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8 Download: 0

예술계 고등학교 [무용사] 교과서 내용 분석 및 사용 실태 조사

Title
예술계 고등학교 [무용사] 교과서 내용 분석 및 사용 실태 조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tent Analysis and Actual using Condition of the Textbook of 『The History of Dance』 in Art High Schools : mainly around thr 6th curriculum
Authors
양선형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Keywords
예술계고등학교무용사교과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전국의 예술계 고등학교에서는 1997학년도 부터 우리 나라 최초의 예술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서인「무용사』와 「무용이론」교과서가 발행되어 현재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계 고등학교 전문교과서인 『무용사』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여 제6차 교육과정에 구체적으로 진술되고 있는 '예술에 관한 교과'의 교육목표가 교육과정 안에서 실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아울러 교과서 사용실태를 설문 조사하여 보다 전문적인 교과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의 틀은 무용교육의 목표, '제6차 교육과정'의 특징, '예술에 관한 교과'의 목표, 「무용사』 교과의 목표체계를 토대로 구성하였다. 교과서의 사용 실태를 알아 보기 위해서는 설문지법으로 조사·분석해 보았다. 설문 조사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소재 예술고등학교에서 임의로 선정된 6개학교 중 1997학년도에 예술계고등학교 『무용사』 교과서를 사용하여 학습한 학생 301명과 그들을 가르친 교사 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무용사 교과에 관련된 26개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작성하였는데 작성한 설문지의 초안은 예비조사를 통해 설문내용의 적합성과 적용 가능성을 검토, 수정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자료들은 SPSS/PC+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교과서 내용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대별 비중도에 있어서 한국무용사와 서양무용사 공통적으로 근대사에 대한 서술이 많았으며 다음으로 무용의 기원과 발생에 관한 고대사도 비중있게 다루어 졌다. 둘째, 소항목 영역별 분석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영역 중 문화사 부분에 대한 진술이 가장 많았고, 무용사 영역에 있어서는 한국무용사는 실용적 무용, 동양무용사는 오락무용, 서양무용사는 예술무용에 관한 서술이 많았다. 전체적으로는 볼 때는 각 무용사적인 특성에 따라 고르게 서술되어 있다. 셋째, 주요 사항별 분석에 있어서 서양무용사의 경우에 무용사적으로 중요한 업적을 남긴 위인들이 비교적 언급되었으며, 단체의 기능과 무용사적 역할 및 영향에 관해서는 전체적으로 크게 다루고 있지는 않았다. 주로 춤 및 작품명의 제시와 언급이 많았는데 이는 학습자로 하여금 무용사 교과를 암기 위주의 수업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연대의 경우도 특별히 중요한 연대를 선별했다기 보다는 역사적 사실을 언급하기 위한 도입정도의 역할이 많았다. 넷째, 내용제시 방법은 교과의 목표체계가 적절히 달성되고 있는가하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데 분석의 결과는 지식과 이해 위주의 서술이 대부분이었고 정의적 목표와 심동적 목표와의 연계성은 거의 찾아 볼 수 없었다. 다섯째, 학습 보조 자료는 적절히 제시되었을 경우 상당히 큰 학습효과와 흥미도를 유발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런데 『무용사』 교과의 경우 사진과 그림 위주의 단순한 제시가 대부분이었다. 교과서 사용 실태를 조사해 본 결과는 첫째, 『무용사』 교과에 대한 인식은 대체적으로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대체로 관심도 많았다. 둘째, 『무용사』 교과목표에 관한 인식에 있어서는 안다고 대답한 경우 중에서 정확히 알고 있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았다. 이것으로 미루어 보아 목표체계에 따라 적절하게 내용이 선정·조직되지 않았거나 목표제시가 분명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세째, 『무용사』 교과서에 대해서는 교과서의 '정보' 중심적 기능 보다는 시·청각 자료를 이용한 다매체 교육을 통해 역사적 구조와 원리를 중심으로 이해하는 학습에 대한 요구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째, 『무용사』 교과의 수업에 대해서는 암기위주의 주입식 교육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으며 관심은 상당히 많으나 보다 흥미를 느낄 수 있는 교수방법을 원하고 있다. 다섯째, 『무용사』 교과과정에 대한 질문 중 이수학년에 대한 질문에서는 암기 위주의 주입식 교육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있는 1학년보다는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심을 갖기 시작하는 2학년이 더 적절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가 나온 이유는 교과서를 편찬하는 체제에 있어서의 문제점에 기인하기도 한다. 교과서 체제에 대한 몇 가지 논의로, 첫째, 교과서 연구에 있어서 충실한 기간을 투자한 전문적이며, 자주적이고 창의적인 연구가 필요하고 둘째, 교과서 연구를 전담하는 현직 교사 중심의 교과서 연구회와 교재·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전문 교재 연구원 등의 활동이 장려 되야 하며, 셋째, 교과서 편찬의 전 과정을 공개하고 출판의 자유를 보장하는 합리적인 제도하에 질 나쁜 교과서는 스스로 도태되는 구조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 종합적으로 볼 때,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1) 『무용사』 교과의 목표에 대해 뚜렷하게 인식할 수 있는 내용이 제시되고, 교수-학습의 과정에서 이 같은 목표가 분명하게 제시되도록 교과서의 내용진술 및 목표제시가 보다 구체적으로 분류되어야 한다. 2) '예술에 관한 교과'의 목표를 통합적으로 달성시키기 위해 『무용사』 교과와 다른 교과와의 계열성을 강조하도록 한다. 특히 이론교과로서 실기와의 연계성이 보다 강조되어야 한다. 3) 『무용사』 교과로서 학습자의 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의 발달이 골고루 달성될 수 있도록 다양하고 흥미로운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4) 『무용사』 교과 연구회나 '예술에 관한 교과' 연구회 등의 조직활동을 통해 교과연구의 성과들이 순환적으로 발전되도록 교육적 여건을 조성한다.;The first professional textbooks of "The History of Dance" and "The Theory of Dance" have been published and used for the art high schools in Korea since 199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educational aim of the subjects related with art education described concretely in the sixth curriculum by synthesizing the professional textbook of "the History of Dance" or not, and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the study of the professional subjects of art by the questionnaire of the practical using condition of the textbooks. The formality to synthesize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was structured on the basis of the aim of dance education, the feature of the 6th educational curriculum, the aim of art textbooks and the objective system of the textbook of "The History of Dance". The method of the questionnaire was used to examine and synthesize the practical using condition of the textbooks. The subjects of the examination were 301 students who learned with