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黃蘭秀-
dc.creator黃蘭秀-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6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3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6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372-
dc.description.abstract20세기에 이르러 <藝術을 위한 藝術>이라는 哲學的 命題는 현실을 외면한 내면지향의 극단적 경향으로서 대부분의 모더니스트들은 오직 자신의 正體性의 추구로서만 예술의 가치를 찾았다. 이러한 현상은 사회적 唯物論的 가치관에 대한 無意識的 저항의 발로로서 현실에 대한 '非人間化'의 추구였다. 결국 藝術家는 그 자신을 사회적 범주에서 제외시킴으로서 스스로를 '疏外'시켜 왔던 것이다. 그러나 인간의 활동을 가능하게 하고 또 제약하는 사회적 조건을 떠나서는 存在할 수 없다는 社會學的立場에서 오늘날 예술이 갖는 비인간화에 대한 극복은 곧, 예술을 現行의 사회적인 모든 관계와의 관련 속에서 파악함으로 만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觀點이서 60년대 이후 나타난 예술의 形象性 추구의 운동- Pop Art, 신사실주의, 신구상회화, 하이퍼리얼리즘등-은 현실적 세계와 자신의 상상적 세계가 결합된 왜곡된 상황으로의 현실의 Reality로서 사회적 의미를 표출함으로써 예술의 '人間化' 에로의 전환을 시도해 왔다. 이러한 경향들 중에서도 세계에 직면해 있는 자신의 사색의 현실적 풍경들을 제시함으로써 현대 문명이 어떻게 인간을 억압하느냐 하는데에 관심을 주력했던 신구상회화로 부터 본인은 본인작품에 있어서의 리얼리티에 대한 認識적 문제를 제기하였다 즉, 현실로부터 '나 ' 자신에게 부여된 소재를 어떠한 방식으로 선택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제기로 부터 본인은 작품제작에 있어 하나의 고정된 대상 세계의 그려냄이 아니라 내적감정이 부여된 자연, 본인의 미적 기본개념으로 '치환'된 모사물을 서술적 형식으로 나타내고자 했다. 이론적 기반으로는 예술은 인간의 사회적 실재성을 가져야 하며 의미들의 세계속으로 통합되어야 한다는 리얼리즘 미학의 차원에서 미적 형식을 예술의 사회적 제 관계에 대한 自律로서 인식하고 예술성을 강조했던 ^(*)Herbert Marcuse의 자율성의 문제에 근거를 두었다. 방법적 면으로는 Jacques Monory ( 1934~ )에 있어서의 색채의 개념, Edward Hopper (1882 ~ 1967), Wayne Thiebaud(1919~ ) 의 공허한 현실 공간의 표출과 Reality의 문제를 비교하여 본인 작품과의 관련성을 찾았다. 오늘날, 자연은 인간에게 서정적 대상으로서만 주어지지 않는다. 본인은 작품 연구를 통하여 자신의 정서와 직관으로 부터 관찰되어진 현실적 풍경들을 제시함으로써 사회적 狀況은 리얼리티를 추구하고자 하였다.;In 20' century, the philosophis proposition of art for art shows extreme trend of inner fixed direction that looked away reality and most of modernist tried to find value of art by only pursuiting their stagnant identity This stream was pursuiting 'in-human being' about relity as exhibition of unconscious resistance on social materialistic value. After all, artist have kept himself at a distance by excluding himself in social category. However, in social position which can not exisit apart from social condition that the activity of man have it possible as well as control, the over come for in-human being that art shows nowadays can be possible by understanding art in connection with present social relation. In this point of view, movement of shape-pursuit appearing after '60-pop art, nouveau Realisme, Nouvelle Figuration. hyperrealism. -connects realistic world with own imaginary world and have tried to turn over into 'human being' of art by expressing social meaning as reality of distorted situation. Among these trends, by presenting own speculative realistic landscape which is faced with world, I submitted problem of recognization for reality in my own work from new plastic art that concentrats his efforts on how modern civilization depress man. That is to say, from submission of problem about how way I handle the materials that is given to me at reality, I tried riot to express a fixed object but to express portraying that replace nature given inner emotion with basic conception of beauty. Theory background is based on Herbert Marcuse's autonomy that recognized esthetic form as self-regulation on social all connection of art and emphasize on art nature, in dimension of esthetics that art should have human social reality and unify into world of meaning. As for the methodology, I tried to find relationship with my own work by comparing my with Jacques Monory(1934- )'s conception of colour, E. Hopper(1882-1967), Wayne Thiebaud(1919- )'s out put of empty real site as well as the problem of reality. In conclusion. nature is not given only lyrical object in these days. I intended to pursuit reality of social situation by representing realistic view observed in my own emotion and intuition through study of wor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Ⅴ Ⅰ. 序論 = 1 A. 硏究問題의 陳述 = 1 B. 硏究의 目的 = 2 C. 硏究의 內容 = 2 D. 硏究의 方法 = 3 Ⅱ. 本論 = 4 A. 內容的 硏究 = 4 가. 現實的 表象으로서의 風景 = 4 나. 화면 공간에 내재된 시간성 = 8 B. 形式的 硏究 = 11 C. 本人 作品 分析 = 19 Ⅲ. 結論 = 33 參考文獻 = 34 ABSTRACT = 3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204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현실적 표상-
dc.subject풍경-
dc.subject서양화-
dc.subject미술-
dc.title現實的 表象으로서 風景에 關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ABOUT LANDSCAPE OF REALISTIC SYMBOL-
dc.format.page3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서양화과-
dc.date.awarded198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