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1 Download: 0

소득별 취업모의 보육서비스 개선욕구에 관한 비교연구

Title
소득별 취업모의 보육서비스 개선욕구에 관한 비교연구
Other Titles
(A) STUDY IN WORKING WOMEN'S NEEDS ABOUT THE IMPROVEMENT IN CHILDCARE SERVICES BY INCOME LEVEL : Working women's needs about childcare services in their workplace
Authors
김명주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소득별취업모보육서비스직장보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여성 취업율이 증가하면서 전문직 여성과 기혼 여성의 재취업도 눈에 띄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경제적 이유로 재취업을 하는 저소득층 여성으로부터 취업 여성의 계층을 다양화시켰고, 이에 따른 새로운 복지욕구를 창출하게 되었다. 즉 그동안 간과되어 왔던 가사와 직장이라는 이중적 부담 특히 자녀 양육에 대한 대응책이 요구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1990년 말 영유아보육법을 제정하였고, 보육서비스가 제공되기 시작했지만 취업여성의 보육서비스에 대한 욕구에 근거한 서비스라기 보다는 단기적인 양적 확충에 초점을 두었다. 그 결과 1996년말 현재 직장보육시설이 설치된 사업장은 117개에 불과하며, 300인 이상 사업장의 설치 의무조항만 갖추고 있을 뿐 이에 대한 감독이나 지원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여성의 취업이 점차 확대될 현 시점에서 취업여성의 보육 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요구되어 지는 바, 소득별 취업모의 보육서비스 욕구를 파악하고, 이에 근거한 소득별 보육서비스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 지역 소재의 8개 사업장의 직장보육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취업모를 대상으로 소득층을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소득층 구분은 월평균 가족 총수입-근로수입, 임대수입, 저축수입 등 을 모두 합하여 가구원 1인당 50만원을 기준으로, 1인당 50만원 이하를 저소득층으로, 가구원 1인당 51만원 이상을 중산층으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보육 시간의 유형, 영아보육시설, 운영 지원 주체, 방과후 보육서비스 등에서는 저소득층 취업모와 중산층 취업모의 공통적인 보육 욕구를 볼 수 있었고, 보육료, 보육시설과 관련 되어 시설규모, 시설위치, 1시설의 보육아동수, 교육내용 및 프로그램 등에서는 소득별 차이가 나타났는데 특히 보육료 부담에서는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다. 이는 직장보육서비스가 제대로 정착되지 못한 상황에서 취업모라는 동일한 상황에서 기인한 공통적 욕구와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득이나 기타 환경이 다름에서 오는 욕구의 차이 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해서 볼 때 앞으로 직장보육정책을 전개해 나감에 있어서 정부는 직장보육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보다 많은 사업장에서 직장보육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지원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우선 주관부처인 보건복지부의 주도 아래 관련 부처와 협력하여 보육서비스 정책에 대한 질적 내용성을 담보하여야 할 것이다. 취업모의 공통적인 욕구에 기반한 보육서비스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져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소득별 특성이나 욕구가 반영된 보다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직장보육서비스정책 즉, 보육시간 유형의 다양화, 영아보육실시의 활성화, 보육시설의 할 것이다. 또한 이에 대한 지도 관리에 있어서 보다 구체적이며 규제 가능한 지침이나 규정을 마련해야하며, 노동부와 같은 관련 부 처의 협력을 통해 보육료 부담을 적정화하고, 실제적인 유도지원책을 마련하여 직장보육서비스 확대를 도모해야할 것이다.;Recently, Korean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in the job market has increased significantly. Such situation has necessitated social care for the children of working mothers who have double responsibilites in their home and workplace. In 1990, the government established the Childcare Act as a measure to meet the needs of working mother in childcare. However, the Act should be further strengthened in many aspects. Above all, working mothers' needs about childcare services in their workplace should be fully identified for further advanced social policy for working mothers' childcare.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workig mothers' needs about workplace childcare services based on their socioeconomic status of family. By utilizing survey method to the working mothers who are sending their children to 8 workplace childcare service centers in Seoul, this study could identify diverse childcare service needs of working mothers. The strongly expressed common needs of medium income working mothers and lower income working mothers are for flexible time, afterschool care service, and facilities for care of quality. The differently expressed needs between two groups are for childcare service fees, childcare service ratio, and contents of educational programs. Especially, on the matter of childcare service fees,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views. This study has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for childcare service at workplace thus, working mothers' needs based on childcare service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with the consideration of service hours, program contents, program kinds (afterschool care), and service fees. Especially, this study emphasizes implementation of diversely developed childcare service programs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Finally, this study emphasizes preparation for upgrading the quality of workplace childcare services as well as for increasing the quantity of workplace childcare services in order to decrease their burdens in their home and workplace and ultimately to promote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