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해영-
dc.creator김해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2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4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5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470-
dc.description.abstract교육과정은 한 나라의 교육 계획과 내용 방법 및 평가 등을 수립하여 그 지침에 의해 교육적 성과를 구현하는 것이다. 그 지침서가 교과서다. 교과서에는 학생들에게 어떤 목적을 갖고 어떤 내용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가 명확하게 진술되어야 한다. 특히 문학 교과서는 문학 교육이 추구하는 목적을 충분히 담고 있는 그릇으로 문학 작품을 통한 이해와 감상뿐만 아니라 인간 형성이라는 도덕적 가치가 있는 교과로 인정된다. 그러나 현 사회의 구조가 '입시 교육'의 파행의 일변으로 순수한 <문학> 교과 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실정에 있다. 더구나 시험과 학교 학사 일정이 끝난 후 교과서는 학습자와 멀어지는데, 이렇게 된 이유는 문학 교과서가 감동을 주는 교과서, 정서와 재미를 주는 교과서가 아닌 점수따기용 교과서로 다루어져 온 현실이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제6차 문학 교과서를 분석함으로써 교육과정에서 밝힌 문학 교육과정과 얼마나 부합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문학 교과서는 문학 작품의 배열에 의해 구성된 체재이므로 교과서 전체 구성 체제를 살펴, 문학 교육이 추구하늘 목적을 제대로 수행하는지 검토하여 보겠다. 더불어 12종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들을 갈래에 의해 분류하여 제5차 교과서와 달라진 점과 개선된 점 그리고 현행 문학 교과서의 전반적인 특징을 고찰하여 보았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을 밝히고 연구의 대상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제6차 문학 교과서 편찬의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문학 교육의 개념과 목적을 살펴, 본 연구의 제재로 삼고 있는 (문학) 교과의 위상을 확고히 하기 위한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더불어 제6차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을 통해 문학 교과서의 구성 체재의 준거 설정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Ⅲ장에서는 학습자와 문학 교사가 요구하는 문학 교재의 선정 기준을 제시하였고, 현재 통용되고 있는 문학 교과서의 세 가지 기술 방식과 단원 구성 체재를 서술하였다. 현행 12종 문학 교과서 기술 방식은 세 가지 방식을 혼용하여 채택하고 있으나 학습자에게 가장 효율적 방법은 갈래론을 기본 축으로 하고 다른 두 가지 방식의 수용하여 장점을 취사 선택할 수 있도록 당국의 연구가 일차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단원의 구성은 학습자에게 '자율 학습'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으로 되어 있음을 밝혔다. Ⅳ장에서는 12종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의 양상을 비교, 서술하였다. 먼저 총 수록된 1,116건의 작품을 갈래별로 분류하여 정리한 다음 각 갈래별 수록 작품의 분량과 현대 작품과 고전 작품의 수록 양상을 밝혔다. 또한 수록 작품을 '시가, 서사, 극, 수필, 비평문학'의 5분법으로 분류하여 각 갈래의 양상을 비교, 서술하였다. Ⅴ장에서는 Ⅳ장의 작업에서 발생된 여러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먼저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한 교과서가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 가를 교과서 구성 체재 면을 통해, 그 다음 12종 문학 교과서 갈래에 의한 작품의 분류로 나타나는 양상을 파악하였다. 구성 체재 면은 책의 부피 증대와 교사용 참고서가 제작되지 않음으로 학습자와 교사의 능동적인 참여를 독려하고 있으며, 학습자의 자율적 학습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는 점에서의 긍정적인 평가를 내릴 수 있다. 작품 수록 면에 있어서 제5차 문학 교과서의 작품 수록 양상과 별반 차이가 없음을 밝혔다. Ⅵ장에서는 위에 논의된 사항을 정리하여 마무리지었다. 현행 고등학교 12종 문학 교과서의 구성 방식과 작품 수록 양상의 분석과 논의는 문학 교재가 지니고 있는 한계성을 해결하는데 그 의의가 있고 아울러 문학 교재 편찬시 도출되는 비합리적인 사항을 시정하는데 그 가능성을 두고 있다. 학습자가 문학 작품을 제대로 소화하고 나아가 올바른 품성과 가치를 키워주는 것이 문학 교육의 기본 목표임으로 학습자의 수준에 걸맞는 문학 교재의 개발이 끊임없이 이루어져야 하며 동시에 교육 현장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입장을 고려한 교재 편찬이 요구된다 하겠다.;Educational curriculum achieves the educational result through forming educational plan,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The guide to the goal is a textbook. Students ought to eventually understand the contents and pursued aims through their learning textbooks. Particularly, literary textbooks should contain their goals. So