the textbooks and 7 teachers who taught with the textbooks in the 6 art high schools selected among the art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Kyonggido Province. The questionnaire with 26 questions related with the textbook of "The History of Dance" was prepared and the draft questionnaire was inspected and modified with the consideration of its suitabilities and applicable probability though preliminary examination. And the collected data was compiled and measured to analyze by using SPSS/PC+program. The Result of content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as for the gravity given to details by the times, descriptions of modern dance history are more than anything else in the area of both Korean and the Western dance history, and then ancient history dealing with the origin and birth of dance. Second, as for the academic fields contained by the items, descriptions of cultural history are the most among the other political,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data, and, in the case of dance history, descriptions of the practical dance are the most in Korean dance history while those of the recreational dance the most in the Eastern dance history and those of the artistic dance in the Western dance history. On the whole, characteristics of each dance history are evenly distributed. Third, as for the main events mentioned, great names who attained outstanding achievements are mentioned relatively a lot while functions, historical roles and influences of dance organizations are not generally dealt with in a broad range. In principal, there are many presentations of and comments on dance itself and titles of work which seems to have a possibility for learners to understand dance courses as oriented to memorizing. Also in case of chronology, ages are introduced additionally to mention historical facts rather than to reveal special meaning of one age. Fourth, ways of presenting matters are very important for seeing whether the objective systems of educational course are properly carried out, but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m has shown that most of the descriptions are centered on knowledge or understanding and connections between emotional goals and mental goals are rare. Fifth, supplementary data, when properly provided, are important as they enhance considerable learning effects and students' interest. But in「The History of Dance」class, only photographs and pictures are simply provided. And the consequence of actual using condition is as follows: First, subjects generally recognized and concerned the importance of 「The History of Dance」 Second, answers to whether they recognize the target of 「The History of Dance」course were not exact in many cases. In this respect, we can see that contents have not been properly selected or organized in accordance with the target, or the target itself hasn't been clearly set up. Third, as for 「The History of Dance」 itself, demand on the learning oriented to historical structure or principles through multimedia education using audio- visual data was considerably great. Fourth, as for 「The History of Dance」 class, opinions that it is rather a grinding for memorizing were dominant, so subjects wanted more interesting teaching methods. Fifth, to the question what school grade is fit to receive 「The History of Dance」 course, many respondents answered the second grade is better since first graders might see the course as a grinding for memorizing while second graders begin to recognize and concern the importance of the course. The consequence in some sense comes from certain problems occurred during the compilation of the text. Several discussions on the text system; first, professional, independent and creative studies requiring enough time are demanded; second, text academies of teachers presently in charge of studying texts and special text researchers' activities for developing text should be encouraged; third, the whole process of text compilation should be opened to the public and, under the reasonable system that guarantees the freedom of publication, bad texts couldn't be but naturally disappear. In general, we should resolve such problems as follows; 1)Descriptions and targets of text should be more concretely classified to present contents which can make both teachers and students more clearly understand the goals of 「The History of Dance」and for these goals to be more clearly revealed in the course of teaching and learning. 2)Link between 「The History of Dance」 and the other texts should be emphasized to make students achieve goals of art curricula. In particular, link between the theory and practice must be reinforced. 3)Diverse and interesting study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make learners accomplish their intellectual, emotional, mental, and motivational goals. 4)Through various group academy activities like 「The History of Dance」 academy of art curriculum academy, certain educational conditions must be given to develop results of text studies smooth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