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3 Download: 0

形象(Appearance)과 實在(Reality)를 통한 造形性 追求

Title
形象(Appearance)과 實在(Reality)를 통한 造形性 追求
Other Titles
(THE) PURSUIT OF FORMATIVE NATURE THORUGH REALITY AND APPEARANCE
Authors
金宋榮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대학원 회화학과
Keywords
형상실재조형성AppearanceRealiry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20c의 과학문명과 대량매체에 따른 인간성의 왜곡, 주체성의 상실로 인한 인간 소외현상은 사회문제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내면적 성실한 마음가짐을 갖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현대회화의 진정한 의미는 추상회화나 사실주의에 있는 것이 아니라, 주체적 인간으로서의 중요성을 획득함에 있다고 본다. Georg W. F. Hegel (1970∼1831)의 변증법에 의하면 "이상적인 것은 현실적이며, 현실적인 것은 이상적이다." 즉, 정신과 물질은 물과 기름처럼 이중화 되어도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중성의 원리를 통해 대상에 내재된 실재 (Reality)와 대상물을 의식적으로 재결합하여 물질과 정신을 조화있게 합일시키는 것이 본인의 중요한 과제이다. 즉, 영적인 실체 (Reality) ^(1) 와 물질적인 겉보기(Appearance), 의식과 무의식을 조화있게 표현함으로써 이중성을 통해 진정한 자아발견을 위함이다. 본인의 이러한 과제를 위해 이론적으로, 대상의 내재된 실재를 중시하여 표현한 Georges Braque (1882∼1963)의 입체적 분석방법과 현상학적으로 재현하려는 Pop Art계열의 David Hockney (1937~ ), 마지막으로 초현실주의 그룹에 가담을 거부하면서 독창적인 환상성에 접근한 Marc Chagall (1889~ )외 예술세계에 관하여 간단히 요약하여 본인의 작품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조형적인 면에서는 대상과 대상에 내재된 실재의 새로운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기하학적 형태와 사진을 이용한 조형적인 공간 분활 방법으로 자신을 투영한 자기공간을 만들고자 하였다. 본인은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세계 속에 들어 있는 자신의 내적자아를 참아내고 그 속에 든 세계를 발견함으로써 자신과 세계와의 관계를 균형있게 유지하여 본인의 회화적 가치관을 정립해 나가고자 한다.; The alienation of human starts to appear as a social problem, it is due to the mis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and the loss of subjectivity according to the scientific civilization and the mass-media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sincerity of our mind and heart is essential to solve these problems. In such meaning, the true direction of modern painting is not in Realism or Abstract art, but can be in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as a person with subjectivity. According to the dalectic of Hegel, he said that ''the idea is the real, and the real is the ideal." That is spirit and matter can exist at dual-state like water and oil.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harmonious unity of spirit and matter, re-unitinig the inner reality and the outer appearance of object consciously through the dualism. Namely, it is finding of true-I in the dualism, such as spiritual reality and material appearance, unconsciousness and consciousness, which are appeared in painting. In this study, the method is comparing and analyzing Georges Braque's work character, David Hockney's and Marc Chagall's with my works; 1) This study uses Georges Braque's analytic method which emphasizes the inner reality of object. 2) In phenomenologic aspect, it is based on David Hockney. He, as one of Pop Art group, expresses the reality of nature. 3) In theoritical aspect, it is based on Marc Chagall. He, who does not take part in Surrealism, expresses the creative fantasy, the full humanism and the craving for God, at his works. In the formative: aspect, I tried to create self-space projecting true-I as a method of formative space using geometrical form and picture, in order to new space for the object and the inner reality. In this study, I hope to establish the view of value about painting, maintining the balance in relation between self and the world, through the fact that the inner reality of self is found in the world and the world is found in the inner rea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