literary writing requires the certain moral standard of humanization. However, existing textbooks for various reasons fails to achieve their function. Upon the completion of their college entrance exam, they mostly abandon the existing curriculum. Students only depend their textbooks for gaining a seat in a college. This project aims to investigate the compatibility literary education and its curriculum by studying the 6th textbook. Literary textbooks are a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S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ccomplishment of literary education through examining the composition of textbooks. And this study divides the works in 12 kinds of literary textbooks according to their genre. So this study views the difference between the 5th textbook and the 6th textbook and the characteristic of current literary textbooks. ChapterⅠ presents the necessity, subject and method of this study. ChapterⅡ comfirms the phrase of educational textbook, the material of this study through the meaning and goals of literary education. And this presents necessity of the analysis of literary textbook through the basis direction for the 6th educational curriculum. ChapterⅢ presents the establishmental standard that learner and teacher require, and it seggests the 3 describable methods and the analysis of current literary textbook. ChapterⅣ presents and compares with the works in 12 literary textbooks. First, this study classitfes and arranges 1,116 works in textbooks according to genre. Second, the works in genre present its quantity and the collection modem works and classic works. Third, the works classify 5 hinds, that is a poem, a epic, an essay, a play and a literary criticism. ChapterⅤ suggests some problems in chapterⅣ. First, we suggest whether textbook presents well the goals and contents of educational curriculum. Second, this study suggests the aspect of works in 12 literary textbook according to genre. ChapterⅥ regulates this study. To classify the analysis and the collection of 12 current textbooks has the meaning that solves the limit of literary textbook and that corrects unrational point when edifing literary textbook. Literary Education has the purpose of certain moral standard of humanization. For this, the development of literary textbook must continue. And a textbook must edit concerning the learners and teach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의 대상과 방법 = 3 Ⅱ. 제6차 문학 교과서 편찬의 이론적 배경 = 5 A. 문학 교육의 개념 = 5 B. 문학 교육의 목적 = 7 C. 제6차 교육과의 기본 방향 = 11 1. 국어과 교육과정 = 11 2. 문학 교과서 구성체재의 준거 설정 = 14 Ⅲ. 현행 문학 교과서 구성 체재 분석 = 18 A. 문학 교재 선정의 기준 = 18 B. 현행 문학 교과서 체재 검토 = 20 C. 단원의 구성 체재 = 32 Ⅵ. 문학 교과서 작품 수록 양상 = 37 A. 전반적 작품 수록 양상 = 37 B. 갈래별 수록 양상 = 45 1. 시가 문학 = 45 2. 서사문학 = 56 3. 극문학 = 63 4. 수필 문학 = 66 5. 비평문학 = 67 Ⅴ. 작품 수록 양상의 전반적 검토 = 69 A. 구성체재면 = 69 B. 작품수록면 = 74 Ⅵ. 결론 = 81 참고문헌 = 83 Abstract = 86 부록 12종 문학교과서 작품 수록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5481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고등학교-
dc.subject문학교과서-
dc.subject제6차-
dc.subject국어교육-
dc.title제6차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구성 체제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analysis of current literary textbooks-
dc.format.pageviii, 103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