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6 Download: 0

형상과 기하학적 공간분할에 의한 표현 연구

Title
형상과 기하학적 공간분할에 의한 표현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EXPRESSION THROUGH THE FIGURATION AND GEOMETRICAL SPACE-DIVISION
Authors
이은주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서양화과
Keywords
형상기하학공간분할서양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Painting is a product which is formed through constant conversation of the creative acts intended to express the result of the visual and thoughtful acts of humanbeing with the picture, tension and dynamic relation. Also, through the history of plastic art, both the abstract and realistic tendencies have been altenatively influenced complementary in any types. The general trend of "Abstract art" which arose in the early 20th century, is considered the starting point of modern art, though it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prescribing essence of modern art. Through these development of "Abstract art", after the war Ⅱ, the individual dignity of the artist emphasized continuously on the other hand scientific method explored and produced. Namely, Lyrical abstraction which emphasized the feeling and intuition were proceeded Abstract Expressionism, Informel, Neo Figuration Painting and Neo Expressionsim. In addition, the birth of Neo-Plasticism which employed the geometric forms were free arid varied art styles such as Post Painterly Abstraction, Minimal Art and Neo-Geo. Among the streams of modern fine arts developed and coexisted with the experimental attitude of these pictures and the expressive mode, I pay attention to the creation of subjective form that can be seen in the various art movements rather than to seek a definite formality. In the productional perspective, I intended to express the urban image shown modern culture and geometric structure transferred form the living circumstance and emotional inner space in the psychological aspect. Therefore, I made an effort to find an answer in my works by selecting a few reference artists. Those are, R. Diebenkorn (l922~ ) who expressing the sense of geographical form and seasons statically and lyrically with solid forms, leads the plane abstraction and until the beginning of seventies, D. Hockney (1937~ ) who used a photograph as a basic drawing of work. In the study of theory, by concerning geometrical order shown in the modern urban circumstance, I tried to idetntify the relation my inner scope by concerned with the reconciliation structural space-division. In the methodological aspect, screen is restructed in the photo-media perceiving space and expressed. Also, I intended to express the used a effect of overlapping. The study stemmed form the formative will investigating screen space emphasized the screen constitution and tired to express my inner space properly through formative element.;인간의 예술적 창조행위와 끊임없는 대화와 긴장의 관계속에서, 조형예술은 어떤 형태로든 추상적인 것과 사실적인 것의 경향이 서로 엇갈리면서 상호보완적인 영향을 주어왔다. 현대미술의 본질들 규정하는 관점에 따라, 현대미술의 출발점은 정해질 수 있으나, 본인은 20세기 초부터 시작된 전반적인 추상회화의 경향을 그 출발점으로 보았다. 이러한 추상회화의 흐름은,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개별적인 존엄성을 강조하는 일면이 계속되었고, 다른 한편에서는 과학적인 방법을 모색하고 제작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즉, 감정과 직관을 강조한 서정적 추상은 추상표현주의(Abstract Expressionism), 앵포르멜(Informel) 등이 있고, 1960년대 이후 대두된 개념적이고 양식적인 새로운 영역으로서 신구상회화(Neo Figuration Painting), 신표현주의(Neo Expressionism)가 등장하게 되었다. 또한 합리적 정신에 입각한 기하학적 형태의 사용은 신조형주의(Neo-Plasticism)를 기점으로 하여, 후기추상회화(Post Painterly Abstraction), 미니멀 아트(Minimal Art), 신기하추상(Neo-Geo) 등, 다채로운 회화양식이 전개되어 왔다. 이러한 회화의 다양한 실험태도와 표현양식이 공존하며 발전되어 온 현대미술의 흐름속에서, 본인은 어떤 특정한 양식을 구하기 보다는 다양한 미술운동에서 수반되어 보여지는 주관적인 조형성 탐구에 주목하였다. 본인의 작품은 제작에 있어서 현대문명에서 보여지는 도시적 이미지(Image)와 생활환경에서 전이된 기하학적 구조를 나타내고, 정신적인 측면에서 감성적인 공간을 표현하였다. 이에, 지형과 계절의 감각을 견고한 구조속에서 평면추상으로 이끌고 간 리차드 디벤콘(R. Diebenkorn, 1922-)과, 1970년대 전반까지 드로잉(Drawing)작업에 사진을 이용한 데이비드 호크니(B. Hockney, 1937-)를 참고작가로 선정하여, 본인 작품에 대한 분석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론적 연구에 있어서는, 현대 도시공간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기하학적 질서에 관심을 갖고, 구조적인 공간분할을 주된 조형상의 추구점으로 간주하여, 본인의 내면세계와의 연관을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제작적인 측면에서는 사진이란 매체를 통해 인식된 공간속에, 화면이 재구성되어지고, 중첩의 효과를 이용하여 표현되어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구조적 화면구성의 측면을 중시한 화면공간을 탐구하는 조형의지에서 비롯되었으며, 기하학적 조형요소를 통하여 본인이 인식한 회화 공간을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