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1 Download: 0

부조적 기법에 의한 Tapestry

Title
부조적 기법에 의한 Tapestry
Other Titles
Representation on Tapestry by Relief Technique : on the Basis of Making Works
Authors
김유림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섬유예술학과
Keywords
부조적기법Tapestry타피스트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variety of modern arts is spreading influence over fiber art on its forms and techniques. With the trend of the modern spatial art, tapestry technique, which is most traditional in fiber art, pursues the conversion of 'plane' to 'relief' and then 'relief' to 'three-dimensional', and it is viewed in a new light with formative art's free-spirited activities by escaping from the traditional formality as a result of artist's individual intentions. From such process, this research is interested in proper applications of relief technique and spatial effect by its 'semi three-dimensional' expression, and it aims to study the depth of visual space through relief technique of tapestry and to analyze effects of its expression. The method of the research was done through studying literature citings, making works of tapestry, and having visual analysis.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research, general findings about relief and space are sought, and works of modern fiber artists are carefully studied through literature with tile emphasis on 'double weaves' and 'slit technique', which can be applied in various forms, functions, and techniques, among many relief techniques of tapestry. In making of works, rough texture materials such as hemp yarn, woolen yarn, and sisal hemp are used in order to shape the image of life through nature. which is reconstructed and abstracted by inner emotions. Through such processes of making works and research study, a rather strong spatial feeling is obtained when tapestry by 'double weaves' and 'slit technique' is expressed in a relief form. Also, aesthetic formativeness is realized due to 'three dimensional' effect in a plan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of the research. one needs to give efforts in developing new forms of relief suitable to the modern formative art with a vigorous attitude toward experiment and research and shall continue constant research.;현대예술의 다양화는 섬유예술에 있어서도 그 형태와 기법면에서 영역을 확대해 가고 있다. 이러한 섬유예술에서 가장 전통적인 Tapestry기법은 현대 공간예술의 흐름에 따라 평면에서 부조, 부조에서 입체로의 전환을 추구하며 작가의 개성적인 의도에 의해 전통틀에서 탈피하여 자유로운 조형활동으로서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이와같은 과정에서 본 연구는 부조적 기법의 적절한 응용과 반입체적 표현으로서의 공간효과에 관심을 갖고, Tapestry의 부조적 기법을 통한 시각적 공간의 깊이를 탐구하며, 그 표현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작품제작 및 시각적 분석을 병행하였으며, 이에 바탕이 되는 이론적 배경으로서 부조와 공간에 대한 일반적인 특징과 Tapestry의 부조적 기법을 알아본 후, 그 중에서도 형태와 기능, 기법면에서 다양하게 조형되어질 수 있는 슬릿(Slit)기법과 이중직을 중심으로 현대섬유작가들의 작품을, 문헌을 통해 고찰하였다. 작품제작에 있어서는 자연을 통한 삶의 이미지를 내적 감동에 의해 재구성, 추상화하였으며, 이러한 내용에 부합되는 소재로서 마사와 모사, 사이잘 삼과 같은 거친 질감의 재료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작품제작과 연구과정을 통해서 슬릿기법과 이중직에 의한 Tapestry는 부조적 형태로 표현되었을 때, 보다 깊은 공간감을 느낄 수 있으며, 평면에서의 입체적 효과로서 미적 조형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이와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도 적극적인 실험정신과 연구자세로서 현대조형예술에 맞는 새로운 부조형태를 창조하며, 꾸준한 연구를 계속하여야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