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7 Download: 0

학교 상황내에서 호감아와 배척아의 비교연구

Title
학교 상황내에서 호감아와 배척아의 비교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Beloved Students Group and the Excluded Students Group in Their School Lives : chiefly by focusing on the sense of self and the diagnostic test of the home background
Authors
이경수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심리분야
Keywords
학교 상황호감아배척아자아개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청소년기의 교우관계를 통한 사회성의 발달은 매우 중요하며 특히 교우관계에서 호감을 받는가 배척을 받는가는 인격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호감이나 배척을 받게 되는 행동을 하게 되는 데는 학생 스스로가 자신에 대해 지각하는 자아개념이 어떤 것인가에 달려 있을 것이며 이러한 자아개념 형성에는 가정의 심리적 환경이 크게 영향을 줄 것이라고 보았다 . 본 연구는 학급에서 급우들로부터 호감을 받는 인기아집단과 배척을 받는 배척아집단간의 자아개념과 가정의 심리적 환경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S여자중학교 전교생 1810명을 대상으로 교우조사를 하여 호감아 81명과 배척아 70명을 선별했다. 이 두 집단을 대상으로 자아개념 진단검사와 가정환경 진단검사를 실시한 후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TSS 프로그램으로 전산처리하여 두 집단간의 유의도를 내기 위해 t검증 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자아개념 진단검사에 있어 인기아집단이 배척아집단보다 점수가 높았다 . 둘째, 가정환경 진단검사에서 인기아집단 가정의 심리적 환경이 배척집단보다 전반적으로 더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호감받는 행동을 하는 인기아들은 긍정적 자아개념을 갖고 있고 배척아들의 자아개념은 부정적이다. 2. 인기아집단 가정은 배척아집단에 비해 심리적 환경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정의 심리적 환경은 청소년의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중의 하나이며 또 어떠한 자아개념을 갖고 있느냐에 따라 호감 받는 행동이 나오기도 하고 배척받게 되는 행동이 나오기도 한다.;In adolescent period one's development of sociality through one's associates is yen important and chiefly it has a important effect on the formation of personality to be beloved or to be excluded in one's company. It is regarded that behaviors of the beloved or the excluded are caused by what their senses of self for themselves are and the psychological element of home-background is one of elements that have a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sense of self. And this study made an attempt to compare each other and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ense of self and the psychological home-background of the beloved group and the excluded group among classmates.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associates of 1810 students of "s" girls' Middle school in Seoul. And the assortment of the 81 students off the beloved and 70 students of the excluded, and 'the sense of self' test and the diagnostic test of home-background have been carried out. The data analysis was computed and regulated by "STSS" program and "T"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to reveal the noticing data between two groups. Rusults are as follows. 1. The beloved group got better mark than the excluded group in the 'sense of self' teat. 2. It was revealed that the psychological home-background of the beloved group was more desirable than of the excluded group. Through these results the conclusion such as follows was possible. (1) The beloved group have the affirmative sense of self, and the excluded group have negative sense of self. (2) The psychological home-background of the beloved group is more desirable than of the excluded group. And s the psychological home-background is one of the primary causes that have an effect on the sense of self in juvenility, and the beloved or the excluded behavior is influence by one's own sense of self.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