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상미-
dc.creator이상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8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2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5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287-
dc.description.abstract20세기의 현대 회화는 제작에 있어서 난해성(難解性)과 재현적 일루져니즘(Illusionism)의 전통 회화에 대한 회의로부터 발단되었고, 다원화속에서 표현과 재현의 문제 즉, 이원적인 기하학적 추상과 추상 표현주의로 귀결된다. 모더니즘(Modernism)이란 바로 20세기의 미술에 대한 관심들을 보다 분명히 하고 아울러 그 한계성을 인식하며 새로운 표현법의 시도로 미래에 대한 신념과 진실함을 기초로 한다. C. 그린버그(C. Greenberg)와 H.로젠버그(H. Rosenberg)는 주관적인 내면 세계와 감정 세계의 이원적인 표현인 감성과 이성의 경향을 대표하는 비평가이다. 그린버그는 회화의 평면 즉, 2차원성을 회화 고유의 속성으로 보았으며 "한 예술 작품의 질은 그 내용에 내재되어 있다"고 회화의 고유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로젠버그는 미니멀 아트(Minimal art)또는 환원적 회화 운동은 예술의 오브제가 그 자체로 의미있는 것으로서 독립적으로 존재한다고 주장하였다. 현대 회화는 크게 정신의 사유성(思惟性)과 물질의 연장성(延長性)을 강조하는 두 경향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 두가지 개념을 르네위그(Rene´ Huyghe)의 표현을 빌리면 '결정적인 관계의 예술'과 '내적 필연의 예술'로 이야기 될 수 있다. 전자는 조형적이며 기하학적인 '정신'을 지향하고 후자는 '물질'을 지향하는 직관적이며 보다 직접적인 표현을 가리킨다. 1945년 이후 Abstract expressionism에 이어 Assemblage, Art inforrmal, Op art, Pop art, Kinetic art, Color-field painting, Hard-edge, Minimal art등의 다양한 양상으로 시도 되었다. 추상미술(Abstract painting)은 20세기의 지배적인 표현 양식으로 1910년 이후 Wassily Kandinsky(1866-1944)는 그의 '내적 필연'(內的必然)의 '정신성'을 강조함으로서 추상 미술 발전의 기초를 마련해 준다. 그 이후 모더니즘은 극단적인 감성을 바탕으로 주관주의((Subjectivism)로 향한 시점에서 그린버그의 실제적인 평면(Literal flat plane)에서 로젠버그의 입체로 향한 오브제 미술이 등장한다. 이를 물질적 상태로 환원시키려는 작업의 일환으로서 image와 object의 연결을 위한 적극적인 시도가 이루어진다. 현대 미술은 정신적 상황에 대한 자율적 의지에로의 내적인 자유 의지의 표현이며 작가 자신의 반영으로서 현대 회화는 자기 표현일 수 밖에 없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본인의 작품 내용 연구는 대상물을 실제의 공간으로서 실체성(Literalness)의 적극적인 회화에로의 추구를 시도하려 한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인식하고 실제적 재료 도입을 통하여 시각적이며 형태적인 표현의 시도로서 작품 제작의 내용을 밝히고자 한다. 본인 작품 제작 논문에서 내용적인 면에서는 주관과 객관의 복합적 화면으로 물성(物性)을 통한 표현에 대해 언급하였다. 방법적인 면에서는 양식 개념의 확대로 제작된 표현과 중첩적인 마띠에르 작업을 통한 물질과 2차원적 평면과의 결합 개념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품 분석의 방법을 통하여 심적인 발로에 의한 표현으로 구축적인 작업에서 점차 표현적인 작업을 시도하며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끝으로 본인의 작품에서 표현적인 성과를 재검토하며 현대 회화의 상황에서 본인의 작업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모색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Modern pictures of the twentieth century, known as Modernism, begins with the doubt on the traditional pictures characterized by its abstruse in the Execution of production and manifestitive Illusionism, and comes to the conclusion of duality, geometrical abstraction and abstrace expressionism, that deal with the matter of expression and presentation. Modernism concretes the relevant interests on the fine arts in the twentieth century and besides recognizes its limitation and then attemps at much newer way of expression, based on the belief In the future and the truth as well. Abstract painting have the dual trends of emotion and reason, which are the two expressions of subjective inner world and emotional world, and the moaning of this duality takes concrete shape by the two representative critics, C. Greenberg and H. Rosenberg. C. Greenberg regarded a flat plane of a picture, a duality, as the proper attribute of a picture and put an emphasis on the properness of a picture by saying "The quality of a work of art indwell its contents." H. Rosenberg insisted that Minimal art or a reducing movement of pictures should exist independently as the objet of the arts is meaningful in itself. Modern pictures have two tendencies at large to emphasize the possibility of speculation of "mind" as well as prolongation of "material". This duality by Rene′ Huyghe provides 'determinative relation of art' for the former and 'intrinsic inevitability of art' for the latter, The one pursues the formative and geometrical "mind" whereas the other intuitive and immediate "material". Since 1945 in succession to Abstract Expressionism, manifold attempts were made in the name of Assemblage, Art informal, Op art, Pop art, kinetic art, Color-field painting, Hard-edge, Minimal art, and There appeared the inclination of diffusion into the three-dimensional space in the boundary between art and non-art. Abstract art, as a main form of expression in the twentieth century, had Wassily kandinsky(1866-1944) who prepared the foundation to develop Abstract art by reflection the "mind" of intrinsic inevitability since 1910. From then on, modernism gave birth to the art of objet which emerged from Greenberg's literal flat plane and Rosenbert's direction toward a solid, grounding in the extreme sensitivity and pursuing Subjectivism. The attempts to resolve this into the state of material are actively made to connect the image and the object. Modern art is the expression of intrinsic free will toward the spontaneous will as to the state of the mind. In other words, as self-reflection of the artist. Modern art can be no other than a self-expression and a way of self-projection and it suggests the direction from two-dimenisional flat plane and a three-dimensinal solid to which pursues the positive paintings of 'Literalness' of the object in the real space. As an attempt of visional and morphological expression in the material this thesis is to clarify the significance of the production of a work of art, on the theoretical basis and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This thesis consists in contents of the In the method, Matie′re work, duplicated by expression with the conception of Genre enlarged, is used to research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ion of 'Combine' the material and the picture. This comparative analysis ascertain my inner expressiveness in the picture and gropes for the possibility of the future In the process of work. Finally, I would reexamine the expressive achievements in the work by myself through the course of graduate school and have an opportunity to analyze my paing objectively with the state of modern art and thus to take a proper dire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문제의 진술 = 1 B. 연구의 목적 = 2 C. 연구의 내용 = 3 D. 연구의 방법 = 4 Ⅱ. 본론 = 6 A. 내용적 연구 = 6 a. 주관과 객관의 복합적 화면 = 6 b. 물성(物性)을 통한 표현 = 10 B. 방법적 연구 = 14 a. 오브제와 연관된 결합된 화면 = 14 b. 마띠에르 작업 = 18 C. 본인 작품 분석 = 21 Ⅲ. 결론 = 35 참고문헌 = 36 Abstract = 3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795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물성-
dc.subject공간-
dc.subject표현-
dc.title物性에 의한 공간 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xpression of Space through Materiality-
dc.format.pagevi, 4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서양화과-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