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玲珠-
dc.creator金玲珠-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0Z-
dc.date.issued198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8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6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830-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children's abilities of meta-cognitive message evaluation and to address cognitive load factor in the message evaluation performance. This study is also aimed to asses the generality of message evaluation-production relationship. In this experiment kindergaten, first and second grade children (N=60) were acted as subjects. In the message evaluation task the child was given by 12 short message items, each followed by a question regarding the content of the items. The picture was accompanied by the message for the presence of physical context. In the message production task child was shown eight pictures of four items arrays. The child's task was to produce a description of one target item in each array.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indicates that supportive perceptual context can facilitate the child's use of his or her message evaluation competence. The use of stimulus pictures has appeared to reduce the processing-load imposed by the need to evaluate ambiguous terms. The child's ability to detect ambiguous message increased with age.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also was showing that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dividual's message evaluation and production scores.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which testifies that better message evaluators has also produced messages with more informative and fewer uninformative cues.;본 연구는 학령전 아동과 학령초기 아동들을 대상으로 첫째 메타인지적 메시지 평가에 있어서 연령 변화와 함께 메시지에 관련된 물리적 상황의 존재여부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고, 둘째 메시지 평가능력과 메시지 산출 능력간의 관계에 대한 일반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는 유치원과 국민학교 1학년, 2학년 아동이 각 20명씩 총 60명이 참여하였다. 메시지 평가 과제로는 12개의 짧은 이야기를 제시하고 각각에 대한 질문을 함으로써 그 질문에 답을 하게 하였다. 물리적 상황의 존재여부는 그림을 제시하는 경우와 제시하지 않는 경우로 결정지었다. 메시지 산출 과제로는 1장에 4개의 그림으로 구성된 8장의 그림을 차례로 제시하고, 4개의 그림중 실험자가 지적하는 그림을 설명 하도록 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살펴보면, 학령전 아동과 학령초기 아동들에 있어서 물리적 상황의 존재가 메시지의 모호함을 찾아내는 것을 용이하게 하였다. 메시지와 함께 관련된 그림을 제시함으로써 모호한 메시지를 찾아내는데 부과된 인지과정의 부담을 감소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간의 변화에 있어서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모호한 메시지에 대한 평가를 더 정확히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메시지 평가와 산출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메시지의 모호함을 잘 찾아내는 아동일수록 좀 더 정보적인 메시지를 산출하며, 비정보적인 메시지는 덜 산출할 것이라는 가정과 일치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선행연구와 연구문제 = 4 Ⅲ. 연구방법 및 방법 = 10 A. 피험자 = 10 B. 자극재료 = 10 C. 실험절차 = 12 D. 실험설계 = 14 E. 자료처리 = 14 Ⅳ. 결과 = 16 A. 메시지 평가 = 16 B. 메시지 평가 점수와 메시지 산출 점수간의 상관 = 20 Ⅴ. 요약 및 논의 = 22 참고문헌 = 25 부록 = 28 ABSTRACT = 4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479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아동-
dc.subject의사소통능력-
dc.subject메시지 평가-
dc.subject교육심리학-
dc.title아동의 意思疏通能力 發達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OMMUNICATION ABILITY-
dc.format.page4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심리학과-
dc.date.awarded198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