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지윤-
dc.creator김지윤-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4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3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62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38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국민학교 2학년과 5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단어기억에 있어서 범주적 조직의 사용에 관하여 살펴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범주 대표성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두 개의 단어 목록을 사용하고, 세가지 암기 지시조건을 설정하여, 연령, 목록, 암기조건 간에 차이가 있는가를 보았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국민학교 2학년과 5학년 아동들로서 각 학년별로 36명씩, 총 72명을 표집하였다. 이 아동들은 학업성적과 지능을 중간 계층으로 통제하고 남·녀의 수는 같은 비율로 하였다. 학년별로 36명의 피험자들은 세가지 암기조건에 12명씩(남·녀 6명씩) 임의로 배정되었다. 본 실험에서의 세가지 암기조건은, 표준조건(standard condition), 반복조건 (repetition condition), 범주조건 (category condition)으로 조건별로 다른 암기지시를 내리도록 하였다. 각 조건에 사용된 두개의 목록은 고 대표성 목록(high representative list)과 중간 대표성 목록(medium representative List)으로서, 2학년 아동들이 해당 범주에 있어서 전형적이라고 판단한 정도에 따라 4개씩 선정하여 작성한 것이다. 사용한 범주는 6개이며 각 범주에 대해서 목록별로 4개의 단어들을 포함시켜 24개씩의 항목들로 구성하였다. 절차는 각 조건별로 암기방식을 지시하면서, 첫번째 목록인 High List를 제시한 후, 최근성 효과를 제거하기 위한 삽입과제를 주고 이어 회상검사를 실시하였다. 두번째 목록인 Medium List에 대해서도 동일한 절차로 실험하였다. 자료처리는 목록에 제시되었던 것과 똑같은 단어를 회상하였을 때를 1점씩으로 하여 하나의 목록에 대해 24점 만점으로 채점하였고 집단별로 평균점수를 산출한 후, 두 목록에 대해 각각 요인별 변량분석하였다. 그리고 두 목록간의 차이를 보기 위하여 집단별로 t-검증하였다. 범주적 조직에 따른 군화(群化)는 반복비율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회상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High List에 있어서 학년이 올라갈수록 회상양은 증가하였다. 암기조건에 따른 회상양의 차이도 유의했으며, 특히 범주조건에서의 회상양은 표준조건과 반복조건에 비하여 유의하게 많았다. 반면 표준조건과 반복조건의 회상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Medium List에 있어서, 학년이 올라 갈수록 회상양을 증가하였다. 암기조건에 따른 회상양의 차이도 유의했는데 범주조건에서의 회상양은 표준조건과 반복조건에 비하여 유의하게 많았고, 표준조건과 반복조건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High List와 Medium List간의 회상양의 차이는 두 학년에 있어서 표준조건을 제외하고, 반복조건과 범주조건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특히 범주조건에서 두 목록에 대한 회상의 차는 현저했는데, 이는 대표성의 차이가 범주적 조직의 사용에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4. 군화에서는 두 목록에서 학년간에는 유의한 차가 없었다. 그러나 암기조건에 따른 차이는 유의했는데 특히 범주조건에서의 군화는 표준조건과 반복조건에 비해서 현저하게 많이 일어났다. 5. 군화에 있어서 High List와 Medium List간의 차이는 5학년의 범주조건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비록 아동들이 성인들과 비교하여, 책략처리에 관한 지식이 부족하고, 책략의 사용이 유능하지 못하지만, 본 연구에서와 같이 의도적으로 범주구조를 조직하여 사용하도록 지시, 훈련시켰을 경우 회상수행은 상당히 향상되었다. 그러므로 이와같은 방법은 아동이 자발적으로 암기책략을 사용하지 못하는 데서 오는 회상의 저조함을 극복하고 암기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이라고 하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se of categorical organization in child's memory. To accomplish this goal I attempted to find the effects in recall performance and category clustering according to the memory instruction and category represent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 and 5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I sampled 36 children respectively from two grades, 72 children in total and the proportion of sex was equal. Methodogically, their school peroformance and I.Q. were adequately controlled by their class teacher's judgement. The stimuli which were used consisted of two lists (High and Medium), of 24 common nouns chosen from six categories. The High List consisted of the items that were most frequently generated by second graders when a category label was given. The Medium List consisted of items taken from the middle of the generation norms for each category.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memory instruction conditions; standard, repetition and category. The procedures of this experiment were as follows; All the subjects were instructed that they were to be shown a list of words and that they were to study the items so that after they had seen them they would be able to recall as many as possible. They were also told that they would be able to recall the items in any order. Subjects in the repetition and category condition were told that they were try to study the items in a specific way. Subjects in repetition condition to study each items independently, to repeat each items aloud until the next item was presented. Subjects in the category condition were informed of the categorical nature of the list and were told that they should try to group all the items from the same category together. After that, High List was presented for two minutes. And then to remove any recency effect subjects were given a certain inserting task. Next, they were asked for to recall the items out loud for three minutes. After the first recall test, subjects were once again reminded of how to rehearse the materials, and subsequently Medium List was presented by the same way of the first list. Items which remembered correctly were analyzed by analysis of variance, comparing condition, list and grade. Additionally, to se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lists, t-test was practised. Clustering according to the categorical organization was measured using the ratio of repetition(RR), were analyzed by the same way. The results gathered can be summerized as follows; 1. For High List, as they became older, the recalled items were increased. Especially, in the category condition, children recalled significantly more items than the other conditions. 2. For Medium List, as they became older, the recalled items were increased. Also, in the category condition, children recalled significantly more items than the other conditions. 3. In two grades,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between two lists, except the standard conditions. Especially, the differences in the category conditions were very remarkable. 4. In category clustering for both lists,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effects in grades. But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in memory conditions, espetially, in the category condition, the clustering happened more frequently than the other conditions. 5. In clustering, the differences of two lists were not significant except one case. Only the fifth graders in the category condition, showed significant effects between two lis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A. 아동기억에 있어서의 산출결함 = 4 B. 의미기억에 관한 이론 = 8 C. 범주군화 (Category Clustering) = 10 Ⅲ. 연구방법 = 12 A. 피험자 = 12 B. 실험도구 = 12 C. 실험절차 = 14 D. 자료처리 = 16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17 A. 회상 (Recall) = 17 B. 군화 (Clustering) = 20 Ⅴ. 논의 = 25 참고문헌 = 29 ABSTRACT = 3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848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아동기억-
dc.subject범주적 조직-
dc.subject조직의 사용-
dc.subject교육심리학-
dc.title아동기억에 있어서 범주적 조직의 사용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USE OF CATEGORICAL ORGANIZATION IN CHILD'S MEMORY-
dc.format.page3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심리학과-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