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재경-
dc.creator김재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6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1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6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10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부부의 갈등정도와 가정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체계론적 입장에서 규명함으로써, 가정생활주기의 전환점에 있는 부부들에게 갈등요인을 탐색하여, 다음 가정생활주기를 보다 용이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하며, 갈등관리 방안과 가정생활만족도에 대한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측정도구를 작성하여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증조사를 하였다. 형성기 가정과 확대기 가정 부부의 갈등정도와 가정생활만족의 일반적인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제기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의 갈등정도는 투입변수인 가정생활주기, 부부의 교육수준, 부부의 직업, 월평균 가정소득에 따라 차이를 보일 것인가? 둘째, 부부의 가정생활만족도는 투입변수인 가정생활주기, 부부의 교육수준, 부부의 직업, 월평균 가정소득에 따라 차이를 보일 것인가? 셋째, 부부의 갈등정도에 따라서 가정생활만족도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넷째, 배우자의 갈등정도에 따라 가정생활만족도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다섯째, 가정생활만족도와 부부갈등정도는 관계는 어떠한가? 실증조사의 연구대상은 유의적인 표본방법에 의하여 확대기 가정을 조사하기 위해 저소득층 탁아소를 이용하는 가정과 중산층 아파트에 거주하는 부부중 첫 자녀가 6세 이하인 가정을 선정했고, 형성기 가정을 조사하기 위하여 산부인과병원에서 아직 출산경험이 없는 부부를 선정했다. 설문지 회수상황은 총 500쌍의 부부중에서 336쌍 만이 회수되어 분석에 이용되었다. 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는 빈도분석, 백분율, ANOVA, F-test, T-test,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에 의해 분석되었다. 이상에서 설정된 연구문제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 갈등정도는 중간정도 이상의 갈등수준을 나타냈으며 이러한 갈등정도는 투입변수인 가정생활주기, 부부의 교육수준, 부부의 직업, 월평균 가정소득에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즉, 부부의 갈등정도는 형성기에 비해 확대기 부부의 갈등 정도가 높으며, 부부의 직업이 비전문직일수록 갈등의 정도가 높으며, 부부의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가정소득이 높을수록 갈등의 정도는 낮게 나타났다. 둘째, 가정생활만족도는 중간정도의 만족도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가정생활만족도는 투입변수인 가정생활주기, 부부의 교육수준, 부부의 직업, 월평균 가정소득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즉, 가정생활만족도는 형성기에 비해 확대기부부의 만족정도가 낮으며, 부부의 직업이 비전문직일수록 만족의 정도가 낮고, 부부의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가정소득이 높을수록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가정생활만족도는 부부갈등의 정도에 따라 집단간에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어 부부갈등정도가 높을수록 가정생활만족도는 감소한다는 결과로 나타났다. 넷째, 배우자의 갈등정도에 따라 가정생활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남편과 부인은 배우자의 부부갈등 정도에 따라 가정생활만족도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갈등영역에 대한 차이는 주기별로 남편, 부인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여서, 배우자의 갈등정도가 높을수록 가정생활만족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부부갈등정도와 가정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부부 각각 가정생활주기별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재정관리 갈등정도가 가정생활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편집단 보다는 부인 집단의 경우에 부부관계 갈등의 정도가 가정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우선 순위로 나타났으며, 인척관계 갈등정도와 가사노동분담 갈등정도는 가정생활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부부갈등의 영역별로 재정관리 갈등정도, 의사소통 갈등정도, 부부관계 갈등정도, 인척관계 갈등정도, 가사노동분담 갈등정도의 순으로 가정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체적으로 본 연구의 결론은 투입변수인 가정생활주기, 부부의 교육수준, 부부의 직업, 월평균 가정소득별로 갈등정도와 가정생활만족도가 집단간 차이가 나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심리사회적인 쳬계갈등정도가 관리적인 체계보다 가정생활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자녀출생이라는 가족의 내부적인 사건이 가정생활만족도와 부부갈등의 정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전환점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자녀출생 뿐만 아니라 각 가정에 주어진 자원에 따른 갈등의 정도나 상황의 차이도 마찬가지로 함께 어우러져서 하나의 가족 체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또 다른 환경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부부갈등 요인에 대한 정보제공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져야 하고 갈등관리를 통한 가정생활만족도의 증진을 위해서 새로이 가정생활주기 전환점에 직면한 가정에 대한 개방적이고 적극적인 상담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effects by identifying, on the basis of theoretical models by system approach, the factors that influence marital conflicts and family life statisfaction, and to predict the future stage of establishment family and