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6 Download: 0

중학교 도덕 교과서 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 조사연구

Title
중학교 도덕 교과서 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 조사연구
Other Titles
(A) SURVEY STUDY OF TEACHERS' OPINIONS ON MIDDLE SCHOOL MORAL TEXTBOOK CONTENTS
Authors
박성은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과정분야
Keywords
중학교도덕교과서교사들의 의견교육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Nowadays, when we consider the confused value of our society, the importance of moral education in schools cannot be overem-phasized, but the effectiveness of moral education cannot be estimated desirably. And so, this study aims at finding a way of improvement of moral education through analyzing moral teachers′ opinions on contents and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moral textbook,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moral education. This study is trying to answer to following questions. 1. How is an overall composition of moral textbook contents? 2. How is a development method of moral textbook contents? 3. To what degree do moral textbook contents reflect today′s social issues? 4. Are moral textbook contents proper to intellectual development level of students? 5. What must an improvement way of moral textbook contents and development method be? Two kinds were adopted as a method of this study. First, the meaning of moral subject education in schools, and the present moral subject curriculum in middle school were shown based on documents concerned. Second, questionnaires in which items were selected based on moral textbook contents and development method were distributed to moral teachers (111 persons) in middle schools (39 schools) in Seoul. Data were analyzed by percentage, and their results were as follows. 1. Overall composition of moral textbook contents was biased in selecting and arranging moral items and showed conflicts between moral items too roughly. 2. Most of teachers responded that moral textbook reflected issues to some degree that were of social concern, but some of teachers (38.7%) responded that it never reflected them, 3. Moral textbook contents were shown easy comparing with intellectual development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4. The way of improvement of moral textbook was that moral textbook should be composed of including personal and national morality, but teachers specially want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humanbeing′s dignity in moral textbook. 5. The development method of moral textbook contents was shown one-sided interpretation of moral items and cramming method of value. 6. Teachers wanted that the improvement way in development of moral textbook contents was composed of both rightful value suggestion and examples dealing with conflicting situations. Futhermore, they wanted the examples dealing with conflicting situations to be more emphasized. 7. Teachers′ other responses were; (1) Quantity of textbook contents is too much. (2) Contents are often overlapped in each grade. (3) The development of textbook contents shows a lack of system. From the above-mentioned results of analysis, conclusions and sugg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moral textbook contents, which will give an importance to conflicts between moral items as well as well-balanced arrangement of moral items, will have to help students to judge the moral situations rightly. Second, moral textbook contents giving an importance to contents on humanbeing so that they overcome the present direction to society and nation biased contents, will have to help students to perceive and respect dignity and value of a person in democratic society. Third, moral textbook contents reflecting real moral issues of society will enlarge the influence of moral education. Fourth, moral textbook contents selected to be appropriate to intellectual development level of students, will have to help students to think moral issues with interest and concern. Fifth, the development method of textbook contents, using their own method of research in rightful value rather than one-sided suggestion of rightful value, will have to give students themselves chances to find the meaning of morality and the values. Finally, students will be able to discuss deeply moral issues on one subject through removing overlapped contents and reducing quantity of textbook contents.;오늘날 우리 사회의 가치관의 혼란은 학생들의 도덕적 기조를 흔들리게 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가정과 사회에서의 도덕교육은 물론 학교 도덕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지만 도덕 교육의 효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므로 좀더 나은 학교 도덕교육을 위해서는 도덕교육의 문제를 여러 차원에서 다각도로 연구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학교 도덕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도덕 교과서의 내용과 전개방식에 대한 도덕과 교사들의 의견을 분석하여 그 개선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관계문헌을 기초로 도덕과 교육(道德科 敎育)의 의미, 현행 중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또한 도덕 교과서 내용과 전개방식, 두가지 측면에서 설정된 연구문항에 대해 서울시내 39개 중학교 도덕교사 11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에 의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백분율로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의 결과 분석은 다음과 같다. 1. 도덕교과서 내용의 전반적인 구성방식은 덕목배열이 편파적일뿐만 아니라 덕목간의 갈등을 소홀히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과반수 이상의 교사들은 도덕교과서 내용이 오늘날 사회적으로 관심있는 문제를 '어느정도 반영하고 있다'고 보고 있으나, 38.7%의 교사들은 '전혀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고 보고 있으며 이는 학교 도덕교육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는 한 원인이라고 하였다. 3. 도덕교과서 내용은 중학교 전학년 학생들의 지적 발달 수준에 비해 쉬운 편으로 나타났다. 4. 도덕교과서 내용의 개선방향으로는 개인윤리와 사회·국가윤리를 병행하여 구성하되 개인의 존엄성에 관한 내용을 좀더 중시하기를 바라고 있었다. 5. 도덕교과서 내용의 전개방식을 덕목의 일방적인 해석과 가치주입식으로 나타났다. 6. 도덕교과서 내용의 전개방식에 대한 개선방향으로는 당위적인 가치제시와 갈등사태를 다루는 예화중심의 두 전개방식이 병행하기를 바라되 갈등사태를 다루는 예화중심의 전개방식이 좀 더 중시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7. 기타 자유반응란에 응답한 내용을 첫째, 교과서내용의 분량이 너무 많다. 둘째, 1·2·3학년 내용에서 중복되는 내용이 많다. 셋째, 학년별 내용전개에서 체계성이 부족하다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분석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첫째, 학생들이 다양한 도덕적 사태를 보고 판단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 교과서 내용은 덕목을 고루 배열하고 덕목간의 갈등을 중시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학생들이 민주사회에서의 개인의 존엄성과 가치를 충분히 인지하고 존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현행 교과서에서 지나치게 강조되고 있는 국가, 사회중심적인 편향성을 벗어나 개인의 발전과 가치를 보다 강조하는 내용에 비중을 두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교과서 내용은 학생들이 살고있는 사회의 현실감있는 도덕문제를 잘 반영함으로써 학생들에 대한 도덕교육의 영향을 더 크게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네째, 교과서 내용은 학생들의 지적 발달 수준에 적합한 것으로 선정함으로써 학생들 스스로가 흥미롭고 관심있게 도덕적 문제에 대해서 사고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다섯째, 교과서 내용의 전개방식은 당위적인 가치의 일방적인 제시보다는 당위적 가치를 학생 스스로 탐구하도록 함으로서 학생들 스스로가 도덕적 의미와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할 것이다. 여섯째, 교과서 내용중 중복되는 내용을 없애고 분량을 줄임으로써 하나의 주제에 대해 깊이있는 도덕적 논의를 가능하게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