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6 Download: 0

서울시내 어린이집 교사의 식습관과 영양지식

Title
서울시내 어린이집 교사의 식습관과 영양지식
Authors
우윤정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Keywords
서울시내어린이집교사식습관영양지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교사의 식습관과 영양지식이 식습관 형성 시기에 있는 유아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어린이 집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식습관과 영양지식 수준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알아냄으로써 교사들에게 올바르고 체계적인 영양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서울시내 어린이 집 교사 24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조사대상 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 식습관, 영양지식, 영양지식에 관련된 내용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조사대상 교사의 식습관은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연령이 낮을수록 불규칙적인 식사률이 높고(P=0.011), 짠음식(P=0.000) 및 단음식(P=0.009)을 선호하고, 외식하는 빈도(P=0.028)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연령이 높을수록 커피 음용 정도는 유의적으로 마시는 횟수가 많았다(P=0.019). 미혼일수록 짠음식을 선호하였고(P=0,038), 외식의 빈도(P=0.001)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학력이 높을수록 간식의 정도는 유의적으로 횟수가 많았다(P=0.031). 교직에 만족하지 못하는 교사일수록 과식(P=0.031), 간식(P=0.042)하는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월수입이 낮을수록 채식을 선호하는 경향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0). 영양지식의 평균점수는 17점 만점에 11.8점이었다. 영양지식 수준의 조사결과는 우유 및 유제품의 주요 공급 영양소, 단백질 공급 식품군, 지방의 기능, 콜레스레롤 함유식품, 영양소와 질병, 섬유소의 필요성, 비만의 정의, 비만 유발식품, 비타민의 기능, 유아의 양양교육지도등에 관한 부분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었다. 그러나, 영양소의 열량가(54.5%), 비타민 함유식품(44.8%), 철분 함유식품(66.9%), 우유의 철분함량(20.2%), 식물성 식품의 콜레스테롤 함량(34.0%), 성장기에 부족되기 쉬운 영양소(35.6%), 식물성 칼슘의 생체 이용률(30.0%)에 대한 정답률이 낮아 유아기에 중요한 영양소에 대한 영양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영양지식 수준은 연령, 결혼여부, 유아교육 전공여부, 교직만족, 월수입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영양지식 수준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86). 영양지식 수준과 식습관과의 관계에서는 영양지식 점수가 높을수록 단음식을 유의적으로 선호하였다(P=0.019). 영양과목 수강여부에 따른 영양지식 자아평가의 관계에서는 영양과목의 수강경험이 있는 교사일수록 영양지식에 대해 많이 알고 있는 비율이(P=0.068) 유의적으로 높았다. 영양지식 정보의 급원은 T.V., 인쇄매체가 54.1%로 가장 많았다. 영양지식을 실생활에 반영함에 각 집단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16) 본 연구 결과 어린이 집 교사들의 영양지식 수준이 낮고 식사의 불규칙성, 짠음식, 단음식의 선호도, 잦은 외식횟수등 식습관에도 문제점이 드러났다. 이러한 교사들의 문제점은 유아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교사들의 영양지식 수준 향상과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을 위해 적절하고 실용적인 영양교육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day-care teachers' dietary habits and the level of their knowledge on nutrition to provide basic data for teachers to carry out correct and systematic nutritive education since their dietary habits and nutritive knowledge can affect infants who are on the verge of forming their own dietary habits. To accomplish this purpose, 242 day-care teachers in Seoul were sampled as a subject of research and given a questionnaire to collect and analyze data on such things as teach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etary habits, nutritive knowledge and matters related with that knowledge so on. Teachers' dietary habit showed difference by the demographic variables. The lower the age, the higher the rate of irregular eating(p=0.011), preferred to salty(p=0.000), sweet foods(p=0.009), and significantly higher the frequency of eating out(p=0.028). The higher the age, more significantly frequent the number of drinking coffee(p=0.019). Unmarried teachers mostly preferred to salty foods(p=0.038) an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eating out(p=0.001). The higher the degree of academic career, more significantly frequent the number of eating between meals(p=0.0031). Most of teachers dissatisfied with their job showed higher rate of overeating(p=0.031) and eating between meals (p=0.042). The lower the income per month, the higher the degree of preference to vegetables. The mean score of teachers' nutritive knowledge marked 11.8points on the maximum of 17points. The results of research on the level of teachers' knowledge on such things as major supplying nutrients of milk or dairy products, protein-rich foodstuffs, function of fat, cholesterol-rich foods, nutrient and disease, necessity of roughage, definition of corpulence, foods causing fatness, function of vitamin, and nutritional instruction for infants. But the proportion of correct answer was rather low relevant to such things as calorie base of nutrient(54.5%), vitamin-rich foods(44.8%), ferric foods(66.9%), contents of iron in milk(20.2%), content of cholesterol in vegetables(34.0%), nutrients liable to be deficient in the growing period (35.6%), and rate of vegetable calcium's bionic use(30.0%), thus showed insufficient knowledge on the important nutrients for the infant. The level of teachers' knowledge on nutrition didn'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y such demographic variables as age, married or single, specialty in th Early childhood Education or not, satisfaction with teaching job, and monthly income, while the higher the degree of academic career, significantly higher the level of nutritive knowledge. In the 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nutritive knowledge and dietary habit, the higher the score of the knowledge, more significantly preferred to sweet foods(p=0.019). As for the relation between self-evaluation of nutritive knowledge and experience of receiving nutritive education or not, teachers received that course mostl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about nutrition(p=0.068). As a source of nutritive knowledge, television and print media accounted for 54.1%. In reflecting nutritive knowledge on actual lif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s(p=0.016)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has been revealed certain problems like rather low level of day-care teachers' knowledge on nutrition, their irregular diet, preference to salty, sweet foods and frequent eating out. These problems can exert a direct influence upon children. Therefore, there must be proper and practical plans for teachers' nutritive education to improve the level of their knowledge on nutrition and to have desirable dietary habi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