extending family. For this pourpose, 336 couples were sampled from the household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through statistical methods such as, T-test, F-test, percentile,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tiful regression, frequency. The results are as follow: 1. The martial Conflict of surveyed couples was above middle level. It had significantly differences according to family life cycle, husband and wife's educationed levels, husband and wife's occupations, and family income. The educationed level and family income is higher, the marital cinflict is lower. And the marital conflicts of expanding family(pre-school child family) and husband and wife working on unprofesional occuptions were higher than those of establishment family(non-child family) and husband and wife working on profeosional occupations. 2. Family life satisfaction of surveyed couples was about middle level. It had significantly differences according to family life cycle, husband and wife's educationed levels, husband and wife's occupations, and family income. The family life satisfaction of expandig family(pre-school child family) and wife working on unproffessional occupa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establishment family and husband and wife working on proffessional occupation. 3. Family life satisfaction had significantly differences according to marital conflict. The marital conflict is higher, life satisfaction is lower. 4. Family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according to spouse's marital conflict. It had appeared that the higher was spouse's marital conflict, the lower was life satisfaction, and that the conflict areas between husband and wife was different between two life cycle stages. 5. Family life satisfaction were strongly related with the marital conflict. Among all marital conflict areas, affecting the family life satisfaction, finacial management was the most affected areas. And communication, sex life, relationship(in-law), and division of household labor conflicts were I this order, wives' sex life conflict was more affected on family life satisfaction than husbands. In this study, it were appered that the amount of marital conflict and life satisfaction had differences according to life cycle stages, husband and wife's educational level, husband and wife occupations, and family income, and so that the conflict of phsycho-social system was more affected on family life satisfaction that of managerial system. Such results were indicated that the birth of children was the critical family event affecting on family life satisfaction on and the marital conflict. But the conflict by family's given resources and situattional differences also as an environment affection on the family system. Therefor, to improved family life satisfaction by controlling the marital conflicts, it were requared more postive and opened cownselling to each family facing to each life cycle stage and much various information about marital conflic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문제의 제기 = 1 B. 연구의 목적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갈등의 개념과 유형 = 5 B. 체계론적 분석틀 = 7 C. 가정생활만족도의 개념과 영역 = 14 D. 부부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 관련변인 = 16 1. 투입요소로서의 자원 = 16 2.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부갈등 = 19 3. 산출로서의 가정생활만족도 = 25 Ⅲ. 연구방법 = 27 A. 연구문제의 설정 = 27 B. 측정도구의 구성 = 28 C. 조사대상 및 자료의 수집 = 31 D. 자료의 분석방법 = 32 Ⅳ. 결과 및 해석 = 33 A. 기초자료의 분석 = 33 B. 연구문제의 분석 = 38 Ⅴ. 요약 및 결론 = 63 참고문헌 = 67 부록 = 78 ABSTRACT =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62800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부부의 갈등-
dc.subject생활만족도-
dc.subject형성기 가정-
dc.subject확대기 가정-
dc.title부부의 갈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형성기 가정과 확대기 가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MARITAL CONFLICT AND LIFE SATISFACTION : As Related to Establishment Family and Expanding Family-
dc.format.pageix, 9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가정관리학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