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진숙-
dc.creator조진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0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4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5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415-
dc.description.abstractEntering the 20th century, the modern art sought to establish the purity of the plastic art and to emphasize creative forms of expression For a modem artist, to observe an object far its representation means to see through its interior and find its plastic elements creating a completely new world and sublimate it throughout the art. Therefore, the tendency of the modern art in regards to the creativity is to express the object originally, according to the visual measure of it. This tendency of the modern arts also influenced the field of Fiber Art. The artists of this field seek the esthetic value throughout new and original expression techniques found uniquely in fiber. This study attempts to express the image emerging from the Choom Sa Oei of a Seung Moo. In order to do that, I tried to unite the of image I perceived from the meaning of the above Choom Sa Oei the and the mental image it produces. At the same tim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ek a farm of expression in Plastic Art by simplifying the forms, lines, rhythmic movements and colors perceived in the plastic beauty of the Choom Sa Oei of a Seung Moo and to reconstruct it on the space. In this study, I first examined the concept of the space in fiber Art. Second, observing the general concept of Seung Moo and the different forms of Choom Sa Oei of Seung Moo, I researched the plastic beauty found in the Choom Sa Oei in its plastic elements such as forms, lines and rhythmic movements.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work, I tried to express the image of 'Jung-Joong-Dong' found in the Choom Sa Oei of Seung Moo throughout its multiple elements such as the harmony between the woven and unwoven yarns the harmony among the repeated unit forms and the harmony between the dynamic and peaceful feelings represented by the different uses of colors. During this project, I reach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 First, expression in Plastic Art does not refer to the reconstruction of an object after investigating its originality but it refers to the creative recomposition of the object according to the artist's subjectivity ; Second, the expression of the image of 'Jung-Joong-Dong', a characteristic of the Choom Sa Oei of a Seung Moo, is not the result of one particular plastic element such as font line, rhythmic movement and color, but the result of multiple harmonies of elements ; Third, in representing the image of the Choom Sa Oei of a Seung Moo, I found more useful the three-dimensional form of expression than the relief ; Fourth, I found that in plastic expression, the use of piece allowed me to express the image of the Choom Sa Oei of a Seung Moo but I realized that a detailed planning in advance is necessary and that the piece has the advantage of permitting the creation of free plastic spaces depending on different methods of assembly ; And finally, I found that in order to produce successfully a plastic work the post - work process is as important as finding the materials to be used and the continuous research and experiment of the different techniques of expression.;현대 미술은 20 세기로 접어 들면서 부터 조형의 순수성 확립과 창의적 표현을 강조하는 형태로 전개되었다. 즉 표현을 위하여 대상을 본다는 것은 심안을 통해 그 내면성을 투시하여 조형적인 요소를 찾아내어 이를 발판으로 또 하나의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여 예술로 승화 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창조적 활동은 대상을 보는 시각적인 척도에 따라 독특한 표현을 하는 것이 현대 예술의 추세이다. 이러한 현상은 섬유 예술에서도 영향을 받아 섬유만이 지니고 있는 새롭고 독특한 표현 기법으로 조형예술로서의 미적 가치를 추구하기 위한 노력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승무의 춤사위와 그것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를 통해 얻은 이미지를 내적 심상과 연결하여 새로운 형태로 표현하고자 한다. 또한 승무의 춤사위에 나타난 조형 미를 형태와 선, 율동, 색채로 단순화시켜 공간 속에서 재구성함으로써 섬유 예술에서의 조형적 표현 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내용은 첫번째로 섬유 예술에서의 공간적 개념에 대해 고찰하였고, 두번째로 승무의 일반적 개념과 춤사위 유형에 대해 살펴 보면서 승무의 춤사위가 가지고 있는 조형 미를 형태, 선, 율동의 조형 요소로 연구하였다. 작품 제작에 있어서는 승무의 춤사위가 가지고 있는 '정중동(靜中動)'의 이미지를 직선과 곡선의 조화, 직조 된 부분과 직조하지 않은 실과의 조화, 반복된 단위 형태들의 조화, 색상과 연결하여 표현한 생동감 넘치는 유쾌한 감정과 고요한 감정과의 조화 등 복합적인 요소들에 의해서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품 제작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조형예술에 있어서의 표현은 대상에 대해 새로움을 탐구하고 연구하며 대상의 외향적 재현이 아니라 개개인의 주관에 따라 각기 표현을 달리하여 창조적으로 재구성된다. 둘째, 승무의 춤사위 특징인 '정중동'의 이미지 표현은 형태, 선, 율동, 색채 등의 각 조형 요소에 의해서 표현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이 복합적으로 조화를 이루었을 때 표현 되었다. 세째, 승무의 춤사위 이미지 표현에 있어서 부조적인 표현 보다는 입체적인 표현이 본 연구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를 더 잘 나타내 주었다. 네째, 조형 표현에 있어서 피스의 사용으로 승무의 춤사위 이미지 표현이 용이 하였으나 작업 시 치밀한 사전 계획이 필요 하였고, 조립 방법에 따라 무한이 자유로운 조형 공간을 창출 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다섯째, 작품 제작에 있어서 재료의 중요성과 표현 기법의 계속적인 연구와 실험뿐 아니라, 하나의 조형물로 완성되기 위한 뒤처리 과정도 매우 중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현대 섬유 예술의 공간적 개념 = 3 1. 공간의 개념 = 3 2. 섬유 예술에 나타난 공간 표현의 양상 = 4 B. 승무의 조형미 = 15 1. 승무의 일반적 고찰 = 15 2. 예술에 나타난 형태, 선과 율동 = 22 Ⅲ. 작품 제작 및 분석 = 31 A. 작품 제작 = 31 B. 작품 분석 = 35 Ⅴ. 결론 = 53 참고문헌 = 55 ABSTRACT =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324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승무-
dc.subject이미지-
dc.subject직물조형-
dc.subject피스-
dc.title승무의 이미지를 표현한 직물조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피스에 의한 직물작품 제작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Woven Fiber Art Expressing the Image of a Seung Moo : Focusing on the Production of a Woven Fiber Work by Piece-
dc.format.pagevii, 58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섬유예술학과-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