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17 Download: 0

예제의 상기가 검사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Title
예제의 상기가 검사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Reminding Example in Solving Problems : According to Ross's hypotheses (1987)
Authors
이동호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예제상기검사문제ROSS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st two hypotheses, Principle-Cuing View and Example-Analogy View, of how the earlier problem is used. Novice subjects were examined in their mathematical abilities and then grouped into two : Good novice venus poor novice. In experiment 1, to separate the effect of access of the earlier problem from its use, the distinctive probability principles - permutation, conditional probability, waiting time, at least once - were chosen and subjects were provided with the appropriate formula. And to vary the details of the correspondences, the story line content and the correspondence between objects in the study and test problems were varied. Experiment 2 was tested whether earlier problem affects the acces the principles. It was accomplished by chosing the confusable principle permutation, combination, waiting time, at least once - and giving no formula. Two conditions were compared, which performed equally in experiment 1, and two scores about formula access and correctness were given. The results were : 1. In experiment 1, good novices showed no difference among the four conditions. But poor novices performed best in +/+ condition, intermediately in +/0 and 0/0 conditions, worst in +/- condition. 2. In experiment 2, both good and poor novices had an advantage for +/0 condition in formula access score and correctness score. Therefore, this study was tested that two hypotheses about using the earlier problem explained two groups separately. Good novices used the earlier problem to cue the abstract information, so it provides the evidence in support of the Principle-Cuing View. In poor novices group, earlier problem played the part not only in accessing the principle but also in applying the formula to the test problem, thus, Example-Analogy View in supported by experiments.;본 연구의 두 실험들은 특정 분야의 지식이 요구되는 문제해결에 있어서 앞서 배운 예들, 즉 선행 예들이 새 문제를 풀 때 유추로 이용됨에 있어서 그 배후 기제를 검토한 Ross(1987)외 가설들을 초보자들을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수학 문제해결 능력에 대한 예비검사를 통하여 그 능력 수준에 따라 초보자들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 1에서는 잘 구분되는 확률원리들 - 순열, 조건부 확률, 이항확률, 선택확률 - 을 사용하고 검사문제에서 공식을 제시하였을 때, 선행 예가 제시된 공식의 적용에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하고자 두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예제와 문제간의표면유사성 중 줄거리(story line)와 대상 대응성(object correspondence)을 조작한 결과, 문제해결 능력이 높은 초보자 집단은 연습문제와 본문제에 언급된 대상들이 대응하는 정도가 다양하더라도 모두 비슷한 정도로 문제를 푼 반면, 문제해결능력이 낮은 초보자 집단은 유사 대상 대응 조건에서 문제들을 제일 잘 풀고, 무관 조건에서는 중간 수행을, 역전 조건에서 가장 낮은 수행을 보였다. 이 결과는 선행 예가 주어진 공식을 적응하는 단계에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실험 2에서는 선행 예가 원리에 접근하는데 쓰이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로 분명히 잘 구분되지 않는 확률원리들 -순열, 조합, 이항확률, 선택확률 -를 사용하고 검사문제에 공식을 제시하지 않았다. 실험 1의 4가지 표면유사성 조건들 중 두 능력 집단들이 모두 같은 수행을 보인 두조건(유사/무관, 무관/무관)만을 비교하였다. 실험 2에서는 적절한 공식을 사용했는지에 대한 공식점수와 그 공식을 잘 이용했는지에 대한 정답점수의 두 측정치를 구했다. 해결능력이 높은 초보자 집단과 해결능력이 낮은 초보자 집단 모두 공식점수와 정답점수에서 유사 줄거리 조건이 무관련 줄거리 조건보다 높은 수행을 보였다. 이 결과는 선행 예가 문제 배후의 원리에 접근을 쉽게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두 실험들은 선행 예의 이용에 관한 예제-유추설과 Ross(1987)의 연구에서 기각된 원리-단서설(Principle-Cuing View) 각각이 피험자의 문제해결 능력에 따라 다르게 적용됨을 검증하였다. 문제해결 능력이 높은 초보자 집단은 선행 예가 주어진 공식의 적용에는 이용되지 않으나(실험1), 원리에의 접근에는 이용된다는 결과(실험2)에 따라, 학습자들은 추상적 정보에 대한 단서로 선행 예를 이용하며, 일단 공식에 접근하는데에 선행 문제를 이용하고 나면 더 이상 고려하지 않는다는 원리-단서설에 의해 설명될 수 있음이 증명되었고, 해결능력이 낮은 초보자는 선행 예가 주어진 공식의 적용에 이용 될 뿐아니라(실험1), 원리의 접근에도 이용된다는 결과(실험2)에 따라 초기 학습 동안에 원리는 선행 예에 의하여서만 이해되어지며 학습자들이 공식이나 원리를 제공받더라도 다른 문제에 원리를 적용할 때에는 선행 예를 사용하게 되리라는 예제-유추설에 의해 설명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