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옥경-
dc.creator이옥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4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0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7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012-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피나바우쉬(Pina Bausch)작품에 나타난 극적 표현성을 연극 이론인 베르톨드 브레히트(Bertolt Brecht)의 소외(Verfremdung)기법이론을 통해 연구함으로써 전통적인 안무개념을 뛰어 넘는 다양한 표현기법들을 통해 여러 양상의 무용창작기법에 극적 표현성을 확대시키고자 하였다. 1차대전 후, 2차대전을 전으로 한 시기에 독일에서는 자유로운 감정의 흐름을 신체의 움직임 통해 하나의 표현형태로 이끌어 낸 표현주의 무용이 생겨나게 되었다. 이러한 표현주의 무용의 주제는 은밀한 인간관계와 정열을 다루는게 특징이었으며, 구조면에서 빈약한 구성에 매달린 일련의 장식적 움직임을 포기하고 작품속에서의 움직임들은 감정표현이 중심이 되어 작품에 창조적으로 표현되었다. 한편 비 아리스토텔레스의 희곡론의 이론가이며 새로운 무대형식과 연극형식의 작가이자 감독이었던 브레히트는 무대나 장면의 제약에 의해 전통, 기본형, 연기조건중에 묶여 해방되기 어려운 연극을 최소한 수단을 동원하여 무대위의 방대하고 복잡한 사건 경위를 묘사할수 있게 하는 소외기법이론을 정립하였다. 피나바우쉬는 사상적인 면이나 음악, 무대구성, 장치 등에 있어서 초기 표현주의 기법과 브레히트의 소외기법이론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피나 바우쉬는 그녀 작품의 표현법에 있어 즉흥적인 점을 강하게 지향하였으며 또한 그녀는 작품에 브레히트의 소외효과(Verfremdung Seeffekte, V-Effekte)를 사용하여 순수한 무용형식의 감정, 표현성, 고민, 불안을 침투시켰으며 무용과 연극의 경계선을 넘나들었다. 독일 희곡을 대표하는 브레히트의 소외효과는 무대상의 극중인물과 사건으로부터 관객을 소외시키기 위해 예술과 현실을 분리시키는 소외개념의 원칙을 적용하여 실제적으로 연기법, 무대장치, 대사전달로 나누어 논의함으로 독자적인 표현성을 창안해 내었다. 본 연구의 핵심인 Ⅴ장에서는 Ⅳ에서 언급한 소외효과를 통해 피나 바우쉬의 작품에 나타난 극적 표현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작품을 세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극적표현성의 요소들을 움직임, 구성 및 무대장치, 음악으로 나누었으며 이 요소들이 그녀의 두 작품에 어떻게 실제적으로 사용되어지고 반영되었는지 적용시켜 살펴보고자 했다. 따라서 본 논문은 3가지로 나누어서 본 브레히트의 소외기법이론이 피나바우쉬의 작품을 통해 어떻게 받아들여졌으며 표현되어졌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또 다른 예술적 작품세계의 다양한 표현적 안무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Studing the Dramatical Expression which is based on the Alienation Technique Theory of Bertolt Brechit in the works of Pina Bausch, beyond the traditional choreography notion, the various expression technique is discussed in this thesis. Starting from the end of the World WarⅠ through the World WarⅡ, the Expressionism Dance which represented expression form made by a stream of free emotion through the movement of body was introduced in Germany. Meanwhile, Bertolt Brechit called a theorist of an anti-Aristotle comedy, a writer and director of new stage form and drama organized the Alienation Technique Theory which was able to describe the extensive and intricate situation by using the minimum method in plays. In those days, it was difficult to be free from the restriction of a stage or which was controlled by a tradition, a foundation and an acting condition. The early Expressionism and the Alienation Technique Theory gave lots of effections to Pina Bausch in her ideology, music, the form of a stage and the decor. Impromtu things were mainly focused on expressions of her works. She also used the emotion, expressions, agonies and uneasiness in a pure dance form using alienation effection of Bertolt Brechit and backforwarded the border of dancing and playing. Bertolt Brechit, a representive German drama writer applied alienation notion in departing the art from the reality alienate audiences from actors and a story on the stage. He practically found out the core of alienation effection in the unique theory by seperating acting method, decor and dialogs. In the Ⅴchapter, the Dramatical Expression in the works of Pina Bausch connected in alienation effection which was mentioned in the Ⅳchapter has been discussed. To analyze the works, I divided the elements of the Dramatical Expression into movements, the form of a stage, decor and music. I have also tried to study how to apply these elements into her following two works - 「The Rite of Spring」, 「The Plaint of The Empress」- through the Alienation Technique Theory. In conclusion, it has been discussed how much the Alienation Technique Theory of Bertolt Brechit parted in three has influenced on the works of Pina Bausch, and the main meaning of this research is to give a direction of various expressive choreography in other artistic work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 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방법 및 제한점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독일 표현주의 무용 = 4 B. 20C 독일 연극의 흐름 = 9 Ⅲ. 피나 바우쉬의 무용활동 = 12 A. 피나 바우쉬의 생애 = 12 B. 피나 바우쉬의 작품 활동 = 15 Ⅳ. 브레히트의 소외기법 이론 = 23 A. 소외 개념 = 23 B. 소외 효과 = 30 1. 연기법 = 30 2. 무대장치 = 38 3. 대사 전달 = 43 Ⅴ. 피나바우쉬의 작품에 나타난 극적 표현성 = 46 A. 봄의 제전 (The Rite of Spring) = 46 1. 움직임 = 46 2. 무대구성 및 장치 = 49 3. 음악 = 50 B. 황녀의 비탄 (The Plaint of the Empress) = 52 1. 움직임 = 52 2. 무대구성 및 장치 = 55 3. 음악 = 56 Ⅵ. 결론 = 62 참고 문헌 = 65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032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피나 바우쉬-
dc.subject작품-
dc.subject브레히트-
dc.subject소외기법-
dc.title피나 바우쉬 작품에 나타난 극적 표현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브레히트의 소외기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ramatical Expression in the Works of Pina Bausch : Centering around the Alienation Technique Theory of Bertolt Brechit-
dc.format.pagevii, 70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