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6 Download: 0

自然空間의 抽象化

Title
自然空間의 抽象化
Other Titles
Study on nascent image of nature space through abstract painting
Authors
柳惠松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대학원 회화학과
Keywords
자연공간추상화생성이미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bstract painting which uproared in early twentieth century has developed to two directions. The one is "pre-abstrect painting" which carries out the harmonization of realities of Renascence painting with Spirit of Abstract painting. Also can we designate it as pre-modernism, which sheds a light on the feeling from nature, and as lyrical abstract painting coming out from an artist's personal feeling. This tendency has a serial of artists including Monet who firstly expressed the "Impression of Twilight" The other is post-modernism haying a view of Puritanism giving priority to one's spiritual nature which is averse to physical surroundings and banality of materialism. But excessive self-indulgence of individual in abstract painting isolated from actual life may be led to the deficiency of its languages and to deviation from original aims-asthetics of searching for the nature of spirit and expression of humanity. In terms of the nascent power and variation I tried out to from the figure of visible nature which has its hidden orders. For a theorical base of this thesis, in content terms, I studied Zao Wou-ki who tried abstract landscape painting with the gesture of Chinese-lettering which was harmonized with traditional principles of drawing landscapes, and Jean Le Moal who expressed the impression of nature in abstract painting. Wlth regard to the method of my works, I studied Georgia O'Keeffe who had a concern for physical objects of nature and expressed them in non-illusionistic space, and francis Picabia who early got through a dynamic surface by applying musical rythms to painting. Through these efforts, I tried to elevorate my view point of painting;20세기에 이르러 나타난 추상미술은 지금에 이르기까지 크게 두 방향으로 전개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그 한 부류는 초기 추상 단계로서 르네상스의 현실성과 추상화의 정신성이 하나가 되는 양상으로, 이것을 초기 현대주의라 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자연에서 온 감동이 그 기본이 된다. 이것은 주관적 태도에서 비롯된 서정적 추상이며, 이 흐름은 Monet의 석양에서 시작하여 자연을 추상화한 일련의 작가군을 포함한다. 그리고 후기 현대주의라 지칭되는 다른 한 부류는 정신적으로 물질성을 배제하는 청교도적 이며 현실과는 차단된 추상화이다. 본인은 현실체계를 기반으로 자연의 형상과 그 속에 감추어진 질서를 생성의 힘과 변화의 측면에서 조형화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이론적 기반으로 내용적인 면에서는 서(書)가 지니고 있는 추상적 표현과 중국의 전통풍경화법의 결합 안에서 추상풍경화를 시도한 자오우키(Zao Wou-Ki)와 자연의 인상을 추상화한 장 르 모알(Jean Le Moal)을 연구하였고, 방법적인면에서는 자연안의 오브제에 관심을 가지면서 그것을 비환영공간(非幻影空間, non-illusionistic space)을 통해 표현한 죠르지아 오케프(Georgia O'keeffe)와 회화에 음악성을 도입하여 동적인 화면을 구성한 프란시스 피카비아(Francis Picabia)의 초기작품을 연구하여 본인의 회화적 가치관을 정립해 나아가고자 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