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성선-
dc.creator장성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6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5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7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52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n comparative research into the language constituents education courses of the 3rd and 4th education in order to contribute in the recommendable National Language constituent-elements-learning processes in primary schools. For this purpose, especially focusing on the third and fourth National-Language-education course, I have first researched present situations of them, second, inquired into the educational aims of the both by comparing contents of them, and then lastly compared and analyzed elements-education contents which were appeared in the 'anguage preactice course' to look into how they were embodied through the two courses. The results from the forementioned stages are obstracted as follows: 1. Both of the two educational courses are laying their aims on cultivating students especially from the aspect of their language employing ability development. But, the fourth course are putting more emphasis on the application of more enhanced systemical cultivation. 2. The contents of the fourth are those which are more carefully choiced and serialized than those of the thrid. 3. The constituent-elements involved in the third are repeated more than at least two times, while the fourth employ a method of deepening the relative difficulty of them. 4. Related to the 'anguage practice course,' the fourth course shows its development-fostering aspect. That is, practice questions are more added up becoming more concrete and various. Then again, at the stage for defining, some means for conceptualization are made use of through 'Ascertaining.' Only, the fourth is seemed to lack producing the apportunity for repetition, which is regretful when considering the nature of languae - easy to forget. Therefore, it is required to be programmed in such a way that the contents learned as the way of induction could be again done as that of deduction guiding a complete learning of contents.;본 연구는 바람직한 초등학교 국어과 언어요소학습에 도움이 되고자 제3차·4차 교육과정기 언어 학습 요소를 비교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첫 단계로 제3차·4차 국어과 교육과정에 의한 국어 교육을 살펴보았으며, 다음 단계로 제3차·4차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언어 학습 요소를 비교함으로써 두 시기 언어요소학습 방향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제3차·4차 교육과정기 국어교과서에서는 언어요소학습이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비교하기 위하여 '말익히기'에 나타난 언어 학습 요소를 비교하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3차·4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모두 최종적인 언어요소학습의 목표를 언어운용 능력에 두고 있다. 그러나 4차는 언어지식의 체계적 습득을 보다 강화하여 언어운용 기능을 돕고자 하였다. 2. 제4차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언어학습요소는 3차에 비해 보다 정선되었고 계열적이었다. 3. 제3차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언어학습 요소는 2회 이상 반복되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심화된 모습은 드러나지 않았다. 반면 4차의 경우는 반복된 언어학습요소는 드물지만 심화된-모습을 알 수 있도록 하여 보다 구체적이었다. 4. 제4차 국어과 교과서에서 학습문제난이 풍부해짐에 따라 언어 학습요소 문제는 다양해졌고 체계성을 갖추었다. 그리고 귀납적인 방법으로 학습하도록 하였고, 정리단계에 개념화 장치를 하였다. 5. 제3차 국어과 교과서 '말익히기'에 나타난 언어 학습요소 문제는 단순하고 막연하게 제시되어 지도 교사나 학습자가 기본 개념을 추출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4차의 경우는 구체적으로 문제가 제시되었다. 6. 음운규칙을 제외한 다른 언어학습요소는 제3차·4차 교육과정기 모두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7. 제3차 언어학습요소 문제 내용은 언어운용 기능 신장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 것이었는데 반해 제4차 언어 학습 요소 문제는 언어지식의 체계적 학습에 중점을 둔 것이어서 국어의 체계성을 학습하기 위한 간단한 예만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은 국어 구사 기능 신장에 궁극적인 목표가 있으므로 국어의 체계성 학습은 충분한 용법 학습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져야 한다. 이상에서 언어 학습 요소를 비교 고찰한 결과 제4차 언어 학습요소가 보다 발전적인 모습을 보였다. 다만, 아쉬운 점은 귀납적인 방법으로 학습한 내용을 다시 반복, 확인시켜 주는 기회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언어교육이 망각하기 쉬운 학문임을 유의하여 적절한 기회에 반복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학습 현장에서 용법 학습을 통한 언어 학습 요소 교육이 되기 위하여 이에 대한 충분한 자료가 개발되어야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 2 C. 연구의 제한점 = 2 Ⅱ. 본론 = 3 A. 제3차·4차 국어과 교육과정에 의한 국어과 교육 = 3 B. 제3차·4차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언어 학습 요소 비교 = 9 C. 제3차·4차 국어과 교과서 '말익히기'에 나타난 언어 학습 요소 비교 = 15 1. 문형 = 16 2. 발음 = 20 3. 어휘 = 22 4. 조사 = 25 5. 호응 = 26 6. 꾸미는 말 = 28 7. 잇는 말 = 31 8. 가리키는 말 = 34 9. 높임말 = 35 10. 시제 표현 = 37 11. 서술어 = 39 12. 문장의 종류 = 41 13. 문장 부호 = 42 14. 문장 구성 = 43 Ⅲ. 결론 = 45 참고문헌 = 50 ABSTRACT = 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818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초등학교-
dc.subject국어과-
dc.subject교과서-
dc.subject언어학습요소-
dc.title초등학교 국어과 교과서에 나타난 언어학습요소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제3차·4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RESEARCH INTO LANGUAGE CONSTITUENTS STUDY COURSE IN PRIMARY SCHOOL : On the basis of the 3rd & 4th Educational Curricula-
dc.format.page5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dc.date.awarded198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