태로 열려진 태도를 갖게 하였다. 이 새로운 미술은 관념적(觀念的)이거나 특권 계층의 예술이 아닌 대중적이며 일상적인 성격으로 제시되어 광범위한 표현 방법으로 미술사의 여러 경향을 재현해 내는가 하면 의미와 내용의 회복으로 일상 생활과 밀접한 자기 표현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70년대 후반 이후 형상성(形象性)에 대한 요구가 등장하였는데 이것은 추상적(抽象的)이고 개인적인 관념(觀念)의 세계만을 추구하는 모더니즘의 내적 논리(內的 論理)에 대한 회의에서 시작하였다. 이는 과거의 자연주의적 사물의 재현(再現)이라는 문맥과는 다른 개념으로서 구상적인 형태를 통해 상징적(象徵的) 논리를 꾀하는 또 다른 가능성의 구상회화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인은 작품 제작에 있어 현대 도시의 생활 공간에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현대인에게 있어서 일상에서 접하는 환경의 영향이 지대하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시 공간을 제각각 여러 가지의 인간사를 포함하는, 각자의 인생이 살아 숨쉬는 자리로 보았고, 아직 채워지지 않은 미완성된 건축 철골물을 통해 본 도시 풍경을 통해 현대인의 억제된 감성의 탈출구라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의도를 갖게 되었다. 따라서 본인은 현대 문명 속에서 부대끼며 살아가는 현대인의 내면 갈등과 좁혀진 감성(感性)의 출구를 찾아가려는 의지, 그리고 제한된 상황 속에서 무한대(無限大)의 불변(不變)하는 진리(眞理)에 대한 추구를 현대적 상징물인 도시건축물(都市建築物)의 철골구조(鐵骨構造)를 통해 구상양식(具象樣式)과 추상양식(抽象樣式)의 공존(共存)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작품 제작 연구로 내용과 방법적 측면의 연구와 본인의 작품분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연구에서는 예술에 있어서의 관념(觀念)과 상징화(象徵化) 측면에서 연구하며, 중첩(重疊)과 번지기, 형태의 투시적(透視的) 과장 및 왜곡(歪曲)을 통해 재현적(再現的) 요소와 비재현적(非再現的) 요소의 결합을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연구에서는 고대 그리스의 건축을 통한 추상 감정이입과 프랑스의 신구상회화의 ‘구상에로의 복귀 현상’과 R. 라운센버그의 작품을 통한 회화에 있어서의 일상성 도입을 살펴보겠으며 또한 회화에 반영되어 온 공간의 개념(槪念)을 서양의 투시원근법(透視遠近法)과 동양의 삼원법(三遠法)을 통하여 공간(空間)의 재구성(再構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위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구상의 새로운 상징성을 표현하고자 한 본인의 작품을 분석해 봄으로써 앞으로의 제작과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The style and the ideology of art is the symbol of concrete human mind living in its period of time, and it is the situation that characterizes it. Wherever the form of work it may come from, it can't exist without human beings. Generally speaking, the artist has to have an inevitable reason to work on a certain work of art, and creative act is the process of getting to that reason. The true merit human has to search in the reality of city life, which is a space where recent people have no choice but to run into each other in everyday life is what I try to find. Moreover, groping process and groping method try to to show the symbolic meaning by reflecting the artist's conception on an ordinary object. In the beginning my art world was more based on the formation and the color. Eventually, I chose to work on indigo ink work focusing on unfilled space and the spreading effect of indigo ink. He also enbowed a symbolic meaning in expression by using perspective technique and representative technique. At this present situation, art doesn't have the certainty to new style which could be alternated with the existing traditional style that has been already damaged. On the other hand, it is the state that has been polycentricised by many art form which newness has been advocated by a lot of art style. Therefore, I tried to find the common ground that includes personal oriental spirit which is not just a dualistic division. This is to find the pure color within myself and not just something that is nothing more than national disgrace. Besides, I tried to recover the value of 'human' and true 'life' which is supposed to go before everything else by illuminating the human life situations. Most of all, in order to deliver one's theme, there has to be an effective usage of theme and expressing technique. But ofcourse I still lack the diversity in using the effective themes, experimental spirit, and a deep understanding of the artistic situation today. Artist can go beyond the dimension where realistic explanation or antiques through work takes place. I have to present a method or a foresight of new life and artistic creativity which can be demonstrated along with it. In order to have a firm conception, one has to try hard to search the value that human has and to find the reality of existence within irrational and empty reality of life. At the same time, true value of modern oriental painting can be recognized only when the potential energy of oriental painting is reproduced in modern vision through various experim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論文槪要 = ⅲ Ⅰ. 서론 = 1 1. 연구동기 및 목적 = 1 2. 연구내용 및 방법 = 2 Ⅱ. 본론 = 4 A. 내용연구의 배경 = 4 1. 회화에 있어서의 일상적 소재와 상징화 = 4 2. 도시 건축물 이미지를 통한 감성 표현 = 5 B. 작품에 있어서의 표현방법 = 8 1. 투시적 공간 설정 및 이미지(Image) 결합 = 8 2. 形態의 單純化와 內面 表現 = 13 Ⅲ. 작품분석 = 16 Ⅳ. 결론 = 35 ABSTRACT = 37 참고문헌 = 4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560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투시-
dc.subject공간 변형-
dc.subject감성표현-
dc.subjectEmotional Expression-
dc.title透視的 空間 變形을 통한 感性表現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motional Expression through Transparent Transformation of Space-
dc.format.pagev, 40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동양화과-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