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5 Download: 0

성격특성에 따른 중년기의 적응에 관한 연구

Title
성격특성에 따른 중년기의 적응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Impact of the Personality on the Adjustment in Mid-Life : Focused on Sex-Role Identity and Locus of Control
Authors
김현화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성격특성중년기성역할정체감내외통제적성격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성역할 정체감과 내외통제적 성격에 따라 중년기 남녀의 생활만족도가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규명함으로서, 개인의 성격특성과 중년기 적응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에 거주하는 현재 결혼상태에 있는 중년기 남녀로, 연령은 40-59세 사이이고 적어도 막내자녀가 중학교 이상에 재학중인 학부모 374명(남성185명, 여성189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성격특성 중 성역할 정체감을 측정하기 위해서 단축형 BSRI(Bem Sex Role Inventory)를 한글로 번안한 정옥분(1986)의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내외 통제적 성격의 측정은 Rotter(1966)의 Internal-External Scale을 발췌, 번안하여 사용하였으며, 중년기 남녀의 생활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Hayes와 Stinnett(1971)의 MYLSS(Middle Years Life Satisfaction Scale)를 번안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요인분석, t-test, X^(2)검증, 변량분석, 공분산 분석, Duncan's Multiple Range Test, 피어슨의 적률상관계수 산출, 단계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의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서울시내에 거주하는 중년기 남녀의 성역할 정체감 분포는 남성에게는 양성성, 남성성, 미분화형, 여성성 유형의 순서로 나타났고, 여성에게는 미분화형, 양성성, 여성성, 남성성 유형의 순서로 나타났다. 중년기 남성과 여성 모두 다소 내적통제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으며, 중년기생활 만족도는 중간 정도의 수준이고, 중년기 남성의 생활만족도가 여성의 생활만족도보다 의미있게 높았다. 2. 중년기 남성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은 연령, 교육정도, 직업, 가계소득으로, 연령이 55-59세일 때, 교육정도가 높을 때, 직업이 관리직, 전문직일 때, 가계소득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중년기 여성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연령, 교육정도, 남편의 직업, 종교유무로, 연령이 55-59세일 경우, 교육정도, 남편의 직업지위가 높을수록, 종교가 있을 때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반면에 여성의 취업유무, 가족형태, 결혼지속년수, 자녀수, 막내 자녀의 위치, 맏자녀의 위치는 중년기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성역할 정체감, 내외통제적 성격과 중년기 남녀의 생활만족도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며, 남성은 남성성 성역할 정체감일 때, 여성은 양성성 성역할 정체감일 때 생활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남녀 모두 미분화형의 생활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중년기 남성과 여성 모두 내적통제적 성격을 가질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4. 중년기 남녀의 생활만족도에 기여하는 변인은 교육정도, 가계소득, 성역할 정체감, 내외통제적 성격으로 밝혀졌으며, 이들 변인의 중년기 남성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설명력은 27%, 중년기 여성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설명력은 24%였다. 중년기 남성에게는 가계소득이, 여성에게는 성역할 정체감이 생활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and adjustment in the mid-life.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374 married persons (185 men and 189 women) who live in Seoul and are 40 to 59 years old and whose last child is middle school at least. Bem's short form BSRI, Rotter(1966)'s Internal-External Scale and Hayes & Stinnett(1971)'s MYLSS were used as measurements tools. Fator analysis, T-test, Chi-square, ANOVA, ANC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regression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Cronbach's α was aslo computed for verifications of the reliability of the scale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While sex-role identity of middle aged men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Androgynous, masculine, undifferentiated, feminine, sex-role identity of middle aged women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Undifferentiated, androgynous, feminine, masculine. Both men and women had the moderate scores on the locus of control, The middle aged expressed a moderate level of life satisfaction with middle aged men reporting significantly a higher life satisfaction than did women. 2. Socio-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education, occuption and income have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 aged men. As for the life satisfacton of middle aged women, age, educabn, husband's occuption and religon had significant influences. However, employment status of women, family structure, marital duration, number of child, status of last child, status of first child had no significant influences on Mid-life satisfaction. 3. Mid-life satisfaction of men and women was influenced significantly by sex-role identity and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Those men described as masculine and those women androgynous in the sex-role identity had the highest life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those of undifferentiated in the sex-role identity had the lowest life satisfaction. High levels of internal control were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life satisfaction. 4. The variable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 aged men and women were education, income, sex-role identity, internal control. These 4 variables explained 27% of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 aged men and 24% of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 aged wom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